• 제목/요약/키워드: 3T3-L1

검색결과 5,053건 처리시간 0.039초

몰약(沒藥) 에탄올 추출물의 항비만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anti-obesity of Myrrh ethanol extract)

  • 백선재;김동희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1-18
    • /
    • 2016
  • Objective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yrrh 80% ethanol extract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adipogenesis in 3T3-L1 cell.Methods : Myrrh was prepared by extracting with 80% ethanol. Cell viability was assessed by MTT assay using 3T3-L1 cells. Anti-obesity activity was measured in lipid droplets and triglyceride (TG) accumulation in 3T3-L1 cells. We also analyzed the expression of C/EBPβ, C/EBPα, PPARγ, SREBP1c, and aP2 by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In addition, we observed the production of fatty acid, acetyl-CoA carboxylase and Oil-red O stainingResults : No cytotoxicity from Myrrh 80% ethanol extracts was observed at the concentration of 1, 10, 100 (㎍/㎖) in 3T3-L1 cells. Treatment with Myrrh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terminal differentiation of 3T3-L1 in a dose-dependent manner, as confirmed by a decrease in triglyceride and Fatty acid and Acetyl-CoA carboxylase. Also, Myrrh exhibited potential adipogenesis inhibition and downregulated the expression of pro-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such as 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1c (SREBP-1c),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γ (PPARγ),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s α (C/EBPα) and C/EBPβ, and adipocyte expressed genes, such as adipocyte fatty acid binding protein (aP2) and Fas. In addition, lipid accumulation determined by Oil-red O staining showed that Myrrh extract had inhibitory effects on lipid accumulation in 3T3-L1 cells.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Myrrh suppresses obesity factors in 3T3-L1 cells. Myrrh may be a useful medical herbs for attenuating metabolic diseases such as obesity.

자운지구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연구 (Monitoring and research of NPS pollution priority Management - Jaun district Watershed)

  • 박병기;신재영;이수인;주소희;최중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524-52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홍천 자운지구 고랭지 농업지역을 대상으로 장기간의 유역조사와 하천 모니터링을 통해 관측된 축척 데이터를 이용하여 비점오염저감 효과를 정량화하고 추후 모니터링 자료로서 탁수와 비점오염원 저감시설의 저감효과와 비점오염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소양호 유역의 오염부하(1차 강우사상) 중 홍천군 자운지구의 유역단위 비점오염 저감효과의 분석에는 강우량과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를 이용하였으며, 자운천은 SS 5,396,761 kg, COD 82,261 kg, BOD 57,329 kg, T-N 68,711 kg, T-P 3,091 kg이었으며, 오염부하(2차 강우사상)는 SS 320,293 kg, COD 34,588 kg, BOD 22,350 kg, T-N 48,954 kg, T-P 640 kg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양호 유역의 EMC(1차 강우사상) 중 자운천은 SS 829.9 mg/L, COD 12.7 mg/L, BOD 8.8 mg/L, T-N 10.567 mg/L, T-P 0.475 mg/L 이었으며, EMC(2차 강우사상)는 SS 68.6 mg/L, COD 7.4 mg/L, BOD 4.8 mg/L, T-N 10.487 mg/L, T-P 0.137 mg/L로 나타났다. 소양호 유역의 단위면적당 오염부하(1차 강우사상) 중 자운천은 SS 402.0 kg/ha/event, COD 6.1 kg/ha/event, BOD 4.3 kg/ha/event, T-N 5.118 kg/ha/event, T-P 0.230 kg/ha/event 이었으며, 오염부하(2차 강우사상)는 SS 23.9 kg/ha/event, COD 2.6 kg/ha/event, BOD 1.7 kg/ha/event, T-N 3.646 kg/ha/event, T-P 0.048 kg/ha/event로 나타났다. 오염부하에서는 1차 강우에 비해 2차 강우에서는 SS 5,076,468 mg/L, COD 47,673 mg/L, BOD 34,979 mg/L, T-N 19,757 mg/L, T-P 2451 mg/L로 1차 강우사상에 비해 오염부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EMC에서는 1차 강우에 비해 2차 강우에서는 SS 761.3 mg/L, COD 5.3 mg/L, BOD 4.0 mg/L, T-N 0.080 mg/L, T-P 0.338 mg/L로 1차 강우사상에 비해 EMC가 저감되었다.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는 1차 강우에 비해 2차 강우에서는 SS 378.1 mg/L, COD 3.5 mg/L, BOD 2.6 mg/L, T-N 1.472 mg/L, T-P 0.182 mg/L로 1차 강우사상에 비해 EMC가 저감되었다. 강우량과 강우강도 그리고 영농활동의 시기에 따른 EMC와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는 큰 차이를 보였으며, 예년에 비해 적은 강수량으로 인해 탁수와 비점오염부하의 배출이 상대적으로 적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소양호 유역과 같은 넓은 유역에서 시행되는 비점오염원의 저감연구는 오랜 시간 동안 자료를 축적해야 유의미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유량 데이터 자료구축과 수질분석뿐만 아니라, 발생되는 비점오염 물질의 관리를 위한 체계적인 연구가 지속되어야하며, 아울러 농민의 인식도 변화 등을 포함하는 많은 인자들을 정밀히 조사하고 다각도로 분석하여 저감효과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PDF

