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MS

검색결과 6,196건 처리시간 0.037초

모형을 이용한 1.5T와 3.0T 자기공명에서의 뇌 대사물질들의 수소 T1과 T2 이완시간의 비교 (Comparison of Proton T1 and T2 Relaxation Times of Cerebral Metabolites between 1.5T and 3.0T MRI using a Phantom)

  • 김지훈;장기현;송인찬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2권1호
    • /
    • pp.20-26
    • /
    • 2008
  • 목적 : 주요 뇌 대사물질들의 T1 및 T2 이완시간들을 1.5T 및 3.0T 자기공명영상에서 산출하고 비교하여, 실제 임상응용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5T와 3.0T에서 N-acetyl aspartate (NAA), Choline (Cho), Creatine (Cr)을 함유한 모형을 이용하여 STEAM (STimulated Echo-Acquisition Mode)방법으로 반복시간 (Repetition time)을 5000 ms, 에코시간 (Echo time)을 20 ms로 고정한 후 혼합시간 (Mixing time)을 11단계로 변화시켜서 획득된 스펙트럼들에서 뇌 대사물질들의 T1 이완시간을 산출하였으며, PRESS (Point-REsolved SpectroScopy)방법으로 반복시간을 3000 ms에 고정시킨 후 에코시간을 5단계로 변화시켜서 획득된 스펙트럼들에서 뇌 대사물질들의 T2 이완시간을 산출한 후 그 결과들을 1.5T와 3.0T사이에서 비교하였다. 결과 : T1 이완시간에 대하여, NAA는 1.5T에서 $2293\;{\pm}\;48\;ms$, 3.0T에서 $2559\;{\pm}\;124\;ms$로 산출되어 1.5T와 비교하여 3.0T에서 11.6% 길어졌고, Cho은 1.5T에서 $2540\;{\pm}\;57\;ms$, 3.0T에서 $2644\;{\pm}\;76\;ms$로 3.0T에서 4.1% 길어졌으며, Cr 은 1.5T에서 $2543\;{\pm}\;75\;ms$, 3.0T에서 $2665\;{\pm}\;94\;ms$로 3.0T에서 4.8% 길어졌다. T2 이완시간에 대하여, NAA는 1.5T에서 $526\;{\pm}\;81\;ms$, 3.0T에서 $468\;{\pm}\;74\;ms$로 산출되어 3.0T에서 11.0% 짧아졌고, Cho은 1.5T에서 $220\;{\pm}\;44\;ms, 3.0T에서 $182\;{\pm}\;35\;ms$로 3.0T에서 17.3% 짧아졌으며, Cr 은 1.5T에서 $289\;{\pm}\;47\;ms$, 3.0T에서 275\;{\pm}\;57\;ms$로, 3.0T에서 4.8% 짧아졌다. 결론 : 1.5T와 비교하여 3.0T에서 모형에 함유된 주요 뇌 대사물질들의 T1이완시간들은 $4.1%\;{\sim}\;11.6%$ 증가하였고, T2이완시간들은 4.8% ~ 17.3% 감소하였으므로, 자기공명분광법의 적정화를 위하여 3.0T에서 반복시간을 연장시키고, 에코시간은 단축시켜야 한다.

  • PDF

파브리병의 신속한 진단을 위한 소변 중 Globotriaosylsphingosine의 UPLC-ESI-MS/MS 분석법 (Quantification of Globotriaosylsphingosine in Urine using UPLC-ESI-MS/MS; Application for Screening Fabry Disease)

  • 윤혜란
    • 약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15-20
    • /
    • 2016
  • Globotriaosylsphingosine (lyso Gb3) is considered as one of the biomarkers for Fabry disease. A rapid and simple UPLC-MS/MS method was developed for the determination of reliable biomarker, lyso Gb3. Total analytical procedure takes only 15 min including sample preparation and MS/MS analysis. Limit of detection was 0.85 ng/ml (S/N=3). The calibration curve was linear over the range of 2.0~400.0 ng/ml ($R^2=0.9999$). Inter-day and intra-day assay accuracy were 93.4~100.6% (RSD, 0.6~6.0%) and 97.5~100.7% (RSD, 3.6~5.2%). Absolute recoveries of 97.6~98.6 showed excellence of a new analytical method. The method was applied to human and mice urines, proved the suitability for the quantification of lyso-Gb3 for screening, diagnosis and therapeutic monitoring of Fabry disease patients.

