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D video

검색결과 1,152건 처리시간 0.035초

2D 숲동영상 및 Virtual Reality 숲동영상 시청이 성인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2D Forest Video Viewing and Virtual Reality Forest Video Viewing on Stress Reduction in Adults)

  • 홍성준;정다워;이정도;김다영;김수진;박범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3호
    • /
    • pp.440-453
    • /
    • 2019
  • 본 연구는 평면 숲동영상 및 VR 숲동영상 시청이 성인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험은 인공기후실에서 진행되었으며, 피험자는 40명이 참가하였다. 피험자의 스트레스를 유발한 후 2D 회색동영상, 2D 숲동영상, VR 숲동영상을 5분 동안 시청하게 하였다. 실험하는 동안 연속적으로 심박변동성을 측정하여 자율신경계 활동을 평가하였으며, 각 실험 후 설문지를 이용하여 심리 상태를 평가하였다. 생리적 측정 결과 2D 숲동영상은 2D 회색동영상보다 스트레스 지수 감소효과가 크고, HF 증가효과가 크며, 심장박동수 감소효과가 크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VR 숲동영상은 2D 회색동영상 시청보다 스트레스 지수 감소효과가 크고, LF/HF 증가효과가 크며, 심장박동수 감소효과가 크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심리적 측정 결과 피험자들은 2D 회색동영상보다 2D 숲동영상과 VR 숲동영상을 더 쾌적하고, 자연적이며, 진정된다고 느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2D 숲동영상과 VR 숲동영상이 2D 회색동영상보다 긍정적인 정서를 증가시키고 부정적인 정서를 감소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2D 숲동영상과 VR 숲동영상의 시청은 스트레스 상황을 벗어나 2D 회색동영상을 시청하는 것보다 더 스트레스 지수를 감소시키고, 심장박동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2D 숲동영상은 부교감 신경계의 활동을 증가시키고 VR 숲동영상은 교감 신경계의 활동을 증가시키는 차이점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VR 숲동영상의 교감 신경계의 활동 증가는 스트레스, 긴장 등의 부정적 교감신경 활성이 아닌 신기함, 호기심 등의 긍정적 교감신경 활성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가 산림치유의 시각적 효과에 대한 기반이 되길 기대하고, 임업분야에서 4차 산업혁명의 기술인 VR의 활용이 넓어지는 기반이 되길 기대한다.

인터랙티브 초다시점 콘텐츠 제작 기술 (Interactive Super Multi-view Content Technology)

  • 정재숙;김상원;허기수;정일권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2권5호
    • /
    • pp.39-48
    • /
    • 2017
  • Since the world's first 3D commercial film with red-blue glasses was introduced in 1922, remarkable progress has been made in the field of 3D video. 3D video content gained enormous popularity with the movie "Avatar," which greatly increased the sale of 3D TVs. This momentum has weakened owing to lack of 3D content. However, the recent trend of virtual reality (VR) and augmented reality (AR) made 360 VR video and 3D games using a head mounted display wide spread. All these experiences mentioned above require wearing glasses to enjoy 3D content. Super multi-view content technology, on the other hand, enables viewers to enjoy 3D content without glasses on a super multi-view display. In this article, we introduce the technologies used to make super multi-view content, interact with it, and author content, which are developed by ETRI.

쿼드트리 알고리즘을 이용한 비디오 서브밴드 코딩 (Video Subband Coding using Quad-Tree Algorithm)

  • 안종구;추형석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120-126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3차원 웨이브릿 변환을 기반으로 하고 쿼드트리 코딩 알고리즘을 이용한 동영상 압축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3차원 웨이브릿 기반 비디오 압축 시스템은 3차원 웨이브릿 변환의 움직임 보상형 시간축 필터를 이용하여 입력영상신호의 시간적 상관관계를 제거하고, 공간상의 웨이브릿 변환에 의하여 시공간의 서브밴드로 분해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3차원 웨이브릿 영상에서 에너지가 집중된 저주파 영상에 상대적으로 비트율을 높게 할당하였고, H.263 알고리즘과 비교하여 복원된 영상의 PSNR 성능을 0.64dB 향상시켰다. 또한 제안한 시스템은 3차원 웨이브릿 변환을 이용하여 움직임 보상 에러의 전파를 제거하였고, 다분해능과 압축 비트율에 따라서 점진적 전송이 가능하다.

