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4 PPM

검색결과 3,650건 처리시간 0.042초

BPMC, Carbaryl 및 Chiorothalonil의 상호작용이 Carassius auratus(goldfish)를 이용한 단기간 생물농축계수의 측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teraction of BPMC, Carbaryl and Chlorothalonii on short-term Bioconcentration Factor in Carassius auratus(goldfish))

  • 민경진;차춘근;전봉식;김근배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72-82
    • /
    • 199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existence of BPMC, carbaryl and chlorothalonil on the short-term bioconcentration factor in Carassius auratus(goldfish). The fishes were exposed to the combined treatment of BPMC, carbaryl and chlorothalonil (0.05 ppm+0.05 ppm+0.005 ppm, 0.05 ppm+0.05 ppm+0.010 ppm, 0.05 ppm+0.10 ppm+0.005 ppm, 0.10 ppm+0.05 ppm+0.005 ppm, 0.10 ppm+0.10 ppm+0.005 ppm) for 3 and 5 days, respectively. BPMC, carbaryl and chlorothalonil in fish and in test water were extracted with n-hexane and acetonitrile. GC-ECD was used to detect and quantitate BPMC, carbaryl and chlorothalonil. 3-day and 5-day bioconcentration factors(BCF$_3$ and BCF$_5$) of each pesticide were calculated from the quantitation results. The depuration rate of each pesticide-from the whole body of fish was determined over the 72-h period after combined treatment.The results were as follows: BCF$_3$ values of BPMC were 4.163, 4.011, 4.122, 4.750 and 4.842 when the concentration of BPMC+ carbaryl+chlorothalonil in combined treatment were 0.05 ppm+0.05 ppm+0.005 ppm, 0.05 ppm+0.05 ppm+0.010 ppm, 0.05 ppm+0.10 ppm+0.005 ppm, 0.10 ppm+0.05 ppm+0.005 ppm and 0.10 ppm+ 0.10 ppm+0.005 ppm. BCF$_5$ values of BPMC were 3.465, 3.270, 3.472, 3.162, 4.227 and 4.157, respectively, under the above conditions. While BCF$_3$ values of carbaryl were 4.583, 4.642, 4.571, 3. 637 and 3.529, respectively, and BCF$_5$ values of carbaryl were 3.932, 3.797, 3.843, 4.293 and 4.132, respectively, under the conditions. While BCF$_3$ values of chlorothalonil were 2.024, 3.532, 2.213, 2.157 and 2.271, respectively, and BCF$_5$ of chlorothalonil were 6.712, 7.013, 6.457, 6.694 and 6.597, respectively, under the conditions. Depuration rate constants of BPMC were 0.019, 0.018, 0.020, 0.022 and 0.021 when the concentration of BPMC+carbaryl+chlorothalonil in combined treatment were the same as above. And depuration rate constants of carbaryl were 0.030, 0.029, 0.030, 0.029 and 0.031, respectively, under the same condition of pesticide mixtures. While depuration rate constants of chlorothalonil were 0.004, 0.004, 0.003, 0.004 and 0.003, respectively, under the same condition. It was observed that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BCFs and concentrations of the compounds in fish extracts, test water between combined treatment and single treatment. It was considered that no appreciable interaction at experimental concentrations was due to low concentrations, near environmental level, 0.005-0.1 ppm. Coexistence of BPMC, carbaryl and chlorothalonil had no effect on depuration rate of each pesticide and depuration rate of chlorothalonil was investigated 1/8 and 1/6 slower than those of carbaryl and BPMC in combined treatment. It is similar result in comparison with single treatment.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persistence of chlorothalonil in fish body would be higher than those of carbaryl and BPMC.

  • PDF

낙동강(洛東江) 중류수계(中流水系)의 수질조사(水質調査) 연구(硏究)$(1978{\sim}80$년(年)) (Studies on the Water Quality along the Midstream of Nakdong River in $1978{\sim}80$)