Mass Spectrometer를 이용한 대두 배아 출추 Cerebroside의 구조 분석 (Structural Determination of Cerebrosides from Soybean Embryo by Mass Spectrometer)

  • 김정훈;장석윤;김여경
    • 분석과학
    • /
    • 제6권3호
    • /
    • pp.335-343
    • /
    • 1993
  • Fast atom bombardment mass spectrometer(FAB-MS),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er(GC-MS), TLC 등을 이용하여 대두 배아 추출 cerebroside의 구조를 분석하였다. Cerebroside를 이루고 있는 각각의 구성 성분은 화학적인 산분해 후 GC-MS로 분석하였다. Cerebroside의 분자량 분포는 LiOH로 포화된 3-nitrobenzyl alcohol(3-NBA)를 matrix로 한 양이온 검출 FAB-MS법으로 측정하였다. FAB-MS와 GC-MS 결과를 종합하여 cerebroside의 구조를 해석함으로써 기존의 분석법이 가지고 있던 문제점을 개선하였다. 대두 배아로부터 추출한 cerebroside의 대부분은 N-2'-hydroxy palmitoyl-sphingadienine에 당이 한 분자 결합된 형태로 존재하였으며 그 조성이 매우 단순하였다.

  • PDF

세포질.유전자적 웅성불임 계통을 이용한 유채 Heterosis 육종에 관한 연구 제3보 유채 세포질 유전자적 웅성불임 계통의 불임안전성과 유.박의 성분 개량 (Studies on the Heterosis Breeding in Rape by Using Cytoplasmic Genetic Male Sterile lines 3. Development of Complete Cytoplasmic Genetic Male Sterile Line "MOKPO-MS" Having Improved Quality of Oil and Oil Cake)

  • 이정일;권병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50-58
    • /
    • 1980
  • 유채에서 $F_1$의 잡종강세를 이용함에 있어 Shiga나 Thmpson이 개발한 MS들은 고온에서 불임성이 회복되고 유질과 유박의 성분도 개량되지 못하였으므로 이같은 결점이 보완된 새로운 MS를 개발코저 연구를 계속한 결과 완전한 불임성이면서 에루친산과 구루코지노레이트가 제거, 개량된 새로운 세포질.유전자적 웅성불임계통 Mokpo-MS가 육성되었다. 이를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1. Mokpo-MS는 캐나다 품종인 Tower를 어미로 하고 일본 품종 Isuzu를 화분친으로한 F_2에서 발견된 MS를 1입식 Q.C.T.법으로 Zero-erucic acid 개체를 선발하고 이를 Test-tape법으로 Zero-glucosinolate 개체를 재 선발하여 고정시켰다. MS유지는 임성인 자매개체, 계통의 화분으로 ,유지시켰다. 2. 세포질 유전자적 웅성불임계통 여부를 검정코저 Tower \times Isugu의 정역 조합을 작성하여 $F_2$에서 MS 분리비를 조사한 결과 Tower가 어미인 조합에서는 3 : 1의 비율로 MS가 분리되었으며 Tower가 화분친으로 된 조합에서는 전부 임성으로 발현되었으므로 Tower의 S세포질과 Isuzu의 핵내 S유전자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현되는 세포질 유전자적 웅성불임 계통임이 밝혀졌다.3. Mokpo-MS는 같은 계통내 임성인 개체의 화분으로 유지시키면 차대에서 각 50 %의 MS와 임성이 분리된다. 4. Moo-MS는 기존MS들 보다 2~3일 숙기가 빠르며 3~17개나 분지수가 더 많고 화기에서 웅예의 길이가 0.2mm 약장은 거의 없으며 상대적 위치가 0.0인 완전 MS였다. 5. 새로 육성된 Mokpo-MS의 유질은 바람직하지 못한 에루친산과 에이꼬젠산이 완전 제거되고 대신 양질 지방산인 오레인산과 리놀산 함량이 92%에 달하는 양질유 MS이다. 6. 유박의 사료화를 위한 성분개량에서도 유해물질인 Glucosinolate성분이 완전 제거되어 도입 대두박에 대체 가능하다. 7. Mokpo-MS는 화기의 불임성에 관계되는 형질이나 기타 생태적인 실용형질들이 완전히 인정되었다.

