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D Stereoscopic Movie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3초

3D입체영화관객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영화적 요인 (Movie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of 3D Stereoscopic Movie Audiences)

  • 윤재선;임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106-117
    • /
    • 2011
  • 본 연구는 3D입체영화 관객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3D입체영화 관객의 관람만족도를 증가시키는 방안을 모색하여 3D입체영화 산업의 발전전략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분석한 결과, 영화 관객의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크게 영화 내부적 요소, 영화 환경적 요소, 영화 관객요소로 나뉘며, 그 중 영화 내부적 요소의 영향력이 나머지 둘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3D입체영화는 기존의 영화와 촬영, 상영, 관람방식, 인지과정 등 영화 환경적 요소와 영화 관객요소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큰 차이점을 보이므로 3D입체영화에서는 영화 환경적 요소와 영화 관객요소의 영향력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3D입체영화 관객을 대상으로 관람만족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적 피로감 개선 방안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둘째, 영화관 구조와 좌석배치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셋째, 관객의 입장에서 납득할 수 있는 3D입체영화 가격수준을 책정해야한다.

3D입체 라이더영상의 촬영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hooting Techniques of 3 Dimensional Stereoscopic Rider Movie)

  • 최원호;김치용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257-265
    • /
    • 2014
  • 3D입체영상은 인간의 눈을 지향하면서 하드웨어의 발전에 따라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3D입체영상은 두 대의 카메라 또는 두 개의 렌즈를 사용하면서 2D영상의 제작에 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3D입체영상의 제작기법을 활용하여 라이더영상을 제작하기 위한 시스템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효과적인 입체감의 형성을 위한 요소를 적용하여 연출의도에 부합하는 3D입체 라이더영상을 제작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 3D입체 라이더영상은 장르적 특성으로 인해 경량화된 일체형 시스템이 효과적이었으며, 후반작업에서의 Time Remapping, 색보정, 그래픽요소의 추가를 고려한 로케이션 촬영이 요구되었다.

2D와 3D 영상 효과 비교 (Comparison of 2D and 3D visual effects)

  • 정동훈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141-149
    • /
    • 2010
  • The success of movie 'Avatar' make people be interested in 3D stereoscopic movie, and government and 3D industry acknowledge that it is another opportunity to develop 3D market since 1920s. However, despite much interest little research to evaluate the effect of 3D stereoscopic exists. The present research aimed to disclose 3D effect compared to 2D by assumption of the importance of 3D stereoscopic and little evaluation to that as well. When audience are exposed to 3D stereoscopic, many outcomes are supposed to be differentiated from when to 2D. From this hypothesis, this paper examined mood, attitude, and presence as dependent variables. Using polarized stereoscopic projection display, 30 participants watched 2D and another 30 watched 3D stereoscopic movie which were the same content. On conclusion, the two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nd this involved much insight.

3D 영상 평가를 위한 탐색적 분석 (Exploratory analysis of 3D stereoscopic video measurement)

  • 정동훈;양호철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225-235
    • /
    • 2010
  • People are getting more interested in 3D stereoscopic movie, but due to the sudden concern, there is less research how 3D stereoscopic movie influence on people. The present research aims at developing 3D stereoscopic movie measurement. For this, we tested three variables which are perceived functionality, impression, and presence. Perceived functionality is defined as how people perceive functions of 3D stereoscopic movie for instance depth, and impression is defined as how people integrate various information as a total image. Finally, presence is a psychological state that individual's perception fails to accurately acknowledge the role of the technology in the experience. As a result, perceived functionality consists of four factors, impression consists of eight factors, and presence consists of three factors. As an exploratory research, we cannot guarantee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but as a seminal research it is worthwhile to pay attention.