  • 최언호;이서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1-38
    • /
    • 1982
  • $1978{\sim}80$년 3개년에 걸쳐 경상북도 상주로 부터 경상남도 임해진에 이르는 낙동강(洛東江) 중류(中流)의 12개 지점과 금호강(琴湖江) 및 남강(南江) 하류(下流)의 2개 지점에서 년 4회(1월, 4월, 7월, 10월)에 걸쳐 수질(水質)을 조사하고 이를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금조강(琴潮江) 하류(下流)의 계절별 3년 평균 용존산소는 1월에 0.7 ppm, 4월에 1.3ppm, 7월에 4.0ppm, 10월에 0.8 ppm이었고, BOD농도는 1월에 91 ppm, 4월에 37 ppm, 7월에 6 ppm, 10월에 24 ppm이었다. 금호강 물은 극도로 오염되어 상수도(上水道) 원수(原水)나 산업용수(産業用水)로서 이용할 수 없는 상태이었다. 2) 낙동강 상류(上流)의 수질(水質)은 깨끗하나 대구지역에서 금호강의 합류로 급격히 오염(汚染)되어 화원에서의 3년간 계절별 평균 용존산소는 1월에 10.4 ppm, 4월에 5.8 ppm, 7월에 6.3 ppm, 그리고 10월에 7.0ppm으로 떨어졌으며 BOD농도는 1월에 8.8ppm, 4월에 6.5 ppm, 7월에 3.2ppm, 10월에 5.3ppm으로 높은 오염도를 나타냈다. 혼탁도, $NH_4-N$, 전기전도도 등도 높은 값을 보였다.

  • PDF

한국산 삽주의 화학성분 (Chemical Components of Korean Atractylodes japonica Koidz)

  • 강은미;심기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79-85
    • /
    • 2001
  • 한국산 삽주로 식품의 가공·저장 및 영양학적 및 기호적 가치를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인 화학성분을 분석한 결과 일반성분 중 총당은 생삽주에서 31.3%, 건삽주에서 46.8% 함유되어 있었다. 무기성분은 생삽주의 경우 K이 4,038.9 ppm, P 1,698.5 ppm, Ca 731.8 ppm, Mg 477.1 ppm, Na 87.2 ppm, Fe 56.4 ppm, Zn 22.4 ppm 및 Mn 13.5 ppm 이었고, 건삽주의 경우 K이 8,738.9 ppm, P 3,511.6 ppm, Ca 966.1 ppm, Mg 912.8 ppm, Na 147.4 ppm, Fe 113.9 ppm, Zn 46.7 ppm and Mn 23.5 ppm 이었다. 유리당은 sucrose가 생삽주에 0.88%, 건삽주에 3.44%로 다른 당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유기산은 tartaric acid가 생삽주에 3,849.0 mg%, 건삽주에 5,305.5 mg%로 가장 높게 함유되어 있었다. 구성 아미노산 중 생삽주에 arginine이 291.3 mg%, 건삽주에는 mg%이 569.8 mg%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방산 조성은 생삽주에 behenic acid가 4.0%로 높게 나타났고, 건삽주에 linoleic acid가 17.99%로 높게 나타났다.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향기성분은 furanodiene로 생삽주에 17.91%와 건삽주에 40.69%이었다.

  • PDF

3-Oxo-1,2-benzisothiazole-1,1-dioxide유도체의 합성 및 항규성 (Synthesis and Antifungal Activity of 3-Oxo-1, 2-benzisothiazole-1, 1-dioxide Derivatives)

  • 윤용진;박창석;김인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7권2호
    • /
    • pp.95-99
    • /
    • 1984
  • 3-Oxo-1,2-benzisothiazole-1, 1-dioxide의 몇몇 유도체를 합성하고 이들 유도체의 Pyricuria oryzae에 대한 항균성을 조사하였다. 이들 유도체의 $I_{50}$값은 각각 다음과 같다 ; 3-chloro (37.8ppm), 2-chloro (318.7ppm), MCS (20.1ppm), 3-(P-nitrophenyloxy) (35.4ppm), 3-(o-nitrophenyloxy) (11.8ppm), 3-(p-aminophenyloxy) (1643.2ppm) 2-allyl (946.2ppm), 2-(hydroxymethyl) (248.4), 2-chloromethyl 유도체 (192.7ppm)

  • PDF

해조류(海藻類)의 무기성분(無機成分) (The Content of Minerals in Algae)