Hormonal Regulation of Leptin, Resistin, and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Gene Expression in 3T3-L1 Adipocytes

  • Lee, Hyun-Jung;Kim, Yang-Ha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9권4호
    • /
    • pp.336-341
    • /
    • 2004
  • Leptin, resisitn and PAI-1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are synthesized and secreted by rodent fat cells and recently postulated to be an important link to obes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haracterize the hormonal regulation of leptin, resistin, and PAI-1 gene expression in the 3T3-L1 adipocytes. The cells were treated with 0.5 $\mu$M insulin, 1 $\mu$M dexamethasone (Dex), or 0.05 $\mu$M triiodothyronine (T3) for 72 hours. The mRNA levels of each peptide were measured by semi-quantitative RT-PCR. The mRNA level of the leptin-producing ob gen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insulin, Dex, and T3 by 3.2-, 3.1- and 2.7-fold,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ntrol (p < 0.05). The level of resistin mRNA was increased by insulin, Dex, and T3 by 2.7-, 2.5- and 2-fold,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ntrol (p < 0.05). Likewise, the level of PAI-1 mRN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insulin, Dex, and T3 compared to the control (p < 0.05). Taken together, our results suggest that insulin, Dex, and T3 may regulate the gene expression of leptin, resistin, and PAI-1 in 3T3-L1 adipocytes.

비타민나무 잎 에탄올추출물의 AMPK 활성화를 통한 3T3-L1 지방전구세포의 adipogenesis 억제효과 (Ethanol Extract of Hippophae Rhamnoides L. Leaves Inhibits Adipogenesis through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Activation in 3T3-L1 Preadipocytes)

  • 정현주;박주희;김명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82-590
    • /
    • 2015
  • 본 연구는 HRL의 3T3-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과정 중에 HRL이 지방의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MTT assay를 이용하여 세포 독성을 측정한 결과 100 ㎍/㎖의 농도에서도 세포증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Oil Red O 염색법을 이용하여 지방세포 분화 억제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HRL의 경우 100 ㎍/㎖의 농도에서 82.25% 지방 축적 억제능을 나타내었다. 지방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 발현량을 측정하기 위해 RT-PCR법과 western blot법을 시행하였다. HRL은 SREBP-1c, PPARγ와 C/EBPα의 mRNA 발현을 억제시켰고, 지방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효소인 FAS의 생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HRL 처리로 AMPKα의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PPARγ의 발현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HRL은 AMPKα의 활성화를 통한 지방 합성을 억제를 보유하고 있는 바, 향후 항비만 기능성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Betulinic acid의 PI3K와 AMPK경로 활성화를 통한 3T3-L1 지방세포에서 포도당 흡수 촉진 효과 (Betulinic Acid Stimulates Glucose Uptake through the Activation of PI3K and AMPK in 3T3-L1 Adipocytes)

