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D Position

검색결과 2,242건 처리시간 0.03초

Positional correction of a 3D position-sensitive virtual Frisch-grid CZT detector for gamma spectroscopy and imaging based on a theoretical assumption

  • Younghak Kim ;Kichang Shin ;Aleksey Bolotnikov;Wonho Lee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5권5호
    • /
    • pp.1718-1733
    • /
    • 2023
  • The virtual Frisch-grid method for room-temperature radiation detectors has been widely used because of its simplicity and high performance. Recently, side electrodes were separately attached to each surface of the detectors instead of covering the entire detector surface with a single electrode. The side-electrode structure enables the measurement of the three-dimensional (3D) gamma-ray interaction in the detector.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interaction can then be utilized to precisely calibrate the response of the detector for gamma-ray spectroscopy and imaging.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3D position-sensitive 5 × 5 × 12 mm3 cadmium-zinc-telluride (CZT) detector and applied a flattening method to correct detector responses. Collimated gamma-rays incident on the surface of the detector were scanned to evaluate the positional accuracy of the detection system. Positional distributions of the radiation interactions with the detector were imaged fo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 The energy spectra of various radioisotopes were measured and improved by the detector response calibration according to the calculated positional information. The energy spectra ranged from 59.5 keV (emitted by 241Am) to 1332 keV (emitted by 60Co). The best energy resolution was 1.06% at 662 keV when the CZT detector was voxelized to 20 × 20 × 10.

클러스터링 기반의 3D 위치표시용 스마트 플랫폼설계 (Design of Clustering based Smart Platform for 3D Position)

  • 강민구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56-61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사용자가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홈 허브가 유니티 3D 모델링으로 사물인터넷 센서의 3D 위치표출 방안이 제안되었다. 특별히, 3차원 공간에서 IoT 센서는 설치 공간별로 클러스링을 통해 IoT센서 속성과 배터리 상태를 모니터링 방식을 설계한다. 또한, 3차원 공간상에서 신규 설치한 IoT 센서가 인접 센서들의 무선신호의 비콘신호 및 도착시간 분석에 따른 센서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식은 센서의 무선신호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와 방위각을 기반으로 3차원 공간상에서 수신 각도에 따른 센서의 3D 위치를 표출할 수 있다. 이때 유니티 런쳐가 탑재된 스마트 허브 플랫폼은 사물인터넷 센서의 동작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다양한 센서의 생애주기를 관리할 수 있도록 동영상이 3차원 텍스쳐가 동시에 연동하도록 활용할 수 있다.

3차원 이동물체의 변위평가를 위한 스테레오 비젼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ereo Vision System Design for the Displacement Estimation of Three-Dimensional Moving Object)

  • 이주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1002-1016
    • /
    • 1990
  • 본 논문은 스테레오비젼 시스템을 설계 제작하고, 제작된 시스템을 가지고 3차원 이동물체의 변위평가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동물체의 추출은 차영상 알고리즘에 의해 추출하고, 3차원 이동물체의 기하학적인 위치좌표는 2개의 2차원 물체의 면적중심을 합성시켜 구하였다. 3차원 이동물체의 범위평가는 합성된 3차원 좌표값에 의해서 물체의 이동속도 및 거리, 이동궤적, 카메라와 물체 사이의 공간거리를 산출하여 입증하였다.

  • PDF

골프 동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스윙 정보를 활용한 3D 모델과 골프 동영상의 동기화 재생 (A Synchronized Playback Method of 3D Model and Video by Extracting Golf Swing Information from Golf Video)

  • 오황석
    •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 /
    • 제31권4호
    • /
    • pp.61-70
    • /
    • 2018
  • 본 논문은 골프 스윙 자세 학습자를 위하여 골프 스윙의 참조 모델인 3D 모델과 학습자의 골프 스윙을 촬영한 동영상을 대상으로 스윙 동작 시 각각의 위치 및 시간에서 각 동작을 정밀하게 비교 분석하기 위해 3D 모델의 골프 스윙 동작과 학습자의 스윙 동작을 동기화 시키는 방법을 제안하고 구현한 결과를 제시한다. 3D 모델과 학습자의 스윙 동영상을 동기화시켜 재생하기 위해서 먼저 학습자의 골프 스윙 동영상을 촬영하고, 촬영한 동영상으로부터 어드레스 자세부터 피니쉬 자세까지 골프 클럽의 위치에 따라 상대적 시간 정보를 추출한다. 고품질 모션 캡쳐 장비를 통해 초당 120프레임으로 캡처된 골프 전문가의 움직임 정보를 3D 모델에 리깅한 3D 참조 모델에 학습자 스윙 동영상으로부터 추출한 골프 클럽의 위치별 시간 정보를 적용하여 3D 참조 모델과 학습자의 스윙 동영상을 동기화시켜 재생함으로 학습자는 골프 스윙의 각 위치에서 참조 모델과 자신의 자세를 정밀하게 비교함으로 자세를 교정하거나 학습할 수 있다. 동기화된 재생을 통하여 기존의 수동적으로 위치를 조정하며 참조 모델과 학습자의 스윙을 비교 분석하는 시스템의 기능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할 수 있으며, 골프 자세의 각 위치를 검출하는 영상 처리 기술을 적용한 부분을 제외하고, 동기화시키기 위해 동영상에서 자동적으로 각 위치의 시간 정보를 추출하여 동기화시켜 재생하는 방법은 일반적인 생활 스포츠 분야로 확대하여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산화은을 이용한 O-알킬화 반응; 새로운 4-알킬옥시-2-페닐카복사미딜-1-토실피롤리딘 유?체의 합성 (O-Alkylation Using Ag2O; Synthesis of Novel 4-Alkyloxy-2-phenylcarboxamidyl-1-tosylpyrrolidines)