  • 이종우;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1-58
    • /
    • 1980
  • 1976년(年) 6월(月)부터 10월(月)사이에 경남(慶南) 충무(忠武) 일원(一圓)에서 비교적(比較的) 이용도(利用度)가 높고 생산량(生産量)이 많은 해조류(海藻類) 16종(種)을 채집(採集)하여 중금속(重金屬)을 중심(中心)으로 한 무기성분(無機成分)을 분석(分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일반적(一般的)으로 녹조류(綠藻類)에는 철, 니켈 등의 함량(含量)이 높은 반면 갈조류(褐藻類)에는 납, 니켈 및 망간 등이 낮은 함량(含量)을 보였으며 카드뭄, 구리, 니켈 및 마그네슘등에서도 몇 가지 해조류(海藻類)가 특별(特別)한 함량차이(含量差異)를 나타내었다. 2) 카드뭄함량(含量)은 녹조류(綠藻類) $0.58{\sim}1.04ppm$(평균(平均) : 0.85ppm), 갈조류(褐藻類) $0.32{\sim}2.10ppm$ (평균(平均) : 1.08ppm), 홍조류(紅藻類) $0.54{\sim}1.70ppm$ (평균(平均) : 1.04ppm) 이었는데 김, 미역, 다시마 등은 $0.3{\sim}0.6ppm$의 분포(分布)로써 예상외로 낮은 함량(含量)을 나타내었다. 3) 납의 함량(含量)은 녹조류(綠藻類) $0.67{\sim}1.40ppm$(平均 : 1.03 ppm), 갈조류(褐藻類)$0.60{\sim}1.00ppm$(平均 : 0.82ppm), 홍조류(紅藻類) $0.56{\sim}2.40ppm$(平均 : 1.28ppm)으로써 어패류(魚貝類)에 비(比)해서 상당히 낮은 함량(含量)이었다. 4) 구리의 함량(含量)은 녹조류(綠藻類) $10.8{\sim}24.2ppm$ (평균(平均) : 18.95ppm), 갈조류(褐藻類) $7.4{\sim}24.6ppm$ (평균(平均) : 18.16ppm), 홍조류(紅藻類) $6.4{\sim}31.2ppm$ (平均 : 19.94ppm)의 분포(分布)이었는데 몇 종(種)의 해조(海藻)를 제외(除外)하고는 전반적(全般的)으로 높은 함량(含量)을 보이고 있다. 5) 철의 함량(含量)은 녹조류(綠藻類) $686.4{\sim}1,159.0ppm$(평균(平均) : 916.5ppm), 갈조류(褐藻類) $131.0{\sim}499.2ppm$ (平均 : 310.16ppm), 홍조류(紅藻類) $156.0{\sim}530.4ppm$(平均 : 248.2ppm)으로써 녹조류(綠藻類)는 다른 해조류(海藻類)에 비(比)하여 특(特)히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6) 망간의 함량(含量)은 녹조류(綠藻類) $48{\sim}221ppm$ (평균(平均) : 157.25ppm), 갈조류(褐藻類) $12{\sim}65ppm$ (평균(平均) : 41ppm), 홍조류(紅藻類) $72{\sim}162ppm$ (평균(平均) : 121 ppm)의 분포(分布)로써 갈조류(褐藻類)는 특(特)히 낮은 함량(含量)을 나타내었다. 7) 아연의 함량(含量)은 녹조류(綠藻類) $191.3{\sim}451.1ppm$(평균(平均) : 290.05ppm), 갈조류(褐藻類) $89.9{\sim}374.2ppm$(평균(平均) : 202.64ppm), 홍조류(紅藻類) $106.4{\sim}281.4ppm$ (평균(平均) : 188.93ppm)이었다. 8) 마그네슘함량(含量)은 녹조류(綠藻類) $0.48{\sim}1.83%$ (평균(平均) : 1.27%), 갈조류(褐藻類)$1.04{\sim}1.71%$(평균(平均) : 1.21%), 홍조류(紅藻類) $0.42{\sim}1.24%$(평균(平均) : 0.97%)이었다. 9) 불소는 해조류중(海藻類中)에 특(特)히 많이 함유(含有)되어 있어서 녹조류(綠藻類) $29.2{\sim}92.7ppm$(평균(平均) : 53.03ppm), 갈조류(褐藻類) $33.3{\sim}43.5ppm$(평균(平均) : 39.18ppm), 홍조류(紅藻類) $32.4{\sim}59.0ppm$(평균(平均) : 44.84ppm) 이었다.

  • PDF

진주시(晉州市) 생활하수(生活下水)가 남강(南江) 수질오염(水質汚染)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Influence of the Sewage in Jinju City on the Water Pollution of the Nam River)

