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D sound

검색결과 767건 처리시간 0.03초

광주천변의 사운드스케이프 현황 (Soundscape for Gwang-Ju Riverside)

  • 송혁;박현구;송민정;이태강;김항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603-606
    • /
    • 2005
  • This study is to make good acoustic environment around Gwang-ju riverside and performed survey and measurement of soundscape. The survey was focused on the types of sound producing. The results of measurement and analysis are as follows: 1) The types of sound at reverside were twenty and the Leq(equivalent noise level) was ranging from 50 dB(A) to 76 dB(A). The dominant sound was road traffic noise. 2) In the upperstream and the downstream, the sound of wind, bird and water was observed. 3) In the inner city, the water sound was produced by the difference of the height of the weir to mask the road traffic noise.

  • PDF

평판에서의 방사소음 저감을 위한 능동구조음향제어 (Active Structural Acoustic Control for Radiated Sound Reduction in Plate)

  • 홍진석;오재응;이유엽;신준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A
    • /
    • pp.608-612
    • /
    • 2000
  • Active control of sound radiation(using active structural acoustic control) from a vibrating rectangular plate by a steady-state harmonic point force disturbance is experimentally studied. Control structural input are achieved by two piezoceramic actuators bonded to the surface of the panel. Two accelerometers are implemented as error sensors. Estimated radiated sound signals using vibro-acoustic path transfer function are used as error signals. The vibro-acoustic path transfer function represents system between accelerometers and microphones. The control approach are based on a multi-channel filtered-x LMS algorithm.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attenuation of sound levels of 3dB, 13dB are achieved.

  • PDF

콤바인 전처리부의 소음 분석과 감소 방안 (Analysis and Reduction Method of Noise from Head of a Combine Harvester)

  • 김호중;박영준;심성보;김경욱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2권3호
    • /
    • pp.153-159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and analyze the noise from a combine head. The combine head, comprised of a cutting knife assembly, pick-up chains, horizontally conveying chains and vertically conveying chains, had an overall sound level of 101 dBA. The sound levels of each component were, respectively, 98.3 dBA for the cutting knife assembly, 88.9 dBA for the pick-up chains, 79.8 dBA for the horizontally conveying chains and 86.3 dBA for the vertically conveying chains, being equivalent to 54.4%, 18.4%, 6.5% and 13.7% of the overall head noise. The main cause of the head noise was considered the impacts that the joint of the cutting knife assembly made with frame when it oscillated. The impact sound was also generated when the chain lug collided with the chain case. To reduce these impact sound, anti-vibration rubbers were installed on the knife assembly joint and the chain cases. It reduced the head noise by 4 dBA but the overall noise level of the combine head was still high. In order to protect the combine operators more effectively from the noise, a safety cab needs to be installed on the combine.

기계소(機械騷) 음(音)과 회전(回轉) 속도(速度) (An Effect of Revolutions Per Minute (r.p.m) in the Noise Characteristics)

  • 차봉석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0권1호
    • /
    • pp.94-101
    • /
    • 1977
  • Noise pollution, both in the environment and in the workplace, has been recognized as a major health hazard -one that can impair not only a person's hearing but also his physical and mental well-being. As industrialization progresses, the prevalence rate of occupational diseases is increasing, especially hearing loss, which has the highest prevalence rate among the occupational diseases. The major cause of noise is the construction of various large industries without any regulation of noise sources. Therefor, we must establish an enactment to control mechanical noise sources. as soon as possible. For the purpose of controlling the noise source, we must have exact data about such things as the sound level, the frequency of the peak sound and the revolutions per minute (r.p.m.) of the machine (a measure of the power of its motor). This study was undertaken in order to define the noise characteristics, the power of the machine's motor, the change of the sound level and the peak sound as the r.p.m. increases, and the permissible exposure time. The sample size of this study was 74 machines at 11 plants in 6 industr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breakdown of the types of mechanical noise noted was : 63.6% continuous normal sound, 26.9% intermittent sound, 4.7% continuous repeating sound and 4.6% impulsive sound. 2. With respect to the type of industry, the overall sound level was the highest in the mechanical industry, with $103.8{\pm}2.8dB(A)$, and lowest in the textile industry, with $89.2{\pm}1.43dB(A)$. 3. With respect to the type of machine, the highest sound level was 124 dB(A) caused by Gauzing(II), in the mechanical industry, and the lowest was 76 dB(A) caused by Attachment (Jup Chack) (I) in the timber industry. 4. The shortest permissible exposure time to Gauzing(II) in the mechanical industry was less than 15 minutes. 5. Among 74 machines, 68.2% of the peak sound was situated in the high frequency range (52.7% at 2 KHz, 4.1% at 4 KHz and 1.4% at 8 KHz). 41.8% of the peak sound was in the middle frequency range (4.1% at 250Hz, 14.8% at 500Hz and 22.9% at 1KHz). 6. If one machine had two motors or more, the peak sound was shifted to the low frequency range. 7. As the r.p.m. increased, the overall and peak sound levels were increased without any change of the frequency of the peak sound. 8. Whenever the machines had the same kind and the same r.p.m., the overall and peak sounds were changed by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raw materials and the management.

