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D video

검색결과 1,152건 처리시간 0.035초

다시점 3차원 디스플레이용 비디오 프로세서의 설계 (Design of Video Processor for Multi-View 3D Display)

  • 성준호;하태현;김성식;이성주;김재석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452-464
    • /
    • 2003
  • FPGA를 사용하여 실시간 응용 가능한 다시점 3차원 비디오 프로세서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계된 3차원 비디오 프로세서는 최대 16시점으로부터의 2차원 비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공간분할방식의 3차원 비디오 신호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한다. 3차원 카메라 시스템의 다양한 구조에 대응이 가능하며, 또한 다양한 해상도의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5개의 FPGA를 사용한 검증보드를 제작하여 3차원 비디오 프로세서의 기능을 검증하였다.

비실시간 기반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부호화를 위한 적응루프필터 적용기법 (Application of Adaptive Loop Filter for NRT-Based Stereoscopic Video Coding)

  • 이병탁;이봉호;최해철;김진수;윤국진;정원식;김재곤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261-270
    • /
    • 2013
  • 스테레오스코픽(stereoscopic) 3D 비디오 서비스는 기존 2D와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3D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전송 대역이 제한된 지상파 방송의 경우 높은 부호화 효율을 갖는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코덱이 요구된다. 따라서 기준영상은 기존 2D 비디오 서비스와의 호환성을 위해 MPEG-2로 부호화하는 반면 3D를 위한 부가영상 부호화를 위해 부호화 효율이 높은 H.264/AVC,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 등을 고려하고 있으며, 또한 부가영상을 비실시간으로 전송하는 NRT(Non-Real Time) 3D 서비스도 고려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NRT 3D 서비스를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부호화에 있어서, HEVC에서 고려되었던 적응루프필터(ALF: Adaptive Loop Filter)를 전/후처리 필터로 적용하는 기법을 제시한다. 특히, 부가영상의 후처리에 ALF를 적용하기 위하여 부호화 과정에 결정되는 CU(Coding Unit) 구조를 이용하는 HEVC와 달리 MVC(Multiview Video Coding)로 부호화한 부가영상의 매크로블록(MB) 부호화 모드 및 참조영상 인덱스 등의 MB 부호화 정보를 이용한 ALF 적용 기법을 제안한다. 부가 영상 부호화에 있어서 제안한 기법으로 전처리 및 후처리 과정으로 ALF를 적용함으로써 최대 약 24.9%의 비트율 감소를 확인하였다.

Post-processing of 3D Video Extension of H.264/AVC for a Quality Enhancement of Synthesized View Sequences

  • Bang, Gun;Hur, Namho;Lee, Seong-Whan
    • ETRI Journal
    • /
    • 제36권2호
    • /
    • pp.242-252
    • /
    • 2014
  • Since July of 2012, the 3D video extension of H.264/AVC has been under development to support the multi-view video plus depth format. In 3D video applications such as multi-view and free-view point applications, synthesized views are generated using coded texture video and coded depth video. Such synthesized views can be distorted by quantization noise and inaccuracy of 3D wrapping positions, thus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ir quality where possible. To achieve this, the relationship among the depth video, texture video, and synthesized view is investigated herein. Based on this investigation, an edge noise suppression filtering process to preserve the edges of the depth video and a method based on a total variation approach to maximum a posteriori probability estimates for reducing the quantization noise of the coded texture video. The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s improve the peak signal-to-noise ratio and visual quality of a synthesized view compared to a synthesized view without post processing methods.

Video Content Manipulation Using 3D Analysis for MPEG-4

  • Sull, Sanghoon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125-135
    • /
    • 1997
  •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realistic mainpulation of content in video sequences. Manipulation of content in video sequences is one of the content-based functionalities for MPEG-4 Visual standard. We present an approach to synthesizing video sequences by using the intermediate outputs of three-dimensional (3D) motion and depth analysis. For concreteness, we focus on video showing 3D motion of an observer relative to a scene containing planar runways (or roads). We first present a simple runway (or road) model. Then, we describe a method of identifying the runway (or road) boundary in the image using the Point of Heading Direction (PHD) which is defined as the image of, the ray along which a camera moves. The 3D motion of the camera is obtained from one of the existing 3D analysis methods. Then, a video sequence containing a runway is manipulated by (i) coloring the scene part above a vanishing line, say blue, to show sky, (ii) filling in the occluded scene parts, and (iii) overlaying the identified runway edges and placing yellow disks in them, simulating lights. Experimental results for a real video sequence are presented.

  • PDF

3차원 비디오 전송을 위한 스테레오비디오 동기화 방법 (Stereo-video Synchronization for 3D Video Transmission)

  • 이동진;이선오;심동규;이혁준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4B호
    • /
    • pp.349-359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3차원 효과의 최대화를 위한 스테레오 비디오 전송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다중스트림 동기화 기술은 단일 비디오와 오디오간의 지연을 최소화 하는 것으로, 둘 이상의 비디오가 동시에 필요한 3차원 비디오스트림 동기화에는 적합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인간에게 자연스럽고, 입체적으로 느껴지는 3차원 영상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시간 차이의 허용 범위를 고려하여 다중 영상을 합성하는 기준을 제시하였고, 이를 위한 비디오 스트림 간의 동기화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화질 평가를 통하여 스테레오 비디오를 3차원으로 느낄 수 있는 시간 차이의 허용범위를 측정하였다. 스테레오 비디오의 동기화를 위해, 전송된 각 비디오 스트림들의 취득 시간을 구하고, 시간 차이 허용 범위 안에 포함된 비디오 스트립을 이용하여 3차원 영상으로 합성한 뒤,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재생한다. 제안한 기술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간 다중 비디오 통신 시스템을 구현하였고, 주관적 화질 평가를 통해 제안한 동기화 제어 기술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MOS (Mean Opinion Score) 측정 결과, 제안하는 기술을 통하여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에 재생한 영상은 DMOS (Differential Mean Opinion Score) 실험 스케일 중 매우 좋음과 좋음 범위에 속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3차원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덱 설계 및 성능 분석 (Design and Analysis of 3D Scalable Video Codec)