  • 이정경;박재은;한지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10호
    • /
    • pp.762-770
    • /
    • 2022
  • 제 2형 당뇨병은 고혈당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대사성 질환으로 인슐린 민감성및 저항성을 개선하여 세포속으로 포도당 흡수를 촉진시킴으로서 완화될 수 있다. 본 연구는 triterpenoid 화합물인 betulinic acid가 3T3-L1 지방세포에서 인슐린 신호전달체계를 개선하여 포도당 흡수를 촉진시키는지를 조사하고 그 작용기전을 규명하였다. Betulinic acid는 3T3-L1 지방세포에서 농도의존적으로 포도당 흡수를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 이는 PM-GLUT4의 발현 증가와 관련이 있음을 관찰하였다. Betulinic acid는 인슐린 신호전달 경로에서 PI3K의 활성화 및 IRS-1tyr, Akt의 인산화를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또한 AMPK의 활성화를 나타내는 pAMPK와 AMPK 하위인자인 pACC의 수준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Betulinic acid에 의한 PI3K 및 AMPK 경로의 활성화를 증명하기 위해, PI3K 억제제(Wortmannin)와 AMPK의 억제제(Compound C)를 사용하여 이들 처리에 의한 포도당 흡수능과 PM-GLUT4의 발현을 측정한 결과 이들의 발현이 유의하게 저해되었다. 본 연구에서 betulinic acid는 3T3-L1 지방세포에서 PI3K 및 AMPK 경로의 활성화를 통해 세포막으로 포도당 수송체인 GLUT4 전위를 촉진시키고 포도당 흡수를 증가시킬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betulinic acid가 인슐린 민감성을 증진시키고 고혈당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지방세포 3T3-L1과 대장암세포 SW-480에서 메밀 성분인 rutin의 항염증 효과 (Effects of Rutin on Anti-inflammatory in Adipocyte 3T3-L1 and Colon Cancer Cell SW-480)

  • 이승림;서은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84-92
    • /
    • 2019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utin, buckwheat components on cell growth and anti-inflammation in adipocyte 3T3-L1 and human colon cancer cell SW-480. Methods: We cultured 3T3-L1 adipocyte and SW-480 colon cancer cell to confluence, at which time starvation was induced with SFM for 1 day. Cells were then cultured in medium containing 0, 25, 50, or $100{\mu}mol/mL$ of rutin 3T3-L1 or 0, 10, 20, or $40{\mu}mol/mL$ SW-480. Cell viability was measured using a cell viability kit. In addition, we examined the expression of mRNA related to inflammation. RT-PCR was used to quantity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terleukin-$1{\beta}$ ($IL-1{\beta}$), IL-6,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2 (COX-2) mRNA levels. Results: Rutin significantly inhibited 3T3-L1 and SW-480 cell proliferation in a dose and time dependent manner. Rutin also significantly reduced the mRNA expression of $IL-1{\beta}$, IL-6 and $TNF-{\alpha}$ at the highest dose. In addition, rutin treatment caus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COX-2 and iNOS mRNA level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Overall, our results suggest that rutin has the potential to reduce inflammation, and that these effects are greater during tissue-damaging inflammatory conditions.

3T3-L1 지방세포에서 루페올의 IRS-1의 인산화 조절을 통한 TNF-α 유도 인슐린 저항성 개선 효과 (Lupeol Improves TNF-α Induced Insulin Resistance by Downregulating the Serine Phosphorylation of Insulin Receptor Substrate 1 in 3T3-L1 Adipocytes)

