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T3-L1

검색결과 5,053건 처리시간 0.04초

지방세포 분화중인 3T3-L1 세포에서 영지추출물에 의한 지방관련 유전자와 전사인자의 발현 조절 (Adipocyte-Related Genes and Transcription Factors were affected by Ganoderma lucidum during 3T3-L1 Differentiation)

  • 이채우;윤현민;강경화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3-20
    • /
    • 2009
  •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Ganoderma lucidum (GL) on fat metabolism were performed in 3T3-L1 adipocytes. The effects of GL on 3T3-L1 preadipocytes differentiation were also examined. Our results showed that GL decreased the TG content by ORO staining. To elucidate the mechanism of the effects of GL on lowering TG content in 3T3-L1 adipocytes, we examined whether GL modulate the expressions of transcription factors and adipokines related to control of energy expenditure process because adipokines regulate adipocyte mass and increased expenditure may consume much TG in adipocytes. As a result, the expression of C/$EBP{\beta}$, C/$EBP{\delta}$, C/$EBP{\alpha}$, and $PPAR{\gamma}$, genes, which induce the adipose differentiation and adipose-specific FAS, aP2, and adipsin genes, which compose fat formation were decreased. In addition, GL increased the expression of leptin, UCP2, adiponectin in 3T3-L1 adipocytes, resulting in energy homeostasis. In conclusion, GL could regulate transcript factor related to induction of adipose differentiation and control TG content by up-regulation of adipokines related to fat burn.

상심자가 3T3-L 전지방세포 분화시 cytokine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ori Fructus on cytokines of 3T3-L1 Cell Line)

  • 박병철;차윤엽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39-44
    • /
    • 2007
  • Objectives In recent years, we are concerned about anti-aging and longevity. And I heard that Mori Fructus has been used for promotion of health in local clinics. So I wanted to know immuno-ability of Mori Fructus and carried out this experiment. Methods We cultivated 3T3-L1 Preadipocytes and Protein chip used for $ProteoPlex^{TM}$ 16-Well Murine Cytokine Array Kit. Results We known the immunity of Mori Fructus about 3T3-L1 Preadipocytes and gained the increase of Cytokines(IL-2, IL-4, IL-12p70, GM-CSF, INF-${\gamma}$, TNF-${\alpha}$). Conclusions So I guess that Mori Fructus has effect of immuno-ability, etc.

  • PDF

콜라비가 돼지 지방전구세포와 3T3-L1 cell의 증식과 분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ohlrabi (Brassica oleracea var. Gongylodes) on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Pig Preadipocytes and 3T3-L1 Cells)

  • 송미연;이재준;차선숙;정정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5권1호
    • /
    • pp.19-23
    • /
    • 2013
  • 본 연구는 콜라비가 돼지 지방전구세포와 $_3T_3-L_1$ 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돼지 지방전구세포는 신생자돈의 등지방에서 분리했다. 세포를 접종한 1일 후에 세척했고(day 0), 세포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서 2일 동안(day 0~day 2) 25 ng/ml과 100 ng/ml의 콜라비 알코올 추출물(과피와 과육)를 처리했다. 세포분화를 구명하기 위해서는 DMEM/F- 12 배지에 6일 동안(day 0~day 6) 배양하고 배양초기 2일 동안(day 0~day 2) 콜라비를 처리하고 day 6에 세포 분화를 측정했다. 콜라비 과피 25 ng/ml와 100 ng/ml은 돼지 지방전구세포의 증식을 각각 4.59%, 17.7% 억제했고, 콜라비 과육은 각각 11.4%, 19.2% 억제했다. 반면 돼지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는 억제하지 않았다. 콜라비가 $_3T_3-L_1$ cell의 증식과 분화에 미치는 작용을 구명하기 위해, 돼지 지방전구세포처럼, 세포 배양초기 2일간 콜라비를 처리했는데 콜라비 과피와 과육 둘 다 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콜라비는 돼지 지방전구세포의 증식을 억제했으나 분화는 억제하지 않았고, 한편 $_3T_3-L_1$ cell의 증식과 분화 모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삼색싸리 메탄올 추출물의 3T3-L1지방세포와 db/db 마우스에서의 PPARγ 작용제와 인슐린 유사효과를 통한 혈당조절 개선효과 (Methanol extract of Lespedeza maximowiczii var. tricolor Nakai improves glucose metabolism through PPARγ agonist and insulin-mimetic effect in 3T3-L1 adipocytes and db/db mice)