2D영상과 3D 입체영상에서의 액션 어드벤처 게임 몰입도 비교 (Exploring the Immersion Degree Difference Between 3D and 2D: Focus on Action-Adventure Game)

  • 권혁인;이현정;박진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57-164
    • /
    • 2011
  • 영화 아바타가 세계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면서, 대중들의 3D입체영상에 대한 관심은 증폭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3D라 일컬어지는 stereoscopic에 대한 대중들의 폭발적인 관심이 얼마나 지속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소비자들은 사회문화 환경 변인에서 오는 그들의 누적된 경험과 지배적인 의식이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같은 내용의 영상물을 2D와 3D 입체영상으로 제시했을 때, 몰입도나 흥미의 지속성 등의 차원에서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에 대해 알아보는 일은 중요하다. 이 같은 관점에서, Jennett (2008) 은 게임의 몰입에 관한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는데, 본 논문에서는 이 도구를 이용하여, PC 게임 사용자들이 느끼는 3D 입체영상과 2D에서 몰입과 흥미 등의 정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새로운 단일렌즈 양안식 입체영상 카메라의 구현과 테스트 방법 (New Implementation and Test Methodology for Single Lens Stereoscopic 3D Camera System)

  • 박상일;유성근;이영화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569-577
    • /
    • 2014
  • 2009년 영화 "아바타"의 막대한 성공으로 인해 양안식 입체 영화와 TV가 주목을 받고 있다. 또한 2014년에 개봉한 "로보캅 3"와 "트랜스포머 4"와 같은 대다수의 입체 영화와 컨텐츠는 실제로 촬영한 영상과 가상으로 만들어진 영상을 합성하여 만들어진다. 그러나 양안식 입체 영화는 두 대의 카메라를 리그라고 불리는 장치에 연결하여 조정과 촬영에 많은 노력과 비용이 들어가는 기존의 양안식 입체 영상 리그 카메라 시스템으로 촬영되게 된다. 이러한 문제는 아바타와 같은 성공적인 양안식 입체 영화 촬영을 어렵게 한다. 본 논문은 기존의 양안식 입체 영상 리그 카메라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문제의 해결방법으로 새로 고안된 단일렌즈 양안식 입체 영상 카메라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하나의 광축을 두 영상이 지나가도 서로 섞이거나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시간적으로 혹은 공간적으로 분리하는 기술을 바탕으로 만들어진다. 위의 시스템은 기존의 양안식 입체 영상 리그 카메라 시스템보다 조정과 촬영이 간단하고, 기하학적 왜곡이 적기 때문에 보기 편안한 입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단일렌즈 양안식 카메라 시스템 중 회전하는 셔터를 사용한 시스템을 설명하고, 실제로 얼마나 왜곡이 적은지 실험한다. 또한 앞으로 더 좋은 결과를 가져올 향상된 단일렌즈 양안식 입체 영상 카메라 시스템에 대하여 논의한다.

2D 의료영상의 3차원 입체영상 생성 (3D Stereoscopic Image Generation of a 2D Medical Image)

  • 김만배;장성은;이우근;최창열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723-730
    • /
    • 2010
  • 최근 다양한 3차원 영상처리 기술이 산업체 전반으로 확대되고 있다. 관련 기술중의 하나인 입체변환은 기존의 2D영상에서 입체영상을 생성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영화, 방송 콘텐츠에 적용되어 3D 입체로 시청할 수 있는데, 3D 기술의 지속적인 산업체 응용이 요구됨에 따라 입체변환 기술을 새로운 분야로 적용하여 새로운 입체 콘텐츠를 제작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이 기술을 의료영상에 응용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의료 영상은 정확한 판독이 필요하기 때문에 2D 의료영상보다 구체적인 3D 정보를 얻을 수 있는 3D 입체영상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2D 의료영상으로부터 입체영상을 생성하는 의료영상 입체변환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 영상으로 CT(Computed Tomograpy) 영상을 사용한다. 제안 방법은 장기의 영역 분할, 에지를 이용한 경계선 추출, 각 장기의 깊이 정보에 따른 명암 분석 등으로 구성된다. 얻어진 데이터를 바탕으로 CT 영상의 깊이맵을 생성한다. 최종적으로 추출된 깊이 맵과 2D 의료영상으로 부터 입체영상을 생성한다.