  • PDF

Sex Determination Using a Discriminant Analysis of Maxillary Sinuses and Three-Dimensional Technology

  • Jeong-Hyun Lee;Hee-Jeung Jee;Eun-Seo Park;Seok-Ho Kim;Sung-Suk Bae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49-255
    • /
    • 2022
  • Background: Sexual dimorphism is important for sex determination in the field of forensics. However, sexual dimorphism is commonly assessed using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rather than three-dimensional (3D) modeling software; therefore, studies using a more accurate measurement approach are necessary. This study assessed the sexual dimorphism of the MS using a 3D modeling program to obtain information that could contribute to the fields of surgery and forensics. Methods: The CBCT data of 60 patients (age, 20~29 y; 30 males and 30 females) admitted to the Department of Orthodontics at the Dankook University School of Dentistry were provided in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DICOM) format. The left MS and right MS were modeled based on the DICOM files using the Mimics (version 22; Materialise, Leuven, Belgium) 3D program and converted to stereolithography (STL) files used to measure the width, length, and height of the MS, infraorbital foramen (IOF), right MS, and left MS. The average of three repeated measurements was calculated, and a reliability test was performed to ensure data reliability (Cronbach's α=0.618). A canonical discriminant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 standard approach (left: Box's M=0.096; right: Box's M=0.115). Results: Males had greater values for all parameters (MS width, MS length, MS height, IOF, right MS, left MS) than females. The discriminant analysis identified six independent variables (MS width, MS height, MS length, IOF, right MS, left MS) that could identify sex. The left MS and right MS correctly identified the sex of 81.7% and 71.7% of the patients, respectively, with the left MS having higher accuracy.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for Korean individuals, the left MS has a better ability to identify sex than the right MS. These results may contribute to sex identification in the fields of surgery and forensics.

Analysis of Amyloid Beta 1-16 (Aβ16) Monomer and Dimer Using Elect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with Collision-Induced Dissociation

  • Kim, Kyoung Min;Kim, Ho-Tae
    • Mass Spectrometry Letters
    • /
    • 제13권4호
    • /
    • pp.177-183
    • /
    • 2022
  • The monomer and dimer structures of the amyloid fragment Aβ(1-16) sequence formed in H2O were investigated using elect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MS) and tandem MS (MS/MS). Aβ16 monomers and dimers were indicated by signals representing multiple proton adduct forms, [monomer+zH]n+ (=Mz+, z = charge state) and [dimer+zH]z+ (=Dz+), in the MS spectrum. Fragment ions of monomers and dimers were observed using collision-induced dissociation MS/MS. Peptide bond dissociation was mostly observed in the D1-D7 and V11-K16 regions of the MS/MS spectra for the monomer (or dimer), regardless of the monomer (or dimer) charge state. Both covalent and non-covalent bond dissociation processes were indicated by the MS/MS results for the dimers. During the non-covalent bond dissociation process, the D3+ dimer complex was separated into two components: the M1+ and M2+ subunits. During the covalent bond dissociation of the D3+ dimer complex, the b and y fragment ions attached to the monomer, (M+b10-15)z+ and (M+y9-15)z+, were thought to originate from the dissociation of the M2+ monomer component of the (M1++M2+) complex. Two different D3+ complex geometries exist; two distinguished interaction geometries resulting from interactions between the M1+ monomer and two different regions of M2+ (the N-terminus and C-terminus) are proposed. Intricate fragmentation patterns were observed in the MS/MS spectrum of the D5+ complex. The complicated nature of the MS/MS spectrum is attributable to the coexistence of two D5+ configurations, (M1++M4+) and (M2+M3+), in the Aβ16 solution.

UPLC-MS/MS를 이용한 배추와 배추김치의 글루코시놀레이트 및 대사체 분석 (Analysis of glucosinolates and their metabolites from napa cabbage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and napa cabbage kimchi using UPLC-MS/MS)

