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GPP-AKA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3초

3GPP-WLAN 연동을 위한 EAP-AKA에서의 키 생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key generation in EAP-AKA for 3GPP-WLAN interworking)

  • 박미애;김용희;김창범;이옥연
    • 한국정보보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보호학회 2003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351-355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3GPP-WLAN 연동 보안에 필수인 EAP-AKA를 기반으로 한 인증/재인증의 개요와 인증 진행 부분에서 협상되는 마스터 세션 키 생성과 EAP AKA 패킷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키 생성에 관하여 설명하고, EAP-AKA 과정에서 생성되는 키의 안전성을 분석하고, EAP-AKA를 사용하는 3GPP-WLAN 연동의 효율성 및 고려사항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PDF

이질적인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인증 연동을 위한 비 UICC 방식의 EAP-AKA 인증 (EAP-AKA Authentication without UICC for Interworking Authentication in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 최재덕;정수환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6권5호
    • /
    • pp.168-177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3GPP 시스템 중심의 WLAN/WiBro 네트워크 연동 환경에서 UICC를 사용하지 않는 EAP-AKA 인증을 제안한다. UICC 방식의 EAP-AKA 인증을 기존 WLAN/WiBro 단말들에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기존 무선 단말들이 UICC를 추가로 장착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 부담이 있고, WLAN/WiBro 이동 단말의 구조적인 문제로 UICC를 장착할 수 없을 경우 인증 연동에 어려움이 있다. 만약 이러한 이유로 이동 단말들이 UICC 장착 없이 EAP-AKA를 사용한다면, UICC에 저장되어 있는 128 비트의 long-term 비밀키가 단말에 저장되기 때문에 비밀정보 저장에 있어서 매체 분리 원칙에 위배되어 안전성이 떨어지고, 이동 단말이 바뀔 경우 long-term 비밀키 이동에 대한 불편함이 발생한다. 제안 기법은 Diffie-Hellman 암호 알고리즘과 사용자 패스워드를 사용하여 UICC 기반의 EAP-AKA와 같은 수준의 안전성과 편리한 이동성 및 휴대성을 제공한다. 또한 기존 3GPP 시스템 인증 구조의 큰 수정을 요구하지 않지 않기 때문에 통합 무선 네트워크에 인증 기법으로 적합하다.

3GPP 네트워크에서 효율적인 인증 데이터 관리를 위한 개선된 AKA 프로토콜 (Improved AKA Protocol for Efficient Management of Authentication Data in 3GPP Network)

  • 김두환;정수환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93-103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3GPP 네트워크에서 USIM 기반의 사용자 인증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기존의 3GPP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인증 방식에서 발생 가능한 Sequence Number 동기 문제, 인증 데이터 Overhead 문제, 네트워크 간 시그널링 Overhead 문제 등을 개선한다. 제안 기법은 기존의 USIM 기반의 AKA 인증 프로토콜을 기본 모델로 사용하고 단말과 SN이 공유한 SK와 Time Stamp를 통해서 AKA 인증 절차를 수행하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인증 벡터의 Sequence Number의 동기 여부를 확인할 필요 없이 Time Stamp 값으로 인증 벡터의 맵핑을 수행하여 Sequence Number 동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하나의 인증 벡터만을 관리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SN에서의 인증 데이터 Overhead문제를 해결하고, SN과 HN 사이의 시그널링 Overhead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Non-3GPP 네트워크에서 MTC를 위한 효율적인 그룹 기반의 인증 프로토콜 (An Efficient Group-based Authentication Protocol for MTC in Non-3GPP Networks)

  • 최대성;홍성대;김승룡;최형기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54-757
    • /
    • 2013
  • 사람의 개입 없이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는 다수의 ME(Mobile Equipment)들과의 인증 시그널에 의해 상당한 부하 문제를 야기한다. 본 논문은 non-3GPP 네트워크에서 MTC를 위한 그룹 기반의 EAP-AKA 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 프로토콜은 기존 3GPP EAP-AKA 인증 구조에서 큰 수정을 요구하지 않는 동시에 같은 수준의 안전성을 제공한다. 또한, 기존 3GPP EAP-AKA보다 낮은 통신 비용, 연산 지연을 제공한다.

3G 네트워크에서 프라이버시 보호를 강화한 효율적인 인증 메커니즘 (An Efficient Authentication Mechanism Strengthen the Privacy Protection in 3G Network)

  • 전서관;오수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5049-5057
    • /
    • 2010
  • 이동통신 기술 및 다양한 서비스 개발로 모바일 사용자들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동작하는 모바일 서비스들은 불법적인 변조, 도청, 신분위장 등 다양한 보안위협에 노출되어 있다. 이에 따라 3GPP에서는 안전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인증과 키 동의를 수행하는 3GPP-AKA 표준을 제정하였다. 그러나 3GPP-AKA 프로토콜은 관련 연구들을 통해 sequence number 동기화 문제, false base station을 이용한 공격, 프라이버시 문제 등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3G 네트워크에서 프라이버시를 강화한 효율적인 인증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인증 기법에서는 타임스탬프를 사용하여 기존의 3GPP 인증 방식에서 발견된 sequence number 동기화 문제를 해결하고, 비밀토큰을 이용하여 프라이버시 관련 문제를 해결하였다. 또한 하나의 인증벡터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SN과 HLR 사이의 대역폭 소비 문제와 SN의 인증 데이터 오버헤드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3GPP 접속 망에서 ID 기반 암호를 이용한 신원 프라이버시 개선 연구 (Enhancing Identity Privacy Using Identity-Based Encryption in Access Networks of 3GPP)

