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3T

Search Result 43,978, Processing Time 0.068 seconds

모형을 이용한 1.5T와 3.0T 자기공명에서의 뇌 대사물질들의 수소 T1과 T2 이완시간의 비교 (Comparison of Proton T1 and T2 Relaxation Times of Cerebral Metabolites between 1.5T and 3.0T MRI using a Phantom)

  • 김지훈;장기현;송인찬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2권1호
    • /
    • pp.20-26
    • /
    • 2008
  • 목적 : 주요 뇌 대사물질들의 T1 및 T2 이완시간들을 1.5T 및 3.0T 자기공명영상에서 산출하고 비교하여, 실제 임상응용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5T와 3.0T에서 N-acetyl aspartate (NAA), Choline (Cho), Creatine (Cr)을 함유한 모형을 이용하여 STEAM (STimulated Echo-Acquisition Mode)방법으로 반복시간 (Repetition time)을 5000 ms, 에코시간 (Echo time)을 20 ms로 고정한 후 혼합시간 (Mixing time)을 11단계로 변화시켜서 획득된 스펙트럼들에서 뇌 대사물질들의 T1 이완시간을 산출하였으며, PRESS (Point-REsolved SpectroScopy)방법으로 반복시간을 3000 ms에 고정시킨 후 에코시간을 5단계로 변화시켜서 획득된 스펙트럼들에서 뇌 대사물질들의 T2 이완시간을 산출한 후 그 결과들을 1.5T와 3.0T사이에서 비교하였다. 결과 : T1 이완시간에 대하여, NAA는 1.5T에서 $2293\;{\pm}\;48\;ms$, 3.0T에서 $2559\;{\pm}\;124\;ms$로 산출되어 1.5T와 비교하여 3.0T에서 11.6% 길어졌고, Cho은 1.5T에서 $2540\;{\pm}\;57\;ms$, 3.0T에서 $2644\;{\pm}\;76\;ms$로 3.0T에서 4.1% 길어졌으며, Cr 은 1.5T에서 $2543\;{\pm}\;75\;ms$, 3.0T에서 $2665\;{\pm}\;94\;ms$로 3.0T에서 4.8% 길어졌다. T2 이완시간에 대하여, NAA는 1.5T에서 $526\;{\pm}\;81\;ms$, 3.0T에서 $468\;{\pm}\;74\;ms$로 산출되어 3.0T에서 11.0% 짧아졌고, Cho은 1.5T에서 $220\;{\pm}\;44\;ms, 3.0T에서 $182\;{\pm}\;35\;ms$로 3.0T에서 17.3% 짧아졌으며, Cr 은 1.5T에서 $289\;{\pm}\;47\;ms$, 3.0T에서 275\;{\pm}\;57\;ms$로, 3.0T에서 4.8% 짧아졌다. 결론 : 1.5T와 비교하여 3.0T에서 모형에 함유된 주요 뇌 대사물질들의 T1이완시간들은 $4.1%\;{\sim}\;11.6%$ 증가하였고, T2이완시간들은 4.8% ~ 17.3% 감소하였으므로, 자기공명분광법의 적정화를 위하여 3.0T에서 반복시간을 연장시키고, 에코시간은 단축시켜야 한다.

  • PDF

오일과 토코페롤 급여가 돈육의 이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Dietary Different Oil and Tocopherol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ork)

  • 진상근;김일석;송영민;정기화;이성대;하경희;김회윤;박기훈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15-121
    • /
    • 2003
  • 우지가 5% 첨가되어 있는 일반적인 비육후기사료를 급여한 돈육(C), 우지 3%에 들깨유 2%를 대체 급여한 돈육(T1), T1에 비타민 E를 250 ppm 첨가한 돈육(T2), 우지 3%에 오징어유 2%를 대체 급여한 돈육(T3), T3에 비타민 E를 첨가 급여한 돈육(T4), 우지 3%에 CLA 2%를 우지 대체 급여한 돈육(T5)의 이화학적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오일만 급여한 처리구들간(C, T1, T3, T5)에 근절길이, 염용성 및 총단백질의 함량은 T1이 다른 세 처리구들보다 낮았으며, 동일한 오일 급여구에서 비타민 첨가구들(T2, T4)이 첨가하지 않은 처리구들(T1, T3)보다 염용성 및 총단백질의 함량은 높게 나타났다. pH및 보수성의 경우 대조구가 다른 세 처리구들(T1, T3, T5)보다 높았으며, 비타민 첨가한 처리구들이 첨가하지 않은 처리구들보다 보수성은 높게 나타났다. 오일간에 육색의 L값과 지방색의 a값의 경우 T5가 다른 세 처리구들(C, T1, T3)보다 높게 나타났다. 신선육의 경도, 부착성, 점착성의 경우 T5가 다른 세 처리구들(C, T1, T3)보다 높게 나타났다. 오일간에 가열육의 부착성의 경우 T3가, 탄력성은 T5가 다른 세 처리구들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비타민 첨가에 따라 경도는 T3가 T4보다 높은 반면 응집력과 탄력성은 반대로 낮게 나타났다.

