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D R-Tree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35초

3차원 R-트리를 이용한 이동체 색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dexing Moving Objects using the 3D R-tree)

  • 전봉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65-75
    • /
    • 2005
  • 이동체 데이터베이스는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이동체의 위치와 궤적을 검색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질의를 효과적으로 처리해야 한다. 질의 처리의 성능 향상을 위하여,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이동체를 위한 효과적인 색인 기법이 필요하다. 3D R-tree와 TB-tree는 현재 위치에 대한 영역 질의를 처리할 수 없다. 현재와 과거 위치에 대한 영역 질의를 처리하기 위하여, 기존의 3D R-tree를 태그 now를 가지도록 수정하였다. 대부분의 시공간 색인 구조들은 이동체의 과거 위치에 대한 영역 질의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없다. 이와 같은 쟁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기존의 3D R-tree를 기반으로 하는 TA3DR-tree이라 불리는 색인 방법을 제안한다. TA3DR-tree는 기존의 3D R-tree와 TB-tree와의 성능 평가의 우수한 성능 결과를 보였다.

  • PDF

Rend 3D R-tree : 3D R-tree 기반의 이동 객체 데이터베이스 색인구조 연구 (Rend 3D R-tree: An Improved Index Structure in Moving Object Database Based on 3D R-tree )

  • 임향초;임기욱;남지은;이경오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78-881
    • /
    • 2008
  • To index the object's trajectory is an important aspect in moving object database management. This paper implements an optimizing index structure named Rend 3D R-tree based on 3D R-Tree. This paper demonstrates the time period update method to reconstruct the MBR for the moving objects in order to decrease the dead space that is produced in the closed time dimension of the 3D R-tree, then a rend method is introduced for indexing both current data and history data. The result of experiments illustrates that given methods outperforms 3D R-Tree and LUR tree in query processes.

대용량 3차원 지상 레이저 스캐닝 포인트 클라우드의 탐색을 위한 3D R-tree와 옥트리의 비교 (A Comparison of 3D R-tree and Octree to Index Large Point Clouds from a 3D Terrestrial Laser Scanner)

  • 한수희;이성주;김상필;김창재;허준;이희범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9-4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지상 레이저 스캐너로부터 취득된 대용량 포인트 클라우드로부터 효과적인 포인트 탐색을 수행하기 위한 인덱싱 방법으로서 3D R-tree와 옥트리를 비교하였다. 포인트 클라우드의 각 포인트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의 포인트를 조회하는 방식으로 탐색을 수행하였으며, 탐색 시간 및 메모리 사용량을 측정하였다. 실제 건물과 석탑을 대상으로 취득된 포인트 클라우드에 적용한 결과, 옥트리는 3D R-tree에 비하여 생성 및 탐색 속도가 우수하며 3D R-tree는 보다 메모리 효율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3D R-tree는 인덱스 용량과 리프 용량이, 옥트리는 계층 수가 탐색 성능을 좌우함을 확인하였으며, 주어진 자료에 대한 최적의 수치를 도출할 수 있었다.

현재와 과거 위치 질의를 위한 시공간 색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patial-temporal indexing for querying current and past positions)

  • Jun, Bong-Gi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1250-1256
    • /
    • 2004
  • 현재 및 과거 위치 질의를 위해 연속적으로 변경되는 위치의 이동은 저장되고 색인화 되어야 한다. 기존의 R-트리에 시간을 다른 차원으로 추가하여 간단하게 확장한 3차원 R-트리는 현재 위치 질의를 다루지 않고 있으며, 색인 노드들의 많은 중첩으로 인하여 공간 활용도가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분할된 노드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향상된 3차원 R-트리의 동적 분할 정책을 제안한다. 또한, 이동체들의 현재 및 과거 위치를 질의하기 위해 새로운 태그 색인 구조를 소개함으로서 기존의 3차원 R-트리를 확장하였다. 현재 및 과거 위치 질의에서 제안하는 태그 동적 3차원 R-트리는 기존의 3차원 R-트리와 TB-트리 보다 성능이 우수하였다.

Prefetch R-tree: 디스크와 CPU 캐시에 최적화된 다차원 색인 구조 (Prefetch R-tree: A Disk and Cache Optimized Multidimensional Index Structure)

  • 박명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3D권4호
    • /
    • pp.463-476
    • /
    • 2006
  • R-tree는 일반적으로 트리 노드의 크기를 디스크 페이지의 크기와 같게 함으로써 I/O 성능이 최적화 되도록 구현한다. 최근에는 주메모리 환경에서 CPU 캐시 성능을 최적화하는 R-tree의 변형이 개발되었다. 이는 노드의 크기를 캐시 라인 크기의 수 배로 하고 MBR에 저장되는 키를 압축하여 노드 하나에 더 많은 엔트리를 저장함으로써 성능을 높였다. 그러나, 디스크 최적 R-tree와 캐시 최적 R-tree의 노드 크기 사이에는 수십-수백 바이트와 수-수십 킬로바이트라는 큰 차이가 있으므로, I/O 최적 R-tree는 캐시 성능이 나쁘고 캐시 최적 R-tree는 디스크 I/O 성능이 나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CPU 캐시와 디스크 I/O에 모두 최적인 R-tree, PR-tree를 제안한다. 캐시 성능을 위해 PR-tree 노드의 크기를 캐시 라인 크기보다 크게 만든 다음 CPU의 선반입(prefetch) 명령어를 이용하여 캐시 실패 횟수를 줄이고, 트리 노드를 디스크 페이지에 낭비가 적도록 배치함으로써 디스크 I/O 성능도 향상시킨다. 또한, 이 논문에서는 PR-tree에서 검색 연산을 수행하는데 드는 캐시 실패 비용을 계산하는 분석 방법을 제시하고, 최적의 캐시와 I/O 성능을 보이는 PR-tree를 구성하기 위해, 가능한 크기의 내부 단말 노드, 중간 노드를 갖는 PR-tree 생성하여 성능을 비교하였다. PR-tree는 디스크 최적 R-tree보다 삽입 연산은 3.5에서 15.1배, 삭제 연산은 6.5에서 15.1배, 범위 질의는 1.3에서 1.9배, k-최근접 질의는 2.7에서 9.7배의 캐시 성능 향상이 있었다. 모든 실험에서 매우 작은 I/O 성능 저하만을 보였다.

