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D printing

검색결과 1,191건 처리시간 0.032초

휘발성 유기화합물용 수동식 시료채취기 개발 (Development of Passive Samplers for Volatile Organic Compounds)

  • 장미연;이광용;전현진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59-370
    • /
    • 2022
  • Objective: This study is intended to design a commercially available passive sampler and conduct performance test on its use as a media for evaluating a working environment.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adsorbents, design models, and evaluate storage stability and sampling rates for the development of new types of passive samplers. Results: The impurity detection, adsorbent capacity and breakthrough volume of five types of activated carbon were tested for selection of an adsorbent. One product wa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efficiency of purchase. A number of passive samplers were designed in a radial style and a badge style using plastic as a material. The final two prototypes were made using molds or 3D printing. For the storage stability evaluation, samples were stored at different temperature for 1~21 days and then analyzed. Most of the chemicals had excellent storage stability when refrigerated. However, some chemicals such as dichloromethane and methyl ethyl ketone need to be analyzed as soon as possible after sampling. Conclusion: In this study, new types of passive samplers for 66 chemical compounds were developed. The evaluation of storage stability and sampling rates showed different results depending on the properties of the chemical substance. For some chemicals such as methyl ethyl ketone and dimethylformamide, activated carbon is inappropriate as an absorbent. In future studies, additional experiments are required on chemicals that are difficult to collect with activated carbon.

고체 전해질 층의 어닐링 온도가 고분자 멤리스터의 전기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nnealing temperature of solid electrolyte layer on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polymer memristor)

  • 김우석;노은경;권진혁;김민회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6권4호
    • /
    • pp.705-709
    • /
    • 2022
  • Poly(vinylidene fluoride-trifluoroethylene)(P(VDF-TrFE)) 고체 전해질 층의 어닐링 온도가 고분자 멤리스터의 전기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형태적 분석에서 100℃ 어닐링 온도를 갖는 P(VDF-TrFE) (100P(VDF-TrFE)) 박막 대비 200℃ 어닐링 온도를 갖는 P(VDF-TrFE) (200P(VDF-TrFE)) 박막의 표면 거칠기가 약 5배 크고 두께는 약 20%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100P(VDF-TrFE)를 갖는 멤리스터 (M100) 대비 200P(VDF-TrFE) 멤리스터 (M200)의 set voltage는 약 50% 감소하였고, reset voltage의 크기는 약 30% 증가하였다. 또한, M200이 M100보다 더 나은 메모리 유지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M100 대비 M200 내부의 강한 국소 전기장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고분자 멤리스터의 어닐링 온도의 중요성을 제시함에 의의가 있다.

반응성 안료의 DTP공정 적용에 따른 HTPE원단의 태 시뮬레이션 및 염색성 연구 (Simulation of the Stiffness of HTPE Fabric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Reactive Pigment DTP Process and Dyeability)

  • 심지현;이종혁;유성훈;권기환;배진석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10-219
    • /
    • 2021
  • It was intended to conduct basic research to reduce development lead time and cost consumed in DTP process technology development. For the simulation of HTPE fabric, virtual engineering software was used to generate fiber model, yarn model, fabric model, and finite element model of HTPE fib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rrelation and error rate between the stiffness numerical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he direct DTP process parameters using reactive dyes in the generated finite element model and the stiffness measurements of the actual sample ac- cording to ASTM D1388. And, after dyeing the HTPE plain fabric according to the direct DTP process parameters, we want to analyze the dyeability of the HTPE fabric fabrics according to the direct DTP process parameters through the color fastness analysis. When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finite element model, a higher value was show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nozzle and the fabric was 3mm than when the distance was 10mm.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nozzle and the fabric was 10mm and 7mm, the reactive dye did not penetrate sufficiently, resulting in poor clarity when viewed with the naked eye.

폴리실라잔 고체 전해질 층과 은 활성 전극의 공정이 멤리스터의 전기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Processes of Polysilazane Solid Electrolyte Layer and Silver Active Electrode on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Memristor)