간작재배가 수수 X 수단그라스 교잡종의 1, 2, 3차 예취시 생육특성, 생산성 및 기호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ter-Cropping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Yield and Palatability of Sorghum X Sudangrass Hybrid in 1st, 2nd and 3rd Cutting Time.)

  • 이상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3-32
    • /
    • 2005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yield and palatability in mono-cropping(T1; sorghum $\times$ sudagrass hybrid, T2; soybean) and inter-cropping[T3; sorghum $\times$ sudagrass hybrid(1) + soybean(2)].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s follows; In plant length. leaf length, leaf width and stem diameter of sorghum $\times$ sudagrass hybrid(SSH). T3(1) was lower than T1 at 1st cutting time. But in 2nd and 3rd cutting time. T3(1) was higher than T1 Stem diameter of T2 was higher than soybean of T3(2). but plant length, leaf length and leaf width of T2 were higher than T3(1). The leaf ratio of SSH in T3(1) was higher than T1 in the first cutting time, but T3(1) was higher than T1 at 2nd and 3rd cutting time. The number of tiller of T1 was higher than SSH of T3(1) at 1st cutting time, but T3(1) was higher than T1 at 2nd and 3rd cutting time. Dead stubble rate of SSH in T3(1) showed a little lower value than T1. Dry matter and fresh yield of T1 was higher than T2 and T3. But protein yield of T3 was higher than T1 The palatability of 1st cutting time was 100.0. 76.8 and $18.5\%$ on T2, T3 and T1, respectively.

간장, 고추장 및 된장 양념으로 발효시킨 함기포장 돈육의 저장기간 동안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Aerobic Packed Pork during Storage after Fermentation with Soy Sauce, Red Pepper and Soybean Paste Seasonings)

  • 진상근;김일석;하경희;류현지;박기훈;이제룡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4호
    • /
    • pp.679-690
    • /
    • 2005
  • 이 연구는 간장, 고추장 및 된장 양념을 이용한 발효 돈육의 품질 특성에 관한 것으로 돼지 뒷다리를 채취하여 $7{\time}10{\time}2$cm 크기로 자른 후 육을 동일한 비율의 소스(간장소스 T1, 고추장소스 T2, 된장소스 T3)에 침지하여 $1{\pm}1^{\circ}C$에서 10일간 발효숙성한 후 함기포장하여 $1{\pm}1^{\circ}C$에서 1, 14 및 28일 동안 저장하면서 품질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H는 T1이 저장 1일에 T2와 T3에 비해 낮았지만, 저장 14일과 28일에 현저하게 높았다(P<0.05). 보수성은 T1이 저장 1일과 28일에 T2와 T3에 비해 높았다. 전단가는 T3가 T1과 T2에 비해 낮았다. 표면 육색의 L*값은 T3가 T1과 T2에 비해 높았지만, a*와 b*값은 T2가 T1과 T3에 비해 현저하게 높았다(P<0.05). VBN은 저장 1일과 14일에 T3가 T2에 비해 낮았지만, 저장 28일에는 T1이 T2와 T3에 비해 현저하게 낮았다(P<0.05). TBARS는 저장 14일과 28일에 T3가 T1과 T2에 비해 현저하게 낮았다(P<0.05). 총균수는 저장 1일에 T1이 T2와 T3에 비해 낮았지만, 저장 14일과 28일에는 T2가 T1과 T3에 비해 현저하게 낮았다(P<0.05). 대장균 수는 저장 1일에 T1과 T3가 T2에 비해 현저하게 낮았고(P<0.05), 저장 14일과 28일에는 T2와 T3는 대장균 성장을 나타내지 않았다. 유산균 수는 T2가 T1과 T3에 비해 낮았다. 이상에서, 고추장 발효 돈육인 T2는 양념육 고유의 색을 나타내면서 미생물 성장을 지연시켰다.

