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3D 디스플레이

Search Result 926,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3D Video Quality Assessment Method based on Smoothness of Disparity (Disparity의 smoothness를 이용한 3D 비디오 품질 평가방법)

  • Lee, Seonoh;Nam, Junghak;Jang, Hyeongmoon;Yoo, Sunmi;Sim, Dong-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2.07a
    • /
    • pp.451-452
    • /
    • 2012
  • PDP, LCD, IED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 재료를 회두로 생장해 오던 디스플레이 장치 시장이 최근 3D라는 어플리케이션이 화두가 되어 시장 성장을 이끌어 오고 있다. 3D 디스플레이 장치 시장의 규모 및 성장속도에 비해 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3D 서비스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3D 디스플레이 장치를 확보하는 소비자가 늘어남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3D 서비스에 대한 잠재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3D 서비스가 계획되고,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 제작이 이루어지고 있다. 3D 디스플레이 장치 및 서비스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제작 및 서비스되는 3D 콘텐츠에 대한 품질 평가 방법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은 3D 비디오에 대해 사람들이 느끼는 주관적 품질 평가 방법을 제안한다. 하나의 영상 도메인에 표현되던 2D 영상과 달리 스테레오스코픽 비전 방식의 3D 입체 영상은 오른쪽과 왼쪽, 두 개의 영상 도메인에 각 각 표현된다. 또한 양쪽 영상의 차이로 인해 깊이감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양안에 입력되는 영상의 품질을 각각 측정하고, 두 영상의 차이가 이끌어내는 깊이감을 분석하여 입체영상 전체의 품질 평가에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3D Video Processing for 3DTV

  • Sohn, Kwang-Hoon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8b
    • /
    • pp.1231-1234
    • /
    • 2007
  • This paper presents the overview of 3D video processing technologies for 3DTV such as 3D content generation, 3D video codec and video processing techniques for 3D displays. Some experimental results for 3D contents generation are shown in 3D mixed reality and 2D/3D conversion.

  • PDF

Implementation of Super Multi-View imaging using Super Multi-View Images and 3D Pixel Design (초다시점 영상과 단위픽셀 디자인을 이용한 초다시점 3D영상 구현)

  • Ko, Mi-Ae;Lee, Dong-Su;Park, Min-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1474-1476
    • /
    • 2015
  • 무안경방식 초다시점 3D 영상을 재현하기 위해서는 초다시점 콘텐츠 및 3D 디스플레이 설계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은 무안경방식 초다시점 3D 디스플레이를 설계하기 위한 주요 인자들을 정의하고 이들 상호적인 관계를 이용하여 2D 디스플레이에서 초다시점 3D콘텐츠 정보를 재현하는 시스템을 개발함으로써 디바이스 설계자에게는 능동적으로 디스플레이를 설계할 수 있도록 하고, 콘텐츠 개발자는 실제 초다시점 디스플레이를 설계하지 않고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콘텐츠의 입체감을 가이드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초다시점(SMV) 3D 디스플레이의 소개

  • Kim, Seong-Gyu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1 no.2
    • /
    • pp.37-43
    • /
    • 2014
  • 현재 3D 디스플레이는 입체 영화의 흥행 성공으로 안경식 3DTV 및 3D 모니터 등으로 국내 디스플레이 대기업들이 세계적으로 선도하는 상황에 있다. 그러나 안경 착용의 불편함 그리고 눈의 피로현상 등의 문제로 진정한 3D 디스플레이의 대중적 상용화를 위한 기술 발전이 더 필요한 상황이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핵심 문제점들을 최소화할 가능성을 갖는 초다시점 기술에 대하여 그 기술의 개념 및 발전과 현재 상황 그리고 핵심연구 주제 등에 대하여 기술한다.

High Speed Face and Eye Detection Algorithm for Personal 3D Broadcasting Devices with User Interactive Function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의 개인용 3D 방송단말을 위한 얼굴 및 눈인식 알고리즘의 고속 검출 방법)

  • Song, Hyok;Kwak, Soo-Yeong;Bae, Jin-Woo;Choi, Bye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1.07a
    • /
    • pp.428-429
    • /
    • 2011
  • 3D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점 수에 따라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 및 스테레오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분할 수 있다. 스테레오 디스플레이 장치는 좌우 두 개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방식에 따라 영상포맷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에 보여지고 다시점 디스플레이는 두 개 이상의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영상의 화질문제로 인하여 최근 3DTV는 스테레오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대기업에서 양산하고 있는 기술이다. 스테레오 방식에서는 개인용 단말의 경우 사용자의 위치 및 눈의 위치에 따라 깊이감을 달리 보여주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어 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와같은 기술의 흐름에 맞춰 3D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한 눈 추적 알고리즘을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는 카메라에서 입력되는 영상에서 얼굴영역을 Haar training 방법을 통하여 추출하였으며 PCA 방법을 통하여 눈 영역을 추출하였다. 알고리즘의 복잡도로 인하여 연산량을 줄이기 위하여 Downsampling 방법을 활용하여 연산량을 약 26% 감소시켰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얼굴 및 눈 추적 알고리즘 구현시 최적화를 위하여 필요한 프로세스를 예측할 수 있다.