  • PDF

소규모 공간에서의 잔향시간 영향요인 분석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Reverberation Time in Small Room)

  • 김명준;이병기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492-497
    • /
    • 2006
  • This study gives the results of the measurements and analysises of the reverberation times in a small room such as apartment houses. We measured the RT by changing measurement conditions, which were sound sources. sound source's positions, receiving point & height, sampling time and so on. The critical factor affecting reverberation time was sound source in unoccupied houses and the reverberation time differences between result of RT using impulsive and interrupted sound source was 0.3sec at 500Hz frequency. And the difference of RT due to sound sources affected the sound insulation such as apparent sound reduction index and sound level difference about 1dB at each frequency in unoccupied houses.

  • PDF

청취자가 이동이 가능한 청각 디스플레이 시스템 개발 (A development of the virtual auditory display system that allows listeners to move in a 3D space)

  • 강대기;이채봉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청취자가 3차원 공간에서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는 음장 재생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시스템은 방음실($4.7m(W){\times}2.8m(D){\times}3.0m(H)$)에 설치하였으며 개인용 컴퓨터, 음의 제시장치 그리고 3차원 초음파 센서로 구성하였다. 본 시스템에서는 실내 전체를 감지하는 3차원 초음파 센서로부터 청취자의 위치 정보 및 자세각 정보를 얻어, 컴퓨터에서 나오는 음신호에 머리전달함수(HRTFs)를 삽입하여 음의 제시 장치로부터 출력하도록 설정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머리전달함수는 청취자의 머리 정변에서 1.5m 떨어진 지점에서 각각 측정하였다. 그리고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가상 음원의 위치를 랜덤으로 변화시키고, 청취자에게는 자유로운 이동을 허락한 상태에서 음원의 위치를 찾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3차원 공간에 있어서 제시된 음원의 위치에서 청취자가 추정한 위치까지의 거리 오차는 약 30cm 이내로 나타났다.

공동주택에서의 화재경보음 전달 (Fire Alarm Sound Transmission in Apartment Units)

  • 정정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3호
    • /
    • pp.67-75
    • /
    • 2018
  • 공동주택 화재 발생시 인명피해 최소화 및 재실자의 신속한 대피를 위해서는 화재 발생 사실이 경보음을 통해 전체 세대로 전달되어야 한다. 공동주택의 경우 엘리베이터 실과 같은 공용공간에 경종이 설치되어 있으나, 세대내 공간으로 경보음이 충분히 전달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공동주택에서의 주,야간 소음을 측정하여 공동주택 세대 내 소음 발생 실태를 조사하고 세대내 공간으로의 경보음 전달 정도를 분석하였다. 엘리베이터 실에서 발생되는 경보음이 공동주택 내부로 전달되는 경우 방화문 및 방문의 차음성능으로 인해 충분히 전달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주택 내에서 발생되는 각종 소음 레벨을 고려하면 공동주택 외부에서 발생되는 경보음을 청취하여 피난행동을 시작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공동주택 거실의 월패드와 각 방별로 경보음 발생기를 설치한 경우에 대하여 음향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각 방별로 경보음 발생기를 설치한 경우에서만 배경소음 + 15 dB 기준과 75 dB (A)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류의 유집과 구집용 수중 스피커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Highly Efficient Underwater Loudspeaker for Attracting and Threatening Fish)