  • 이현아;한지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11호
    • /
    • pp.859-867
    • /
    • 2023
  • 루페올은 5환성 트리테르펜의 일종으로 많은 질병에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은 명확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3T3-L1 지방세포에서 루페올의 IRS-1 인산화 억제능을 통해 인슐린 저항성 개선효과를 조사하였다. 3T3-L1 세포를 배양하고 TNF-α를 24시간 동안 처리하여 인슐린 저항성을 유도하였다. 서로 다른 농도의 루페올(15, 30 μM) 또는 100 nM의 rosiglitazone을 처리한 세포를 배양한 후, 용해된 세포를 이용하여 western blotting을 시행하였다. 실험결과 루페올은 지방세포에서 TNF-α에 의해 유발되는 인슐린 신호전달의 음성 조절자와 염증 활성화 단백질 kinase에 대한 개선 효과를 나타냈다. 인슐린 신호전달의 음성 조절자인 PTP-1B와 JNK의 활성 및 IKK와 염증활성화 단백질키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였다. 또한, 루페올은 IRS-1의 serine 인산화는 하향 조절하고 tyrosine 인산화는 상향 조절하였다. 그 후, 하향 조절된 PI3K/AKT 경로가 활성화되고, GLUT 4의 세포막 전위가 자극되어, 결과적으로 인슐린 저항성이 유도된 3T3-L1 지방세포에서에서 세포내 포도당 흡수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결과, 루페올은 3T3-L1 지방세포에서 인슐린 신호전달 및 염증 활성화 단백질 kinsase들의 음성 조절인자를 억제하여, IRS-1의 serine 인산화를 하향 조절함으로써 TNF-α 유발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3T3-L1 지방세포에서 진귤 잎 유래 polymethoxyflavones 다량 함유 분획물(PRF)의 항지방생성 및 지방분해 효과 (The Anti-adipogenic and Lipolytic Effect of Jinkyool (Citrus sunki Hort. ex Tanaka) Leaf Extract in 3T3-L1 Cells)

  • 진영준;장미경;김재원;강민영;고희철;김세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542-549
    • /
    • 2022
  • Polymethoxyflavones (PMFs)는 주로 감귤류에서 발견되는 플라보노이드로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재래귤인 진귤(Citrus sunki Hort. ex Tanaka)에서 PMFs를 다량 함유하는 분획물(PMFs-rich fraction, PRF)을 획득하는 방법을 확립하여 3T3-L1 세포에서 지방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PRF는 3T3-L1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생성(lipogenesis)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PRF는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𝛾 (PPAR𝛾)와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𝛼 (CEBP𝛼)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fatty acid synthase (FAS), adipocyte fatty-acid-binding protein 2 (aP2)의 발현을 억제하여 지방생성을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숙한 3T3-L1 지방세포에 PRF를 처리하면, cAMP 의존성 protein kinase A (PKA)/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 1 (HSL)의 활성화가 일어나 지방분해(lipogenesis)는 촉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PRF는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acetyl-CoA carboxylase (ACC)의 인산화를 증가시켜 지방산화를 촉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진귤 잎 유래 PRF는 3T3-L1 전구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고 성숙한 지방세포에서 지방분해 및 지방산 산화를 촉진하는 활성을 나타내어 항비만 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밀겨 유래의 3T3-L1 세포 지방생성 억제물질 (Inhibitors of Adipogenesis in 3T3-L1 Cells Isolated from Wheat Bran)

  • 정원식;홍성수;이정아;안은경;오좌섭
    • 생약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02-308
    • /
    • 2011
  • As a part of our ongoing program on finding biologically active components from natural source we found three known constituents from the EtOH extract of the wheat bran. The known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tachioside (1), pinellic acid (2) and tryptophan (3). The structure and relative stereochemistry were determined from MS, 1D and extensive 2D NMR techniques as well as by comparison of their data with the published values. All isolates were tested their inhibitory effects on the adipogenesis in 3T3-L1 cells. The effect of compounds from wheat bran on 3T3-L1 adipocyte differentiation were measured by Oil Red O staining.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achioside (1) and pinellic acid (2) decreased lipid content in 3T3-L1 adipocytes by inhibiting lipogenesis. These compounds had shown antiobesity activities.

3T3-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지약침의 영향 (The effects of Ganoderma lucidum herba pharmacopuncture on 3T3-L1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 이채우;윤현민;강경화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47-53
    • /
    • 200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anoderma lucidum herba pharmacopuncture(GHP) on the adipogenesis in 3T3-L1 preadipocytes. Methods: 3T3- L1 preadipocytes were differentiated with adipogenic reagents by incubating for 2 days in the absence or presence of GHP ranging from 1 and 2%. The effect of GHP on cell proliferation of 3T3-L1 preadipocytes was investigated using MTT assay. The effect of GHP on adipogenesis was examined by Oil red O staining and measuring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 (GPDH) and intracellular triglyceride (TG) content. Results: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e preadipocyte proliferation and adipocyte differentiation of 3T3-L1. We observed no effect of GHP on preadipocyte proliferation. GHP inhibited adipogenesis, the activity of GPDH and accumulation of intracellular TG content.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GHP inhibit differentiation of preadipocy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