입체영상 방송텍스트에서 입체감을 위한 패럴렉스 데이터 표준화에 관한 연구 (3D stereoscopic representation of title in broadcasting, the distance standardize for the study of parallax)

  • 오문석;이윤상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111-118
    • /
    • 2011
  • Recent advances in the media have no special change is the development of the 3D stereoscopic image, which started in the movie is coming over now to the broadcast. Confusing variety having, in the production of 3D images that are waiting for the standardized production. 3D images of them being used in broadcast subtitles, first because there is no standardized production systems, making it look is dedicated to the time and effort. This research necessary to create 3D images of these subtitles, titles, text-based objects, such as Rig imaging using a standardized way to synthesize the most stable is proposed. First, with captions or titles, and the readability and understanding of the uniqueness to the human eye to create an environment that is kind of crowd. Because of this, excessive camera Ferrell Rex (gap) created a branch bunch of snow, work should not hurt readability. 100 adult men and women throughout the experiment.

3D 시네마 수용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Ways to Embrace Stereoscopic 3D Cinema in Korea)

  • 이찬복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1969-1977
    • /
    • 2010
  • 약 국내 관객 동원 최고 기록을 갱신한 3D 입체 영화 "아바타"의 등장으로 3D 영화에 관한 관심이 폭증하고 있다. 한국이 스테레오스코픽 3D 영화를 적절하게 수용하는 방안과 그에 따른 결과와 영향을 연구해보고자 한다. 기존의 아날로그 3D 영화나 컴퓨터 그래픽 3D와 뚜렷하게 구별되는 스테레오스코픽 3D 시네마의 도입은 한국 영화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불어올 가능성이 크다. 1990년대 이후 갑자기 늘어난 국내 대학의 영상 관련 전공은 해마다 수많은 졸업생들의 취업난으로 이어지게 했다. 하나의 프로젝트에 수백 명의 영상 관련 인력을 필요로 하는 3D 컨버팅 사업은 영상 전공 인력의 고용창출에 일조할 수 있다. 기존 대학의 영화 영상 교육 교과 과정 내에 3D 영상 제작 인력 양성 과정을 포함시켜 전문 3D 영화인을 양성하는 것은 한국이 3D 시네마를 수용할 수 있는 방법 중 눈여겨 볼 만 한 부분이다. 기존 2D 영화 스탭이 대체할 수 없는 스테레오그래퍼나 컨버전스 풀러와 같은 새로운 영역의 3D 전문 영상 인력을 양성시킨다면 세계적으로 증가일로에 있는 3D 영화 산업에 한국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3D 영사 관련 부문도 한국이 후발 주장 임에도 괄목할 만한 결과를 보여주는 장밋빛 분야인데 이처럼 3D 시네마의 각 영역에서 한국이 잘 할 수 있는 부분을 찾아서 그에 따른 기술 개발과 교육이 진행된다면 아직 시행착오와 표준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3D 시네마 제작에 있어서 한국의 경쟁력과 차별성을 부각시킬 수 있다. 산, 관, 학이 연계하여 개발할 부문이 무한한 스테레오스코픽 영역을 기존의 한국 영화 산업에 편입 시킨다면 국내 영화 산업계는 좀 더 규모와 수익을 확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깊이맵 변환을 이용한 3D 입체감 개선 방법 (Improvement of 3D Stereoscopic Perception Using Depth Map Transformation)

  • 장성은;정다운;서주하;김만배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916-926
    • /
    • 2011
  • 3D 영화 콘텐츠처럼 고해상도로 만들어진 입체영상은 저해상도 영상에서는 동일한 3D 깊이감을 느낄 수가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적 복잡도을 이용하여 깊이맵을 변환하여 입체감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에서는 깊이맵의 히스토그램을 분석한 후에, 깊이맵을 다수의 깊이평면으로 분할한 다음에 깊이 평면을 변환한다. 마지막으로 변환된 깊이평면을 통합하여 최종 깊이맵을 생성한다. 주관적 평가 실험에서는 입체감 개선 및 이에 따라 발생하는 시각적 피로도를 검증하였다. 실험에서는 입체감의 개선이 증명되었으며, 영상 해상도가 낮아져도, 입체감은 유지되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얻어진 입체영상의 시각적 피로도 검증을 통해서 생성된 입체영상은 피로도가 증가하지 않는 것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