  • 김천덕;이채봉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13
    • /
    • 2006
  • 잡는 어업에서 기르는 어업으로 전환하는 수산정책 과정에서 바다목장사업은 바다목장을 설치한 해역에서 육상에서 식이음으로 순치시킨 치어를 방류하여 사료투입시, 또는 성장한 어류들을 모이게 하는 수단으로 순치음을 해양에 방사하기 위해서는 수중 스피커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중에서 어류의 발생음과 인공적으로 음을 방성했을 때 어류반응에 대한 연구문헌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민감하게 반응하는 주파수는 $150Hz\~2kHz$이고 음압레벨은 $100dB\~150dB$ ($1{{\mu}$ Pa를 0dB)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수중 스피커 설계 제작시 주파수대역과 출력레벨의 사양은 $150Hz\~3kHz,\;100dB\~145dB$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설계사양 등가회로에 의한 전기임피던스 곡선과 반공진주파수를 등가회로법으로 구하고 수중 스피커를 제작하였다. 설계 제작된 수중 스피커를 수압탱크에서 안정성 평가와 최저 사용 주파수 범위를 결정하는 전기임피던스 특성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수심 10m에서 수중 스피커를 설치하여 해상실험을 한 결과를 정리하고, 제반 음향특성의 실험결과를 기술하였다.

3차원 잉크젯 쾌속 조형법을 위한 세라믹 상변화 잉크의 음속측정 (Measurement of the intrinsic speed of sound in a hot melt ceramic slurry for 3D rapid prototyping with inkjet technology)

  • 신동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892-898
    • /
    • 2008
  • 3차원 쾌속 조형법은 컴퓨터에 저장되어있는 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제품을 제작하는 기술로써, 기존의 나무나 클레이, 혹은 주조 제작방식과는 달리 원하는 위치에 요구되는 재료를 직접 적층함으로써 원형제품을 제작함을 특징으로 한다. 스테레오리쏘그래피, 용융 점착법, 선택적 레이저 소결법, 판상 제작법 등의 다양한 3차원 쾌속 조형법이 개발되었으나, 그 중에서 잉크젯을 통한 3차원 쾌속 조형법은 잉크화된 조형재료를 통해 구조적으로 기능이 가능한 원형제품의 제작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기능성 원형제품의 제작을 위해서는 잉크의 고농도화가 요구되며, 이로 인해 잉크 점도가 상승되어 젯팅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3차원 쾌속 조형법을 위한 최적 젯팅조건을 도출하기 위해 슬러리 타입 세라믹 상변화 잉크의 음파 전달속도 측정과 음파 전달속도가 젯팅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도록 한다.

지하철 승강장의 음원-수음점 거리에 따른 실내음향 평가지수 특성 (Characteristic of room acoustical parameters with source-receiver distance on platform in subway stations)

  • 김수홍;송은성;김정훈;이송미;류종관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615-625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지하철 승강장에 적합한 실내음향 설계기준 제시에 앞서, 현재의 지하철 승강장의 위치별 실내음향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개의 지하철 역사 승강장에서 현장 측정을 실시하였다. 승강장의 길이방향에 따른 분석 결과, 음원에서 수음점이 멀어질수록 음압레벨은 감소(최대 차이: 약 14 dB), 잔향시간은 증가하는 경향(최대차이: 0.8 s ~ 1.5 s)이었고, C50과 D50은 감소하는 경향(최대 차이: 5.9 dB ~ 9.1 dB와 31.8 % ~ 37.6 %)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감의 지표인 Interaural Cross-correlation Coefficient(IACC)는 음원과의 거리에 따른 명확한 경향성은 보이지 않았지만, 전체적으로 0.3이하의 낮은 값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살펴보았을 때 지하철 승강장은 일반적으로 강한 반사재로 마감 되었음에도 수음위치에 따라 직접음과 반사음의 다양한 조합이 형성되어 비균일한 음장특성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길이 대비 높이가 낮고 긴 평면형태를 갖는 지하철 승강장에서는 음원과 수음점의 거리에 따라 근접음장과 원음장의 실내음향특성이 뚜렷이 발현되고 있음을 나타난다. 따라서, 승강장의 모든 위치에서 명료한 음정보를 갖춘 실내음향설계를 위해서 승강장에서의 스피커와 수음점 위치별 특성에 기인한 세부 건축 및 전기음향설계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