  • 양희수;오경석;김동수;권진혁;김민회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25-29
    • /
    • 2023
  • 폴리실라잔 고체 전해질 층과 은(Ag) 활성 전극의 공정이 멤리스터의 전기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더 높은 온도에서 어닐링된 고체 전해질을 갖는 멤리스터가 더 낮은 온도에서 어닐링된 고체 전해질을 갖는 소자보다 더 높은 set voltage 및 더 나은 메모리 유지 특성을 보였다. 어닐링 온도 증가에 따른 set voltage의 증가 및 메모리 유지 특성의 향상은 각각 고체 전해질 층 내부의 빈 공간의 감소 및 균일도 증가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고체 전해질 층을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 어닐링 할지라도, 폴리실라잔 용액의 농도가 지나치게 높은 경우에는 멤리스터의 저저항상태가 유지되지 못했다. 마지막으로, 용액공정으로 형성한 Ag 활성 전극을 갖는 멤리스터는 진공공정으로 형성한 Ag 활성 전극을 갖는 소자와 달리 WORM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WROM 특성은 용액공정 Ag 활성 전극에 존재하는 형태적 결함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바인더 젯팅 적층제조기술을 활용한 다공성 세라믹필터 제작 (Fabrication of Ceramic Filters via Binder Jetting Type 3D Printing Technology)

  • 권모세;최종한;황광택;최정훈;한규성;김응수;김진호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285-294
    • /
    • 2023
  • Porous ceramics are used in various industrial applications based on their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isolation, storage, and thermal barrier properties. However, traditional manufacturing environments require additional steps to control artificial pores and limit deformities, because they rely on limited molding methods. To overcome this drawback, many studies have recently focused on fabricating porous structures using additive manufacturing techniques. In particular, the binder jet technology enables high porosity and various types of designs, and avoids the limitations of existing manufacturing process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process optimization for manufacturing porous ceramic filters using the binder jet technology. In binder jet technology, the flowability of the powder used as the base material is an important factor, as well as compatibility with the binder in the process and for the final print. Flow agents and secondary binders were used to optimize the flowability and compatibility of the powders. In addition, the effects of the amount of added glass frit, and changes in sintering temperature on the microstructure, poros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final printed product were investigated.

반도체 및 전자패키지의 방열기술 동향 (Heat Dissipation Trends in Semiconductors and Electronic Packaging)

  • 문석환;최광성;엄용성;윤호경;주지호;최광문;신정호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8권6호
    • /
    • pp.41-51
    • /
    • 2023
  • Heat dissipation technology for semiconductors and electronic packaging has a substantial impact on performance and lifespan, but efficient heat dissipation is currently facing limited improvement. Owing to the high integration density in electronic packaging, heat dissipation components must become thinner and increase their performance. Therefore, heat dissipation materials are being devised considering conductive heat transfer, carbon-based directional thermal conductivity improvements, functional heat dissipation composite materials with added fillers, and liquid-metal thermal interface materials. Additionally, in heat dissipation structure design, 3D printing-based complex heat dissipation fins, packages that expand the heat dissipation area, chip embedded structures that minimize contact thermal resistanc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structures, and through-silicon-via technologies and their replacement technologies are being actively developed. Regarding dry cooling using single-phase and phase-change heat transfe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vapor chamber performance and structural diversification are being investigated along with the miniaturization of heat pipes and high-performance capillary wicks. Meanwhile, in wet cooling with high heat flux, technologies for designing and manufacturing miniaturized flow paths, heat dissipating materials within flow paths, increasing heat dissipation area, and reducing pressure drops are being developed. We also analyze the development of direct cooling and immersion cooling technologies, which are gradually expanding to achieve near-junction cooling.

지배적 디자인 경쟁 환경에서 벤처기업의 업종별 기회포착 전략에 관한 연구: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산업 비교를 중심으로 (Opportunity Capturing Strategy of Venture Company in the Context of Dominant Design Competition: focused on compare with hardware and software industry)

  • 문지용;고영희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2호
    • /
    • pp.27-42
    • /
    • 2015
  • 벤처기업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자원을 획득하고 보유자원을 재조합하여 내부역량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에 논의에 집중되었다. 하지만 자원과 역량이 부족한 벤처기업에게 중요한 것은 환경변화의 이해를 통해 기회를 포착하고, 생존할 수 있도록 안정적인 시장진입을 가능하게 하는 전략제시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벤처기업이 지배적 디자인 경쟁 환경의 산업에 진입하여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를 기회포착이라는 개념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기회포착은 벤처기업이 구현할 수 있는 역량을 고려하여 기회를 인식하는 것으로서 시장에 판매할 수 있는 재화 및 서비스를 공급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을 선택하고, 기술획득에 필요한 협력방식을 선택하는 역량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벤처기업의 기회인식과 전략적 대응방식에 주목하여 시장진입에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를 살펴보기 위해 지배적 디자인 경쟁이 진행되었던 산업에 진입하여 안정적으로 자리를 잡은 하드웨어 분야와 소프트웨어 분야 벤처기업 1곳 씩 선정하여 성공적인 진입이 가능했던 이유와 업종별 특성에 따른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지배적 디자인 경쟁이 벌어지고 있는 환경에서 각 기술진영의 업체들은 자신의 기술이 확대되어 표준화가 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하드웨어 업체는 가격인하를 통한 시장 확대에 집중하였으며, 소프트웨어 업체는 보완기술의 보편화를 이루어 더 많은 사용자가 참여할 수 있게 유도하는데 노력한다. 지배적 디자인 경쟁환경은 벤처기업의 업종에 따라 기회포착 인식의 차이를 갖게 하는데 하드웨어 업체는 잠재수익률에 대한 기회인식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틈새시장을 확보하도록 핵심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며, 소프트웨어 업체는 다수의 사용자가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보완기술에 기회를 인식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빅데이터 기반 실시간 불량품 발생 원인 분석 및 설비 교체주기 예측 (Analysis of Defective Causes in Real Time and Prediction of Facility Replacement Cycle based on Big Data)