  • 박철민;김휘;류동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2권4호
    • /
    • pp.417-424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당 대사에 대한 삼색싸리(Lespedeza maximowiczii var. tricolor Nakai; LMTN)의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LMTN 추출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3T3-L1 지방 세포에서 당 섭취능 및 지질축적을 유의하게 향상시켰다. 또한, 3T3-L1 지방 세포에서 LMTN 추출물은 퍼옥시좀 증식제 활성화 수용체(PPAR)γ, 인슐린수용체기질-1 (IRS-1) 및 포도당수송체(GLUT)4의 단백질 발현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LMTM 추출물의 당 섭취능 또는 인슐린 신호 전달계의 조절 효과는 양성 대조물질인 트로글리타존 또는 피니톨보다 낮았지만 PPARγ 단백 활성화는 증가하였다. 또한, LMTM 추출물은 인슐린 유사효과를 나타냈다. db/db 마우스에서, LMTN 추출물(250 mg/kg BW)은 물과 식이 섭취량, 혈당, 중성지방과 총 콜레스테롤 함량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더불어 지방과 근육조직에서의 PPARγ 및 GLUT4 mRNA의 발현도 LMTN 추출물 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LMTN 추출물이 3T3-L1 지방세포 및 db/db 마우스에서 PPARγ 및 인슐린 유사효과를 통해 당 대사를 조절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비쑥 추출물이 3T3-L1 지방세포 분화 및 MAPK 신호 전달 경로에 미치는 영향 (Artemisia scoparia Inhibits Adipogenesis in 3T3-L1 Pre-adipocytes by Downregulating the MAPK Pathway)

  • 오정환;파티 카라데니즈;서영완;공창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9호
    • /
    • pp.999-1006
    • /
    • 2018
  • 비쑥(Atermisia scoparia)은 국화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풀로서 유라시아 지역 분포하며, 염생습지에 자생하는 염생식물의 일종이다. 비쑥은 민간요법에서 이뇨제, 소염제, 간염치료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비쑥에서 분리한 플라보노이드, 쿠마린 화합물의 항산화, 항염증 등의 생리활성이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쑥 추출물이 3T3-L1 지방전구세포 모델에서 지방세포 내에서의 중성지방 생성 및 지방세포 분화조절 인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지방전구세포 3T3-L1을 지방세포로 분화하여 Oil Red O 염색법으로 지방세포 분화 정도를 측정한 결과, 비쑥 추출물 처리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지방세포 형성이 억제되었다. 또한 지방세포 분화 관련 인자인 $PPAR{\gamma}$, $C/EBP{\alpha}$, SREBP-1c의 발현을 mRNA 및 단백질 수준에서 확인한 결과, 비쑥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 지방세포분화 인자 발현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세포 분화 및 증식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MAPK 신호전달 경로를 확인한 결과 비쑥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 p38, ERK, JNK의 인산화가 억제되었다. 이를 통해 비쑥 추출물은 MAPK 신호전달 경로를 통한 지방세포 분화 인자 조절을 통해 지방 생성과 합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로부터 비쑥 추출물의 MAPK 신호전달 경로 억제를 통한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나아가 건강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기대된다.

추출조건에 따른 차전초 추출물이 3T3-L1 세포의 지방 축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lantaginis asiaticae Folium on lipid accumulation in 3T3-L1 adipocytes by extraction conditions)