논토양에서 파종시기와 재배기간이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육특성, 건물수량 및 사료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ing Dates and Growth Periods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Dry Matter Yield and Feed Value of Corn for Silage in Paddy Field)

  • 이상무;이재훈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2권5호
    • /
    • pp.441-448
    • /
    • 2010
  • 본 연구는 파종시기와 재배일수가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육특성, 수량성 및 사료적 가치를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으며, 시험구 처리는 파종시기를 5월 1일(T1), 5월 8일(T2), 5월 15일(T3), 5월 22일(T4) 및 5월 29 (T5)일로 하고 수확 시기는 일괄 8월 24일로 실시하였다. 따라서 재배기간은 T1, T2, T3, T4 및 T5구가 각각 115, 108, 101, 94, 87일로 난괴법 5처리 3반복으로 하였다. 수확시 숙기는 T1, T2, T3, T4 및 T5구가 각각 황숙기, 황숙기 초기, 호숙기 말기, 호숙기, 호숙기 초기 상태였다. 생육특성에 있어서 초장과 근계 발생(1, 2, 3, 4 차근 발생 정도)은 T5구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1). 엽장은 T4구에서(P<0.05), 고사엽, 알곡충실도 암이삭 둘레는 T1구가 다른 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0.01). 그러나 엽폭, 착수고, 엽수, 암이삭 길이, 경의 굵기, 경경도 및 당도에 있어서는 상호 처리 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건물 및 TDN 수량은 파종시가 빠르고 재배기간이 길었던 T1 > T2 > T3 > T4 > T5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1). 조단백질, 조회분, NDF, ADF, 조섬유 함량은 T4구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0.01) 조지방 함량은 T1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1). 총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T4 > T3 > T1 > T2 > T5 순으로 총 비필수아미노산 함량은 T1 > T4 > T2 > T3 > T5 순으로 총 아미노산 함량은 T4 > T1 > T3 > T2 > T5구 순으로 나타났지만 이들 처리구간에는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총불포화지방산, 총포화지방산 함량은 T1구에서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다(P<0.01). 그리고 총불포화지방산/포화지방산의 비율은 T1 > T2 > T3 > T4 > T5구 순으로 나타났다. 무기물성분은 T4구가 4,721.25 mg/100 kg으로서 가장 높았던 반면 T2구는 2,970.80 mg/kg으로서 다른 구에 비하여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P<0.05). 이상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논토양에서 사일리지용 옥수수 재배는 5월 초순에 파종하여 황숙기에 수확 하는 것이 건물수량과 영양수량 생산에 유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경운횟수와 파종기 이동이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육특성, 사료가치, 잡초발생 및 가축의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owing Frequency and Sowing Dates on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Feed Value, Weed Yield and Palatability of Silage Corn)