  • PDF

기획특집 (1)_3D 디스플레이 산업의 동향 - 3D 디스플레이 기술 현황과 전망

  • Mun, Hyeon-Chan
    • The Optical Journal
    • /
    • s.126
    • /
    • pp.26-30
    • /
    • 2010
  • 3D 기술은 차세대 입체멀티미디어 정보통신서비스의 총아로 각광받고 있으며 기술개발 경쟁이 치열한 첨단고도화 기술이다. 현재 3D 기술이 확대되면서 이에 대한 관련 산업체들의 욕구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3D 게임을 비롯한 소프트웨어 시장을 중심으로 의료, 보안, 광고, 방송 등에 대한 기업체의 참여와 더불어 폭발적인 시장이 형성되고 있는 추세이다. 향후 3DTV를 비롯해 정보통신, 방송, 의료, 영화, 게임, 애니메이션 등과 같은 기존의 모든 산업제품 개발에 응용되는 핵심 기술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특히 2010년 남아공 월드컵의 3D 방송으로 더욱더 많은 수요가 예상되고 있다. 방송통신위에 따르면, 3D 디스플레이 시장은 약 $160(M) 에서 2012년 $27,700(M)로 급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 PDF

Measurement and Modeling of Crosstalk and 3D Visual Fatigue Along with Horizontal Position in Mobile Glassless 3D Display Having Parallax Barrier (패럴랙스 배리어를 사용한 무안경식 휴대용 3차원 디스플레이의 수평위치에 따른 크로스톡 및 3차원 시각 피로의 측정과 모형 구축)

  • Park, JongJin;Kim, ShinWoo;Li, Hyung-Chul O.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19 no.2
    • /
    • pp.215-226
    • /
    • 2014
  • The 3D technology has been spread slowly and the reason would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most commercialized 3D displays require 3D glasses. There have been various researches on human factors of glass type 3D display. In this study we measured and modeled crosstalk as well as 3D visual fatigue induced by mobile glassless 3D display. Crosstalk as well as visual fatigue varied depending on horizontal position of the 3D mobile display. Measured crosstalk was relative low around the center of the display and it increased at the side of the display. Similar results were found in the measurement of 3D visual fatigue and discomfort. These results imply that human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design and evaluation of mobile 3D displays.

High efficient vision system for volumetric display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를 위한 고효율 비젼 시스템)

  • Kim, Sang Hy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10
    • /
    • pp.5130-5133
    • /
    • 2013
  • Volumetric display has many applications recently in education, 3D movie, medical images but these applications have several problems that need to be overcome. Volumetric display may process a amount of visual data and design the high efficient vision system for realtime display. The stereo data for volumetric display estimated the disparity vectors from the stereoscopic sequences has been transmitted the disparity vectors, motion vectors and residual images with the reference images, and the stereoscopic sequences have been reconstructed at the receiver for 3D display. Central issue for efficient 3D display lies in selecting an appropriate stereo matching with robust vision system. In this paper, high efficient vision system is proposed for efficient stereo image matching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represent high efficiency for proposed 3D display system.

Three-dimensional/two-dimensional convertible integral imaging display system using an active mask (동적 마스크를 이용한 3D/2D 변환 집적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 Oh, Yongseok;Shin, Donghak;Lee, Byung-Gook;Jeong, Shin-I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8 no.12
    • /
    • pp.3055-3062
    • /
    • 2014
  • 3D integral imaging technique with an active mask is capable of displaying real 3D images with high resolution in space. In this paper, we present a novel 3D/2D convertible integral imaging display system using an active mask. For the proposed method, the principles of 3D, 2D, and 3D/2D composed operations are explained according to the displayed images through two LCD panels. In 3D mode, the elemental images and the mask images are displayed in two display panels. On the other hand, the light source image and 2D image are displayed in 2D mode. In addition, 3D/2D mode is obtained using the spatial separation for 3D and 2D modes. To show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we carry out the preliminary experiments and present the optical results.

3D Image Display Method using Synthetic Aperture integral imaging (Synthetic aperture 집적 영상을 이용한 3D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 Shin, Dong-Hak;Yoo, Ho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6 no.9
    • /
    • pp.2037-2042
    • /
    • 2012
  • Synthetic aperture integral imaging is one of promising 3D imaging techniques to capture the high-resolution elemental images using multiple camera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of displaying 3D images in space using the synthetic aperture integral imaging technique. Since the elemental images captured from SAII cannot be directly used to display 3D images in an integral imaging display system, we first extract the depth map from elemental images and then transform them to novel elemental images for 3D image display. The newly generated elemental images are displayed on a display panel to generate 3D images in space. To show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method, we carry out the preliminary experiments using a 3D toy object and present the experimental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