  • 정미진;김소영;김유진;이은탁;추성태;김한혁;김미려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53-58
    • /
    • 2018
  • Objectives : Plantaginis asiaticae Folium (PA) has been widely used in Korean medicine for treatment of liver disease, stomach troubles and inflammation.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PA on lipid accumulation in 3T3-L1 according to extraction conditions. Methods : The MTT assay was employed to evaluate the cytotoxicity of PA extracted by different solvents (water, 50% ethanol, and 95% ethanol) on 3T3-L1 preadipocytes. Oil red O staining was used to identify intracellular lipid accumulation in 3T3-L1. 3T3-L1 adipocytes were treated with PA at concentration ranging in 0.1, 0.2 and $0.4mg/m{\ell}$. PA was extracted by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such as extraction solvents, extraction time, and extraction temperature. In addition, UPLC analysis was used for determination of candidates of active ingredients in PA. Results : 3T3-L1 preadipocytes were treated with PA extracted by different solvents (water, 50% ethanol, and 95% ethanol) and there was no cytotoxicity. Oil red O staining was employed to identify the effect of PA on lipid accumulation in 3T3-L1. In the present study, PA water extraction at $70^{\circ}C$ for 6 hours decreased greatly in lipid accumulation. The range of concentrations was 0.1, 0.2 and $0.4mg/m{\ell}$. Concentration at $0.2mg/m{\ell}$ was the most effective one among them. Candidates of active ingredients in PA were shown plantamajoside and acteoside through UPLC.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ffect of PA water extraction at $70^{\circ}C$ on lipid accumulation in 3T3-L1 is superior to other extraction conditions. We suppose that plantamajoside and acteoside may be candidates of active ingredients in PA.

강우시 도로지역 비점오염물질 유출특성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from Road Area During Rainfall Events)

  • 박운지;이수인;이해승;이영준;최중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403-40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강우시 도로지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 유출 및 수질특성을 살펴보고자 도로지역(국도 46호선)을 대상으로 총 16회의 강우사상에 대해 분석하였다. 모니터링 기간(2014년 5월~9월)동안 연구대상지역에는 3.2~80.3 mm의 강우가 발생하였으며, 강우강도는 0.39~11.29 mm/hr의 범위로 나타났다. 선행무강우일수는 0.3~20.1일이며, 총 유출량은 0.1~6.8 ㎥, 유출율은 0.24~0.85(평균 0.6)의 범위로 나타났다. 강우 모니터링 결과, 유량가중평균농도(Event Mean Concentration, EMC)는 TOC 4.9~56.2 mg/L(평균 18.0 mg/L), BOD 3.1~21.5 mg/L(평균 7.5 mg/L), COD 6.7~58.6 mg/L(평균 23.6 mg/L), SS 2.1~281.9 mg/L(평균 59.4 mg/L), T-N 1.07~13.46 mg/L(평균 4.89 mg/L) 그리고 T-P 0.065~0.680 mg/L(평균 0.23 mg/L)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강우계급별로 살펴보면 0~10 mm일 때 BOD 9.3 mg/L, COD 30.5 mg/L, SS 84.1 mg/L, T-N 5.42 mg/L, T-P 0.27 mg/L로, 10~30 mm일 때 BOD 6.6 mg/L, COD 22.0 mg/L, SS 29.0 mg/L, T-N 4.9 mg/L, T-P 0.20 mg/L로, 50 mm 이상의 강우에서는 BOD 3.6 mg/L, COD 7.1 mg/L, SS 46.4 mg/L, T-N 3.42 mg/L, T-P 0.10 mg/L로 강우계급별 EMC는 대부분 수질항목에 있어 10 mm 이하 계급의 평균 EMC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 강우사상에 대한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는 TOC 0.06~3.5 kg/ha, $BOD_5$ 0.03~1.6 kg/ha, CODMn 0.09~4.74 kg/ha, SS 0.09~35.99 kg/ha, T-N 0.012~2.600 kg/ha, T-P 0.001~0.062 kg/ha의 범위로 산정되었다. 도로지역은 불투수층 면적비율이 높아 누적강우량 10 mm 이하에서도 유출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작은 강우에도 초기유출이 발생하고 유출되는 오염물질 농도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대시호탕의 새로운 제형이 3T3-L1에서 지방세포 증식과 분화 과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for the New Formulation of Daesiho-tang on adipocyte development and differentiation in 3T3-L1)