  • 황승연;곽경민;신동진;곽광진;노영주;박경원;박정민;김정준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203-212
    • /
    • 2019
  • 최근 4차 산업혁명과 함께 세계 제조 강국들은 침체된 제조업의 부흥을 위해 국가적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문재인 정부도 '과학기술 발전이 선도하는 4차 산업혁명'이라는 전략을 제시하였다. 4차 산업혁명을 이끄는 핵심기술인 IoT, Cloud, Big data, Mobile, AI 등의 지능정보기술은 로봇, 3D 프린팅 등과 같은 신산업의 등장과 기존 주요 제조업의 스마트화를 촉진하고 있다. 스마트공장과 같은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IoT 기반의 센싱 기술이 발전하면서 이전에는 수집할 수 없었던 다양한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게 되었고, 각 공정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도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생성기를 활용하여 스마트공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불량품의 발생 원인을 분석하고 설비의 교체주기를 예측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알긴산을 첨가한 수리미 혼합물의 응고에 미치는 칼슘의 영향 (Effect of Calcium Type on Coagulation of Surimi Mixture with Alginic Acid)

  • 김수룡;한현수;박예린;강유석;박정철;서훈서;최예희;김수형;정소미;강우신;김한호;류시형;이지은;쉬시아오통;이가혜;안동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218-223
    • /
    • 2021
  • In this study, the possibility of use as a cartridge for 3D printing was confirmed by adding calcium to the alginic acid-added surimi mixture. The Alaska pollack Gadus chalcogrammus surimi added with alginic acid was immersed in a calcium solution (1 M calcium carbonate, 1 M calcium chloride, 1 M calcium sulfate, and 0.1 M calcium lactate) to evaluate the physical properties, color differences, and sensory properties of Alaska pollack surimi according to calcium types. As the results, in the case of surimi paste to which 1 M calcium carbonate was added, physical properties were weaker than that of 1 M calcium chloride, but gelation was appropriate and sensory properties was excellent. Addition of 1 M calcium chloride has the best physical properties, but it has a problem of bitter taste. With the addition of 1 M calcium sulfate, it has low solubility and poor physical properties as well as poor elasticity and bad taste. Addition of 0.1 M calcium lactate has weak physical properties but good sensory properties. From these results, 1 M calcium chloride has the best physical properties, but there is a decisive problem in sensory properties, so 1 M calcium carbonate is most suitable for commercial use.

디지털 방법을 활용하여 임시수복물을 최종 고정성 임플란트 수복물로 이행한 완전 구강 회복 증례 (Full-mouth rehabilitation using digital method to transfer provisional restoration to final fixed implant restoration)

  • 조은한;이영후;홍성진;백장현;배아란;김형섭;권긍록;노관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362-373
    • /
    • 2022
  • 완전 무치악 환자의 고정성 보철 수복 시 수술 전 적합한 치아 위치를 확인하고 잔존 치조골과 연조직의 평가를 통해 수술을 계획하여 정확한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가이드 임플란트 수술과 CAD-CAM 기술은 보철 치료와 수술을 동시에 계획할 수 있고 치료에 대한 예지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임상 증례에서는 이러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임시의치 제작, 고정성 수복 치료 전 심미성 평가 및 가이드 수술을 계획하였다. 수술 후에도 기존에 얻었던 정보들을 통해 고정성 임시 보철물을 제작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되었으며 최종적으로 임시 보철물을 반영하여 단일 구조 지르코니아 보철물을 제작하였고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