  • 김재철;박효순;황금택;문보경;김선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6호
    • /
    • pp.587-59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부위별 배추와 배추김치에 함유되어 있는 글루코시놀레이트류의 조성을 UPLC-MS/MS를 이용하여 탐색하고, 인돌류 대사체를 MS/M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글루코시놀레이트류는 음이온 모드([M-H]-)에서 검출되었으며, glucobrassicanapin (m/z 386), glucoalyssin (m/z 450), glucobrassicin (m/z 447), 4-methoxyglucobrassicin (m/z 477), neoglucobrassicin (m/z 477)는 MS scan 모드에서, gluconapin (m/z 372→97), progoitrin (m/z 388→97), glucoiberin (m/z 422→97), 4-methoxyglucobrassicin (m/z 477→97), neoglucobrassicin (m/z 477→447)는 MS/MS MRM 모드에서 검출되었다. Glucobrassicin과 같은 인돌기 함유 글루코시놀레이트류들이 대사되어 생성되는 인돌류 대사체로는 ascorbigen (m/z 306→130)과 I3A (m/z 146→118)가 MS/MS MRM ([M+H]+) 모드에서 검출되었다. Ascorbigen은 NKC보다 IPC와 OPC에 유의적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I3A는 NKC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나 시료 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배추와 배추김치에 존재하는 글루코시놀레이트류와 그 대사체인 인돌류 물질을 UPLC-MS/MS를 이용하여 분석할 수 있었다.

Liquid Chromatography-Mass/Mass Spectrometry (MS)와 Gas Chromatography-MS를 이용한 농축 액상 비료제품 중 Indole-3-acetic acid 및 Indole-3-butyric acid 정량분석능 비교 (Comparison of Liquid Chromatography-Mass/Mass Spectrometry (MS) and Gas Chromatography-MS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Indole-3-acetic acid and Indole-3-butyric acid from the Concentrated Liquid Fertilizer)

  • 김진효;박종민;최근형;박연기;임건재;김두호;권오경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6권1호
    • /
    • pp.53-57
    • /
    • 2013
  • 비료제품에는 의도적 혹은 비의도적으로 농약으로 등록된 indole-3-acetic acid (IAA) 및 indole-3-butyric acid (IBA)성분에 대한 잔류 가능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으나, 생장조정제가 아닌 비료제품에서 mg/L 수준의 옥신류 잔류분석법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체시료에 미량 잔류하는 IAA 및 IBA 분석에 사용되어 온 liquid chromatography-mass/mass spectrometry (LC-MS/MS)와 gas chromatography-MS 기기분석법을 활용하여 농축 액상비료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지 조사하였으며, 액상 비료제품에 적용 가능한 정밀기기 분석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수용액 상태의 시료에서 식물 생장호르몬인 IAA와 IBA를 가장 손쉽게 정제할 수 있는 방법으로 hydrophile-lipophile balance (HLB) solid phase extraction를 활용하였으나, 제한된 조건에서 LC-MS/MS를 통한 정량분석은 적합한 회수율을 확보하지 못하였고, 정성분석만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반면, 비료제품 250배 희석액을 사용하여 HLB 정제, trimethylsilyl chloride을 이용한 methylation을 통한 GC-MS 분석에서는 검출한계 1.4 mg/L과 93-107%의 회수율로 액상 비료제품에서 IAA와 IBA 정량분석법을 확립할 수 있었다.

가열시간을 달리하여 제조한 홍합육수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ssel Stock with Different Heating Times)

  • 유수현;신경은;최수근;서윤원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09-21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소스나 수프 등의 기본재료가 되는 홍합 육수를 제조함에 있어서 홍합의 각종 영양 성분을 적절하게 이용하여 홍합 육수를 만들고자 하였다. 수분함량은 가열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p < 0.05)으로 낮아졌다. 색도측정 결과, L값은 MS1(35.48)이 가장 높았고, a값도 MS1(-2.39)이 가장 높았으며, b값은 MS5(-9.49)가 가장 높았다. pH는 MS5가 6.56으로 가장 낮아 가열시간이 증가 시 시료 간의 유의적(p < 0.001)인 차이를 보이며 낮아졌다. 당도는 MS3이 $4.03^{\circ}Brix$로 가장 높았고, MS1이 $3.37^{\circ}Brix$로 가장 낮았다. 염도는 MS1이 0.71%로 가장 낮았고, 가열시간이 증가 시 시료간의의 유의적인(p < 0.001) 차이를 보이며 염도가 높아졌다. 홍합육수의 특성차이검사 결과, 육수의 외관, 투명도, 비린냄새, 비린맛, 짠맛은 가열시간 증가 시 강하게 평가되었다. 감칠맛은 MS4가 4.33으로 가장 강하게 평가되었다. 홍합육수의 기호도 검사 결과, 맛, 전체적인 기호도 항목에서는 MS3이 가장 좋게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가열시간 증가로 홍합육수의 기호도가 대체적으로 좋게 평가되었으며, 홍합육수 제조 시 가열시간이 15분일 때 기호도가 상승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