  • PDF

No-reference quality assessment of dynamic sports videos based on a spatiotemporal motion model

  • Kim, Hyoung-Gook;Shin, Seung-Su;Kim, Sang-Wook;Lee, Gi Yong
    • ETRI Journal
    • /
    • 제43권3호
    • /
    • pp.538-548
    • /
    • 2021
  • This paper proposes an approach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no-reference video quality assessment for sports videos with dynamic motion scenes using an efficient spatiotemporal model. In the proposed method, we divide the video sequences into video blocks and apply a 3D shearlet transform that can efficiently extract primary spatiotemporal features to capture dynamic natural motion scene statistics from the incoming video blocks. The concatenation of a deep residual bidirectional gated recurrent neural network and logistic regression is used to learn the spatiotemporal correlation more robustly and predict the perceptual quality score. In addition, conditional video block-wise constraints are incorporated into the objective function to improve quality estimation performance for the entire video.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extracts spatiotemporal motion information more effectively and predicts the video quality with higher accuracy than the conventional no-reference video quality assessment methods.

A Study of Video-Based Abnormal Behavior Recognition Model Using Deep Learning

  • Lee, Jiyoo;Shin, Seung-J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9권4호
    • /
    • pp.115-119
    • /
    • 2020
  • Recently, CCTV installations are rapidly increasing i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to prevent various crimes.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CCTVs, video-based abnormal behavior detection in control systems is one of the key technologies for safety. 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for the surveillance personnel who control multiple CCTVs to manually monitor all abnormal behaviors in the video.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research to recognize abnormal behavior using deep learning is being actively conduct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del for detecting abnormal behavior based on the deep learning model that is currently widely used. Based on the abnormal behavior video data provided by AI Hub, we performed a comparative experiment to detect anomalous behavior through violence learning and fainting in videos using 2D CNN-LSTM, 3D CNN, and I3D models. We hope that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is abnormal behavior learning model will be helpful in developing intelligent CCTV.

3D 입체 영상시스템의 좌-우 영상에 대한 실시간 동기 에러 검출 및 보정 (Real-time Temporal Synchronization and Compensation in Stereoscopic Video)

  • 김기석;조재수;이광순;이응돈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680-690
    • /
    • 2013
  • 본 논문은 3D 입체 영상시스템의 좌-우 영상에 대한 실시간 동기 오차를 검출하고, 보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스테레오스코픽 동영상의 경우 좌영상과 우영상의 동기가 편집과정의 실수나 영상전송 등의 다양한 이유로 시간적 동기가 맞지 않아 3D 입체 영상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시간적 동기화의 목표는 두 비디오 시퀸스에서 동기오차를 검출하고, 검출된 동기오차만큼 보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동기오차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스페시오그램(spatiogram) 특징에 추가적인 컬러 분포의 변화 및 컬러 분포의 공간적인 변화 특징을 추가적으로 활용하여 좌-우 영상의 시간적 동기오차를 검출하고 보정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먼저 동기오차를 검출하기 위해 좌-우 영상의 동기 프레임(pair frame)을 검출한다. 이 때, 단일 프레임만으로는 변화가 뚜렷하지 않으므로 일정한 시간의 블록 단위로 비교하는 방법을 새롭게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다양한 3D 콘텐츠 영상들의 실험을 통하여 그 효용성을 입증하였다.