  • 최혜민;김세진;문성옥;이지범;이하영;김종범;이화동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69-77
    • /
    • 2018
  • Objectives : Daesiho-tang (DSHT) has been widely used in the treatment of cerebral infarct in traditional medicine. However, there was not report on the anti-obesity-related diseases efficacy of DSH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for the new formulation of DSHT, on the adipocyte differentiation cycle in 3T3-L1 cells. Methods : 3T3-L1 cells were treated with DSHT (50, 100, $200{\mu}g/m{\ell}$) during differentiation for 6 days. Also, the inhibitory effect of DSHT against 3T3-L1 adipogenesis was evaluated in various stage of adipogenesis such as early (0-2day), intermediate (2-4day), and terminal stage (4-6day). The accumulation of lipid droplets was determined by Oil Red O staining. and, the expressions of genes related to adipogenesis were measured by RT-PCR and Western blot analyses. Results : DSHT showed inhibitory activity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at 3T3-L1 preadipocytes without affect cell toxicity as assessed by measuring fat accumulation and adipogenesis. In addition, DSHT significantly reduced the expression levels of several adipocyte marker genes including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gamma}$ ($PPAR-{\gamma}$) and CCAAT/ enhancer-binding $protein-{\alpha}$ ($C/EBP-{\alpha}$). Also, the anti-adipogenic effect of DSHT was strongly limited in the intermediate (2-4 day), terminal stage (4-6 day) of 3T3-L1 adipogenesis. In addition, the DSHT treatment down- regulated mRNA expression levels of $PPAR-{\gamma}$,, $C/EBP-{\alpha}$ in mature 3T3-L1 adipocytes.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bility of DSHT has inhibited overall adipogenesis and lipid accumulation in the 3T3-L1 cells. The new formulation of DSHT may be a promising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and related metabolic disorders.

다양(多樣)한 황금약침제제(黃芩藥鍼製劑)가 전지방세포(前脂肪細胞) 3T3-L1의 증식(增殖)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the various aqua-acupunctures of Hwanggum(黃芩) on proliferation of preadipocyte 3T3-L1 cells)

  • 김호경;강은정;고병섭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58-367
    • /
    • 1998
  • These studi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various aqua-aqupunctures of Hwanggum(Scutellariae Radix) on the proliferation of 3T3-Ll cells. They were tested by means of Sulforhodamin B(SRB) assay. The results were summerized as follows: All tested aqua-aqupunctures inhibited the proliferation of preadipose 3T3-Ll cells. In case of the dilution of Hwanggum aqua-aqupuncture(HG), the results were quite opposite. In 1000 times dilution of HG(${\times}1000$), a low concentration increased the proliferation of preadipose 3T3-Ll cells, but the high($100{\mu}l\;and\;200{\mu}l$) concentration inhibited it. These results suggest that Hwanggum aqua-aqupunctures may be used on the obesity induced by the overgrowth of preadipose 3T3-Ll cells.

  • PDF

지방세포 분화중인 3T3-L1 세포에서 아로마테이즈 siRNA 처리에 의한 지방관련 유전자와 전사인자의 발현 조절 (Adipocyte-Related Genes and Transcription Factors were Affected by siRNA for Aromatase Gene during 3T3-L1 Differentiation)

  • 정동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1호
    • /
    • pp.1600-1605
    • /
    • 2008
  • 본 연구는 에스트로겐 생성효소 유전자인 아로마테이즈 유전자의 siRNA를 이용하여 지방전구세포인 3T3-L1 세포의 지방세포 분화 시 나타나는 유전자의 발현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먼저, CYP19A1 (aromatase)의 유전자로부터 siRNA를 3쌍을 디자인하고 이를 지방세포의 전구세포인 3T3-L1세포에 유전자 전이 한 후 분화 유도를 통하여 지방세포 생성의 메커니즘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비만의 원인 유전자인 렙틴 유전자의 발현 억제를 유도할 수 있었으며 특이적으로 인슐린과의 연관성이 매우 높음을 밝혀 낼 수 있었다. 그리고 비만 또는 백색지방 생성 시 발현이 억제되는 adiponectin과 adipsin의 과발현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 결과를 통하여 지방생성의 모든 신호전달체계 중 특정 한 물질을 저해 하므로써 큰 부작용 없이 비만의 문제가 되는 지방생성을 일정 정도 제어 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이 결과는 앞으로 에스트로겐 결핍 또는 과발현에 의하여 문제가 되는 지방생성 메커니즘을 밝히는 연구에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