  • 이상무;김병태;황주환;전병태;문상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09-218
    • /
    • 2007
  • 본 실험은 파종시기 및 경운횟수가 옥수수의 생육특성, 건물수량, 영양수량 및 사일리지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파종시기 및 경운횟수를 통한 5처리(C : 파종 5월 5일, 경운회수 1회, 인력제초 1회, T1 ; 파종 5월 12일, 경운회수 2회, T2 : 파종 5월 19일, 경운회수 3회, T3 : 파종 5월 21일, 경운회수 4회, T4 : 파종 6월 2일 경운회수 5회) 3반복으로 2006년 5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상주대학교 부속 실습농장내 사료포장에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초장과 착수고는 C > T1 > T2 > T3 > T4구순으로 높게 나타났지만 초장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착수고에서는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엽장은 T2가 96.0cm로 가장 길게 나타났지만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엽폭은 C와 T3구가 (11.2cm), 고사엽은 C 및 T1구가 각각 4.6엽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경의 굵기에 있어서는 T3구가 31mm로 가장 높았던 반면 T2구가 25mm로 가장 가늘게 나타났다(p<0.05). 암이삭 둘레는 C(17.1 cm) > T1(15.6 cm) > T4(15.4 cm) > T3(15.3 cm) > T2(15.2cm)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암이삭 충실도는 C구가 8.8로서 가장 높았던 반면 T4구가 6.0으로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P<0.05). 경의 경도와 알곡 경도는 파종시기가 빠른 순 인 C > T1 > T2 > T3 > T4순으로 나타났다(p<0.05). 그리고 경의 당도는 T1구가 6.1%로 가장 높고, T2구가 3.0%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p< 0.05). 잡초 발생량은 C구가 500 kg/ha으로 가장 적게 T1구가 44,100 kg/ha로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0.05), 잡초의 피복도는 T1 > T2 > T3 > T4 > C구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생초수량은 C구가 73,550 kg/ha로서 가장 높았던 반면 T4구가 65,500 kg/ha로서 가장 낮은 수확량을 보였다(p<0.05). 건물수량에 있어서는 C(26,978 kg/ha) > T1(26,130 kg/ha) > T2(20,255 kg/ha) > T3(20,255 kg/ha) > T4(17,508 kg/ha)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조단백질 함량은 T1 > T4 > T2 > T3 > C구순으로 높았으며(p<0.05), 조지방은 C > T1 > T2 > T3 > T4구순으로 높았다. 상대기호성은 Holstein, 염소 및 꽃사슴에서는 C구가 가장 높은 기호성을 보였으나 한우에서는 T1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옥수수 Silage 및 조사료 급여 체계가 유량 및 유성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rn Silage and Roughages Feeding Systems on Milk Yield and Compositions)

  • 이상무;이준영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3-52
    • /
    • 2004
  • 본 실험은 사료급여 종류가 동절기 우유의 생산량 및 조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1998년 10월 부터 1999년 3월까지 실시하였다. 실험구 처리는 볏짚구(볏짚 위주 조사료+농후사료: T1)를 대조구로 하여 옥수수 사일리지구(옥수수 사일리지 위주 + 농후사료:T2) 및 TMR구(완전혼합사료: T3)를 상호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우유 생산량은 T2(31.9$\pm$3.2kg) > T3(29.6$\pm$3.8kg) > T1구(22.5$\pm$2.0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5). 그리고 산차별 우유 생산량은 T2 및 T3구는 3산에서(P<0.01), T1구는 4산에서 높은 유량을 나타냈다. 2. 유지율은 T3구가 3.79$\pm$0.31%로 가장 높았던 반면 T1구는 2.64$\pm$0.20%(P<0.01)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으며, 산차별로는 2 산차가 높은 경향치를 보였다. 3. 단백질 함량은 사료종류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T1구(3.17%$\pm$3.56%)에 비하여 T2(3.25$\pm$0.05%) 및 T3구(3.29$\pm$0.10%)가 높은 경향을 나타났으며(P<0.05), 산차에 따라서는 뚜렷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4. 무지고형분 함량은 T3(8.74$\pm$0.18%)>T2(8.47$\pm$0.22%)>T1구(8.56$\pm$0.04%) 순으로 나타났으며, 총고형분 함량은 T3(12.51$\pm$0.57%)>T1(11.71$\pm$0.62%) > T2구(11.52$\pm$0.55%)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호간 유의차는 없었다. 5. 체세포 수는 T1구가 39.6$\pm$4.6${\times}$$10^4$Cell/ml 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던 반면 T2구는 28.7$\pm$4.4 ${\times}$ $10^4$ Cell/ml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볏짚구(T1)에 비하여 TMR(T3) 및 옥수수 사일리지(T3) 급여체계는 유량 증대 및 우유성분 함량을 높이는 데 매우 효율적인 방안으로 나타났다.

MnO2, Fe2O3 첨가에 따른 0.05Pb(Al2/3W1/3)O3-0.95Pb(Zr0.52Ti0.48)O3계의 유전 및 압전 특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the Dielectric and Piezoeletric Properties of 0.05Pb(AlS12/3TWS11/3T)OS13T-0.95Pb(ZrS10.52TTiS10.48T)OS13T System Modified with MnOS12T and FeS12TOS13T)