  • 박명숙
    • 대한화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549-554
    • /
    • 2001
  • 새로운 COZ-2저해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4-hydroxy L-proline의 1-위치에 arylsulfonyl기 2-위치에 arylcarboxamidyl기, 그리고 4-위치의hydroxy에 alkyl기를 도입한 새로운 후보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4-Hydroxy L-proline 1을 출발 물질로 하여 N-tosylation으로 1-위치에 4-methylphenylsulfonyl기를 도입하였고 esterification으로 carboxylic acid를 protection하였다. 4-위치의 O-alkyl-(or aralkyl)ation을 위해서 촉매로 silver oxide를 사용하여 다양한 유도체 4b-d로 전환시키는 데 성공하였다. Carboxylic acid기의 deprotection을 위해서 간편한 base-hydrolysis의 과정을 거쳐 4-alkyloxy-1-tosyl L-prolines 5b-d를 얻었다. 최종 목적 화합물인 1,2,4-치환된 pyrrolidine derivatives, 4-alkyloxy-2-phenylcarboxamidyl-1-tosyl pyrrolidines 6a-d 4종은 DCC를 사용하여 3 및 5b-d와 aniline과의 축합 반응으로 합성하였다.

  • PDF

3D City Modeling Using Laser Scan Data

  • Kim, Dong-Suk;Lee, Kwae-Hi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505-507
    • /
    • 2003
  • This paper describes techniques for the automated creation of geometric 3D models of the urban area us ing two 2D laser scanners and aerial images. One of the laser scanners scans an environment horizontally and the other scans vertically. Horizontal scanner is used for position estimation and vertical scanner is used for building 3D model. Aerial image is used for registration with scan data. Those models can be used for virtual reality, tele-presence, digital cinematography, and urban planning applications. Results are shown with 3D point cloud in urban area.

  • PDF

Precise Vehicle Localization Using 3D LIDAR and GPS/DR in Urban Environment

  • Im, Jun-Hyuck;Jee, Gyu-In
    • Journal of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 /
    • 제6권1호
    • /
    • pp.27-33
    • /
    • 2017
  • GPS provides the positioning solution in most areas of the world. However, the position error largely occurs in the urban area due to signal attenuation, signal blockage, and multipath. Although many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to solve this problem, a definite solution has not yet been proposed. Therefore,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solve the vehicle localization problem in the urban environment by converging sensors such as cameras and 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 In this paper, the precise vehicle localization using 3D LIDAR (Velodyne HDL-32E) is performed in the urban area. As there are many tall buildings in the urban area and the outer walls of urban buildings consist of planes generally perpendicular to the earth's surface,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meets at a vertical corner and this vertical corner can be accurately extracted using 3D LIDAR.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vertical corner extraction method using 3D LIDAR and perform the precise localization by combining the extracted corner position and GPS/DR information. The driving test was carried out in an about 4.5 km-long section near Teheran-ro, Gangnam. The lateral and longitudinal RMS position errors were 0.146 m and 0.286 m, respectively and showed very accurate localization performance.

스테레오 비젼의 양자화 오차분석 (Analysis of Quantization Error in Stereo Vision)

  • 김동현;박래홍
    • 전자공학회논문지B
    • /
    • 제30B권9호
    • /
    • pp.54-63
    • /
    • 1993
  • Quantization error, generated by the quantization process of an image, is inherent in computer vision. Because, especially in stereo vision, the quantization error in a 2-D image results in position errors in the reconstructed 3-D scene, it is necessary to analyze it mathematically. In this paper, the analysis of the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pdf) of quantization error for a line-based stereo matching scheme is presented. We show that the theoretical pdf of quantization error in the reconstructed 3-D position information has more general form than the conventional analysis for pixel-based stereo matching schemes. Computer simulation is observed to surpport the theoretical distribution.

  • PDF

구동부 변위의 보상이 가능한 지능형 대형 3D 프린터 개발 (Development of large-scale 3D printer with position compensation system)

  • 이우송;박성진;박인수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293-301
    • /
    • 2019
  • Based on accurate image processing technology, a system for measuring displacement in ${\mu}m$ for drive error (position error, straightness error, flatness error) at a distance using parallel light and image sensor is developed, and a system for applying this technology development to a large 3D rapid prototyping machine and compensating in real time is developed to dramatically reduce the range of measurement error and enable intelligent 3D production of high quality products.

고정도 3상 직선형 절대 위치 센서의 구현 (An Implementation of High-precision Three-phase Linear Absolute Position Sensor)

  • 이창수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335-341
    • /
    • 2015
  • 최근 들어 철강의 두께 제어를 위해 고정밀도의 절대 위치 검출 센서에 대한 필요성은 증가하고 있다. 열악한 공장 환경 하에서 직선 운동하는 실린더의 절대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LVDT가 널리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1 미크론의 고해상도를 가지는 3상 LVDT 및 L/D (LVDT to digital) 변환기를 구현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 U, V, W 3상 정현파에 대한 시그널링을 FPGA로 설계하였다. 둘째 위치 정보에 대한 A상, B상 펄스 파형 출력 알고리즘을 구현하였다. 마지막으로 성능 평가를 위하여 기존의 센서들과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직선성 편이 오차는 0.009788 [mm] 로써 2.2% 향상된 결과를 얻었고 정현파의 왜곡률은 평균 0.0751%로 기존보다 33%의 향상된 결과를 얻어 우수한 센서임을 입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