Electrolyte 가 Bow-tie 형 수트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lectrolyte on Bow-tie Water tree)

  • 강태오;양우영;김관성;전찬오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4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C
    • /
    • pp.1550-1552
    • /
    • 1994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lectrolyte solutions on the activities of bow-tie water trees in XLPE insulated power cable, we have tried to observe the characteristics on water treeing ( bow-tie type ) using several electrolyte solutions such as $CH_3COOH$, $MgCl_2$,HCl and NaCl solution and tap water. Bow-tie tree density in $CH_3COOH$ and $MgCl_2$ solution was higher than in any other solution, and the growth of tree was stimulated in NaCl and $CH_3COOH$ solution, and diffusion of bow-tie trees into insulation in $MgCl_2$, HCl and NaCl solutions was faster than in $CH_3COOH$ solution and water. Also, although the increase of applied voltage caused bow-tie tree density to be high, it didn't affect the growth of tree maximum length noticeably.

  • PDF

이동체를 위한 R-트리 기반 색인에서의 궤적 클러스터링 정책 (Policies of Trajectory Clustering in Index based on R-trees for Moving Objects)

  • 반재훈;김진곤;전봉기;홍봉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2D권4호
    • /
    • pp.507-520
    • /
    • 2005
  • 이동체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과거 궤적 색인으로 R-tree계열이 많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R-tree계열의 색인은 공간 근접성만을 고려하였기 때문에 동일 궤적을 검색을 할 때 많은 노드 접근이 필요하다. 즉 기존의 이동체 색인들은 공간 근접성과 궤적 연결성이 서로 상반된 특징을 가지므로 함께 고려하지 못했다. 이동체 색인에서 영역 질의의 성능개선을 위해서는 노드 간의 심한 중복과 사장 공간(Dead space)을 줄여야하고, 궤적 질의의 성능 개선을 위해서는 이동체의 궤적 보존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같은 요구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이 논문에서는 R-tree 기반의 색인 구조에서 궤적 클러스터링 정책을 제안한다. 노드 분할 정책에서는 궤적 클러스터링을 위해서 동일 궤적을 그룹화해서 분할하는 공간 축 분할 정책과 공간 활용도를 높이는 시간 축 분할 정책을 제안한다. 또한 비단말 노드의 연결 정보를 저장하여 개선된 복합 질의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제안한 R-tree기반 색인 구조의 구현 및 성능 평가를 통해서 검색성능이 우수함을 보였다.

제한된 영역에서의 이동 및 고정 객체를 위한 시공간 분할 트리 (The Separation of Time and Space Tree for Moving or Static Objects in Limited Region)

  • 윤종선;박현주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2권1호
    • /
    • pp.111-123
    • /
    • 2005
  • Many indexing methods were proposed so that process moving object efficiently. Among them, indexing methods like the 3D R-tree treat temporal and spatial domain as the same. Actually, however. both domain had better process separately because of difference in character and unit. Especially in this paper we deal with limited region such as indoor environment since spatial domain is limited but temporal domain is grown. In this paper we present a novel indexing structure, namely STS-tree(Separation of Time and Space tree). based on limited region. STS-tree is a hybrid tree structure which consists of R-tree and one-dimensional TB-tree. The R-tree component indexes static object and spatial information such as topography of the space. The TB-tree component indexes moving object and temporal information.

  • PDF

THE SPLIT AND NON-SPLIT TREE (D, C)-NUMBER OF A GRAPH

  • P.A. SAFEER;A. SADIQUALI;K.R. SANTHOSH KUMAR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42권3호
    • /
    • pp.511-520
    • /
    • 2024
  •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concept of split and non-split tree (D, C)- set of a connected graph G and its associated color variable, namely split tree (D, C) number and non-split tree (D, C) number of G. A subset S ⊆ V of vertices in G is said to be a split tree (D, C) set of G if S is a tree (D, C) set and ⟨V - S⟩ is disconnected. The minimum size of the split tree (D, C) set of G is the split tree (D, C) number of G, γχST (G) = min{|S| : S is a split tree (D, C) set}. A subset S ⊆ V of vertices of G is said to be a non-split tree (D, C) set of G if S is a tree (D, C) set and ⟨V - S⟩ is connected and non-split tree (D, C) number of G is γχST (G) = min{|S| : S is a non-split tree (D, C) set of G}. The split and non-split tree (D, C) number of some standard graphs and its compliments are ident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