  • 윤석진;오현재;정형진
    • 대한전기학회논문지
    • /
    • 제41권5호
    • /
    • pp.508-516
    • /
    • 1992
  • In this study, dielectric and piezoelectric properties of 0.05Pb(AlS12/3TWS11/3T)OS13T-0.95Pb(ZrS10.52TTiS10.48T)OS13T system ceramics were investigated with respect to the variations of MnOS12T and FeS12TOS13T additions amount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s the amounts of MnOS12T and FeS12TOS13T are increased, tetragonality(c/a) and apparent density were decreased but grain size was increased, also the limits of solubility were revealed because pores were formed at the amounts of 0.3wt% MnOS12T and 0.5wt% FeS12TOS13T. 2. AS the increasing of amounts of MnOS12T and FeS12TOS13T, the temperature of phase transition(TS1cT) was decreased, and pemeability had maximum value at the amount of 0.3wt% MnOS12T but were sharply decreasd for the increasing FeS12TOS13T amounts. 3. As the amounts of MnOS12T and FeS12TOS13T are increased, the electro-mechanical coupling factor(kS1pT) was decreased from 60% to 41%, 19% respectively, but mechanical quality factor(QS1mT) had maximum values 720 for amount of 0.3wt% MnOS12T and 320 the amount of 0.5wt% FeS12TOS13T.

사료내 생균제, 일라이트, 활성탄 및 목초액의 첨가가 육계의 성장 능력 및 도체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Supplemention with Probiotics, Illite, Active Carbon and Hardwood Vinegar on the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Broiler)

  • 김영직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65-172
    • /
    • 2007
  • 본 시험은 육계에 대한 생균제, 일라이트, 활성탄 및 목초액의 사료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생균제 0.2%(T1)와 일라이트(T2), 활성탄(T3) 및 목초액(T4)을 각각 1.0%를 broiler 200수에 급여하여 증체량, 사료 섭취량, pH, 전단력, 관능 평가, 육색 및 지방산 함량을 분석하였다. 증체량은 전기 사료 급여 시에 C보다 T1과 T4에서 유의적으로 높았고, 후기 사료 급여 시는 C와 T4보다 T1, T2 및 T3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사료 효율은 처리구간에 유의성이 없었다. 계육의 일반 성분 중 수분과 조단백질 및 조회분은 유의성이 없으며, 조지방은 대조구보다 처리구에서 낮은 함량을 보였다. 가열 감량은 T3와 T4에서 낮았으며, 보수성은 T3와 T4에서 높았다. 관능 평가 결과 연도는 C가 가장 높고 T4가 제일 낮아 연도 개선 효과를 보였다. 육색 중 적색도$(a^*)$ 및 황색도$(b^*)$ 값은 모든 처리구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명도$(L^*)$값은 T1, T2, T3 및 T4에서 대조구보다 높았다(P<0.05). 포화 지방산인 stearic acid 함량은 C보다 T1, T2, T3 및 T4에서 낮았으며, 불포화 지방산인 oleic acid 함량은 대조구보다 처리구에서 높았다(P<0.05). 결론적으로 육계 사료에 목초액을 1% 첨가 급여할 경우 경쟁력 있는 브랜드 계육의 생산이 가능하며, 농가 소득 증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갑상선 호르몬의 경구투여가 육계의 사양성적, 체조성, 혈청 호르몬 농도 및 에너지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Thyroid Hormone on Growth Performance, Body Composition, Serum Thyroid Hormone Concentration and Energy Metabolism of Broiler Chicks)

  • 가천흥;김창혁;채병조;이영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37-245
    • /
    • 199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thyroid hormone (T$_3$and T$_4$) on growth, feed conversion ratio and serum T$_3$or T$_4$concentration of broiler chicks. Zero to six week-old broiler chick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seven treatment groups for feeding trials with three replication : control, T$_3$(0.1), T$_3$(1.0), T$_3$(5.0), T$_4$(0.1), T$_4$(1.0), T$_4$(5.0) ppm group. Concentrations of T$_3$and T$_4$in serum were analyzed. The weight gain of T$_3$(1.0), T$_3$(5.0) and T$_4$(5.0)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control.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adverse effect was observed in other groups (p〉0.05). Feed intak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_3$(0.1, 1.0 and 5.0) and T$_4$(5.0) than in control group (p〈0.05), and the feed conversion ratio had a similar trend to the feed intake change. The contents of liquid and abdominal fat pad in carcas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all T$_3$and T$_4$groups (p〈0.05). T$_3$and T$_4$concentration in serum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over 1.0ppm of the hormone supplementation level. As T$_3$addition level increased, T$_4$concentration in serum reduced ; however, T$_3$in serum was directly proportional during fasted were slightly increased when T$_3$or T$_4$was added to broiler die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