  • 정용현;이동훈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5권10호
    • /
    • pp.361-372
    • /
    • 2016
  • 무선 접속 망(Access Network)에서의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노출과 같은 신원 프라이버시(Identity Privacy) 문제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GSM, UMTS, LTE로 발전해 오는 동안 꾸준히 제기되어 왔으나 아직까지 제대로 해결되지 않고 있다. 3GPP에서는 영구적인 아이디를 대신하여 임시 아이디를 발급하여 사용하고, 사용되는 아이디 간의 연계성(Linkability)을 없애고 주기적인 임시 아이디 갱신을 수행하는 것과 같은 보안 정책을 통해 신원 노출에 어느 정도 감내할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영구적인 아이디가 평문으로 전송되는 경우는 계속 발생하고 있고, 영구 아이디의 경우에는 한번 노출되면 아이디 변경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ID 기반 암호(Identity-based Encryption)를 사용하여 접속 망에서 IMSI 같은 영구적인 아이디를 보호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프로토콜 구조를 단순하게 함으로써 다른 영구적인 아이디 보호에도 적용할 수 있게 하였고, 다른 3GPP AKA(Authentication and Key Agreement) 프로토콜들과 호환되도록 설계하여 현재 운영 중인 3GPP 환경에서도 적용 가능하도록 하였다.

개방형 스마트 폰 환경에 적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을 위한 안전한 AKA(Authentication Key Agreement) 모듈 설계 (A Design of Safe AKA Module for Adapted Mobile Payment System on Openness SMART Phone Environment)

  • 정은희;이병관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1687-1697
    • /
    • 2010
  • 스마트 폰 환경에서 모바일 결제 시스템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USIM 기반의 AKA 인증 절차가 필수적인 이다. 본 논문에서는 개방형 스마트 폰 환경에 적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을 위한 결제 프로토콜과 AKA 모듈을 설계하였다. 결제 프로토콜은 모바일 결제 시스템의 구성요소들 간에 상호인증을 하도록 설계하여 신뢰성을 향상시켰고, 3GPP-AKA 프로토콜에 기반을 둔 모바일 결제 시스템의 AKA 모듈은 사전 등록을 통해 공유 비밀키(SSK)를 생성함으로써 IMSI 노출을 방지하고, 타임스탬프를 이용해 SQN(SeQuence Number) 동기문제를 해결하였다. 또한, SN과 인증기관 사이의 인증벡터 대신에 공유비밀키를 사용하도록 하여, 기존의 SN과 인증기관 사이의 대역폭이 $(688{\times}N){\times}R$ bit에서 각각 $320{\times}R$ bit, $368{\times}R$ bit로 감소시켰으며, MS와 SN간에는 일회용 공유비밀키인 OT-SSK를 사용해 메시지 암호화키인 CK와 IK를 생성하도록 하여 접속할 때마다 새로운 OT-SSK를 생성함으로써 데이터 재전송 공격을 방지하였다.

UMTS-WLAN간 핸드오버를 위한 USIM 기반의 인증 테스트베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SIM-based Authentication Testbed for UMTS-WLAN Handover)

  • 노광현;권혜연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66-71
    • /
    • 2009
  • 3GPP에서는 넓은 서비스 영역과 높은 이동성의 장점을 가지는 3G 이동통신과 높은 데이터 전송률의 장점을 가지는 WLAN간 인터워킹 시스템에 대한 표준화 및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3GPP와 WLAN 이종망간의 서비스 연속성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seamless handover를 지원해야하며 이를 위해서는 핸드오버시 발생하는 지연을 최소화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행드오버 과정에서 발생하는 지연 시간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인증 메커니즘을 실제 USIM 기반의 인증 테스트베드에 구현하여 분석하였다. EAP-AKA 완전 인증 방법과 빠른 재인증 방법에 대해 단말과 AAA 서버에서 발생하는 지연 시간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고, 실험 결과 빠른 재인증 방법이 인증에 소요되는 시간을 48.6% 단축시킬 수 있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 PDF

Cryptanalysis of an Authenticated Key Agreement Protocol for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s

  • He, Debiao
    • ETRI Journal
    • /
    • 제34권3호
    • /
    • pp.482-484
    • /
    • 2012
  • With the rapid progress of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s, the authenticated key agreement (AKA) protocol has attracted an increasing amount of attention.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s of bandwidth and storage of the mobile devices, most of the existing AKA protocols are not suitable for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s. Recently, Lo and others presented an efficient AKA protocol based on elliptic curve cryptography and included their protocol in 3GPP2 specifications. However, in this letter, we point out that Lo and others' protocol is vulnerable to an offline password guessing attack. To resist the attack, we also propose an efficient countermeasure.

AVISPA를 이용한 3GPP 네트워크의 EAP-AKA 프로토콜 명세 및 검증 (The Specification and Verification of EAP-AKA Protocols on 3GPP Network Using AVISPA)

  • 김현수;최진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0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7 No.1(D)
    • /
    • pp.47-51
    • /
    • 2010
  • 휴대인터넷(WiBro: Wireless Broadband)은 언제 어디서나 고속으로 무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서비스를 위한 기술이다. 노트북을 비롯한 휴대가 간편한 PDA, 스마트폰으로 사람이 보행 또는 차량 주행 중에서도 끊김 없이(seamless)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가능하다. 이동성과 고속 무선 통신이 가능한 서비스에서 중요한 기술 요소 중 하나가 보안이다. 본 논문은 안전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WiBro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USIM 기반 EAP-AKA 인증 프로토콜 보안 요구사항 안전성을 정형기법 툴인 AVISPA를 이용하여 명세 및 검증해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