  • 이재영;김재곤;한종기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219-236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High Efficiency Video Coding(HEVC)의 확장 표준인 Scalable HEVC(SHVC)와 3D-HEVC을 통합하여 구성되는 3차원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덱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3차원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덱은 다시점 영상을 부호화함과 동시에 공간해상도 스케일러빌리티 기능을 지원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이를 위해서, 다양 종류의 스케일러빌리티를 지원할 수 있는 High Level Syntax를 사용하였고, DPB 및 참조영상 리스트 구성 방법에 대한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의 컴퓨터 시뮬레이션 장에서는 제안하는 3차원 스케일러블 코덱의 정합성을 확인하였고, 또한, 제안 코덱의 부호화 성능을 분석하였다.

해양 채널 환경에서 3D 입체영상의 전송을 위한 계층변조 기법 (Hierarchical Modulation Scheme for 3D Stereoscopic Video Transmission Over Maritime Channel Environment)

  • 유동호;이성로;김동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0권7호
    • /
    • pp.1405-1412
    • /
    • 2015
  • 최근 방송통신 및 비디오 코딩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해 3D 입체영상에 기반을 둔 실감 미디어 서비스의 요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는 가정 내 고정된 3DTV 뿐만 아니라 개인 스마트기기, 자동차, 철도, 그리고 선박과 같이 자유롭게 이동하는 무선 채널 환경에서도 반드시 만족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실감 미디어 서비스의 요구를 만족하기 위해 직접파가 반사파 보다 우세한 해양 라이시안 채널 환경을 고려하여 3D 입체영상을 전송한다. 또한 3D 입체영상은 일반적으로 V+D (Video plus Depth) 포맷을 통해 표현되기 때문에 이 포맷에 특성을 고려하여 계층 4/16-QAM을 적용한 비균등 오류보호 기법도 제안한다. 이는 아무리 수신 채널의 상태가 나쁜 선박이라도 중간에 끊어짐이 없이 방송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기술로 기대된다.

룩업테이블과 3차원 동영상의 시간적 중복성을 이용한 3차원 비디오 홀로그램의 고속 생성 (Fast Generation of 3-D Video Holograms using a Look-up Table and Temporal Redundancy of 3-D Video Image)

  • 김승철;김은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10B호
    • /
    • pp.1076-1085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3차원 동영상의 시간적 중복성과 룩업 테이블을 이용한 효과적인 3차원 동영상 홀로그램 생성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N-LT를 이용한 홀로그램 생성 기법은 미리 생성된 요소 프린지 패턴을 단순 이동 시켜 물체에 대한 홀로그램을 고속으로 생성할 수 있게 하였다. 하지만, 3차원 동영상 홀로그램의 경우는 정지영상에 대한 홀로그램에 비해 방대한 양으로 인하여 실시간 홀로그램을 생성하는데 많은 시간이 필요하게 되어 실직적인 제한이 있었다. 반면 이러한 3차원 동영상은 인접한 프레임은 유사한 정보를 갖는다는 시간적 중복성을 갖고 있고, 이러한 특성을 동영상 압축에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3차원 동영상의 시간적 중복성을 이용하여 계산하여야 하는 데이터의 양을 현저하게 줄임으로써 3차원 동영상에 대한 홀로그램을 고속으로 생성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고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3-D 블록분할을 이용하는 웨이브렛 기반 임베디드 비디오 부호화 (Wavelet based Embedded Video Coding with 3-D Block Partition)

  • 양창모;임태범;이석필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신호처리소사이어티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3-136
    • /
    • 2003
  • In this paper, we propose a low bit-rate embedded video coding scheme with 3-D block partition in the wavelet domain. The proposed video coding scheme includes multi-level three dimensional dyadic wavelet decomposition, raster scanning within each subband, partitioning of blocks, and adaptive arithmetic entropy coding. Although the proposed video coding scheme is quite simple, it produces bit-streams with good features, including SNR scalability from the embedded nature.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video coding scheme is quite competitive to other good wavelet-based video coders in the literature.

  • PDF

Open Standard Based 3D Urban Visualization and Video Fusion

  • Enkhbaatar, Lkhagva;Kim, Seong-Sam;Sohn, Hong-Gyoo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03-411
    • /
    • 2010
  • This research demonstrates a 3D virtual visualization of urban environment and video fusion for effective damage prevention and surveillance system using open standard. We present the visualization and interaction simulation method to increase the situational awareness and optimize the realization of environmental monitoring through the CCTV video and 3D virtual environment. New camera prototype was designed based on the camera frustum view model to project recorded video prospectively onto the virtual 3D environment. The demonstration was developed by the X3D, which is royalty-free open standard and run-time architecture, and it offers abilities to represent, control and share 3D spatial information via the internet brows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