비디오 영상에서의 비보정 3차원 좌표 복원을 통한 가상 객체의 비디오 합성 (Video Augmentation of Virtual Object by Uncalibrated 3D Reconstruction from Video Frames)

  • 박종승;성미영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421-433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비디오에서 비보정 3차원 좌표의 복원과 카메라의 움직임 추정을 통하여 가상 객체를 비디오에 자연스럽게 합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비디오의 장면에 부합되도록 가상 객체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장면의 상대적인 구조를 얻어야 하고 비디오 프레임의 흐름에 따른 카메라 움직임의 변화도 추정해야 한다. 먼저 특장점을 추적하고 비보정 절차를 수행하여 카메라 파라메터와 3차원 구조를 복원한다. 각 프레임에서 카메라 파라메터들을 고정시켜 촬영하고 이들 카메라 파라메터는 일정 프레임 동안 불변으로 가정하였다. 제안된 방법으로 세 프레임 이상에서 작은 수의 특징점 만으로도 올바른 3차원 구조를 얻을 수 있었다. 가상객체의 삽입 위치는 초기 프레임에서 특정 면의 모서리점의 대응점을 지정하여 결정한다. 가상 객체의 투사 영역을 계산하고 이 영역에 이음새가 없도록 텍스처를 혼합하여 가상객체와 비디오의 부자연스러운 합성 문제를 해결하였다. 제안 방법은 비보정 절차를 선형으로만 구현하여 기존의 방법에 비해서 안정성과 수행속도의 면에서 우수하다. 실제 비디오 스트림에 대한 다양한 실험을 수행한 결과 여러 증강현실 응용 시스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PDF

3차원 입체 변환을 위한 MPGE 압축 데이터에서의 영상 처리 기법 (Video Processing of MPEG Compressed Data For 3D Stereoscopic Conversion)

  • 김만배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1998년도 학술대회
    • /
    • pp.3-8
    • /
    • 1998
  • The conversion of monoscopic video to 3D stereoscopic video has been studied by some pioneering researchers. In spite of the commercial of potential of the technology, two problems have bothered the progress of this research area: vertical motion parallax and high computational complexity. The former causes the low 3D perception, while the hardware complexity is required by the latter. The previous research has dealt with NTSC video, thur requiring complex processing steps, one of which is motion estimation. This paper proposes 3D stereoscopic conversion method of MPGE encoded data. Our proposed method has the advantage that motion estimation can be avoided by processing MPEG compressed data for the extraction of motion data as well as that camera and object motion in random in random directions can be handled.

  • PDF

3D Alpha를 이용한 비디오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ideo effect available 3D Alpha)

  • 주헌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년도 제50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2권2호
    • /
    • pp.277-278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3D Alpha를 이용한 몇 가지 효과를 제안한다. 먼저 3D Alpha로 영상의 위치변화를 주어 3D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영상의 거리감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글자의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어 그 활용도는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 PDF

360 VR E-Sports 중계를 위한 실시간 360 VR 3D Stereo 게임 영상 획득에 관한 연구 (Study of Capturing Real-Time 360 VR 3D Game Video for 360 VR E-Sports Broadcast)

  • 김현욱;이준석;양성현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876-885
    • /
    • 2018
  • 최근 VR(Virtual Reality) 기반의 e-sports 중계 시장이 자리를 잡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시장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술 개발이 미비한 실정이다. 이미 해외의 SLIVER TV, Facebook에서는 e-sports를 4K 30FPS급의 360 VR으로 중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사업화까지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360 VR 영상으로 활용하기에는 2D영상으로 몰입감이 저하되고, 해상도가 낮고, 멀미현상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e스포츠 VR 중계방송을 위해 게임 내 공간을 4K 3D 60FPS으로 360영상으로 획득 할 수 있는 가상카메라 기술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그리고 게임엔진 샘플게임과, 상용게임에 가상카메라를 설치하고, 실험을 통해 최대 4K/60FPS Stereo 360 영상 획득이 가능함을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