  • 하호성;허종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90-97
    • /
    • 1983
  • 진주시내(晋州市內) 생활하수(生活下水)의 수질실태(水質實態)를 파악(把握)하여 그것이 남강(南江) 수질오염(水質汚染)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檢討)함으로써 남강(南江) 수질보전대책(水質保全對策) 수립(樹立)에 대(對)한 삼고자료(參考資料)를 제공(提供)코자 진주시내(晋州市內) 생활하수(生活下水)의 주요(主要) 5개(個) 배출구역(排出區域)과 진양호(晋陽湖) 및 남강(南江) 각(各) 1 개(個) 지점(地點)의 수질(水質)을 분석(分析)하였다. 1) 진주시(晋州市) 5개(個) 하수구역(下水區域) 배출수질(排出水質)의 각(各) 성분(成分) 평균치(平均値)는 pH 7.1, DO 2.3 ppm, BOD 126.2ppm, COD 123.7ppm, 탁도(濁度) 22.3ppm, $NH_4^+-N 9.3 ppm$, 알카리도 121ppm 경도(硬度) 121ppm, Cl- 44.3ppm, $SO_4--$ 88.9 ppm, Pb 0.0052 ppm, Zn 0.0079 ppm, Cu 0.0124ppm, Mn 0.0050 ppm 이었다. 2) 남강(南江)의 1일(日) 총(總) BOD 부하량(負荷量)은 14.80 ton이었으며 이 중 남강상류(南江上流)인 진양호(晋陽湖)로부터 6.94Ton, 그리고 진주시(晋州市) 下水(下水)로부터 4.93 ton이 류입(流入)되고 있었다. 따라서 하수(下水)가 차지하는 BOD 부하량(負荷量)은 33.3%였다. 3) 하수중(下水中)의 중김속함량(重金屬含量)은 낮아 남강(南江) 수질오염(水質汚染)에 그리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나 암모니아태(態) 질소(窒素)가 대단히 높아 농업(農業) 용수(用水)로 이용(利用)하기에는 불적당(不適當)할 것이로 사료(思料)된다. 4) 남강수질(南江水質)의 오염도(汚染度)를 농업용수기준치인 BOD 8ppm 이하(以下)로 줄이기 위해서는 진양호(晋陽湖) 남강(南江)댐에서의 방류량(放流量)을 $1,900,000 ^3$/일(日) 이상(以上)으로 조절해야 할 것으로 본다.

  • PDF

기반암에 따른 청풍지역 하상퇴적물의 지구화학적 특성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tream Sediments Based on Bed Rocks in the Cheongpung Area)

  • 박영석;박대우;김종균;송영상;이장존
    • 자원환경지질
    • /
    • 제39권6호
    • /
    • pp.675-687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청풍지역 하상퇴적물에 대한 지구화학적 특성 규명을 통해, 주성분원소 및 미량원소에 대한 청풍지역의 자연배경치를 제시하고, 지구화학적 재해에 대해 예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물이 흐르고 있는 1차 수계를 대상으로 하상퇴적물시료를 채취하였고, 실험실에서 자연건조 시켰으며, 화학적 분석을 위해 알루미나 몰타르를 이용하여 200메쉬 이하로 분쇄하였다. 주성분원소 및 미량성분원소는 XRD, XRF, ICP-AES, NA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청풍지역 하상퇴적물의 기반암에 따른 지질집단별 지구화학적 특성 비교를 위해, 화강암질편마암지역, 메타텍틱편마암지역, 다도응회암지역, 유치역암 지역, 능주용암지역으로 분류하였다. 청풍지역 하상퇴적물 전체에 대한 주성분원소 함량은 $SiO_2\;47.31{\sim}72.81\;wt.%,\;Al_2O_3 \;11.26{\sim}21.88\;wt.%,\;Fe_2O_3\;2.83{\sim}8.39\;wt.%,\;CaO\;0.34{\sim}7.54\;wt.%,\;MgO\; 0.55{\sim}3.59\;wt.%,\;K_2O\;1.71{\sim}4.31\;wt.%,\;Na_2O\;0.56{\sim}2.28\;wt.%,\;TiO_2\;0.46{\sim}1.24\;wt.%,\;MnO\;0.04{\sim}0.27\;wt.%,\;P_2O_5\;0.02{\sim}0.45\;wt.%$이다. 청풍지역 하상퇴적물 전체에 대한 미량성분원소 및 희토류원소 함량은 $Ba\;700ppm{\sim}8990ppm,\;Be\;1.0{\sim}3.50ppm,\;Cu\;6.20{\sim}60ppm,\;Nb\;12{\sim}28ppm,\;Ni\;4.4{\sim}61ppm,\;Pb\;13{\sim}34ppm,\;Sr\;65{\sim}787ppm,\;V\;4{\sim}98ppm,\;Zr\;32{\sim}164ppm,\;Li\;21{\sim}827ppm,\;Co\;3.68{\sim}65ppm,\;Cr\;16.7{\sim}409ppm,\;Cs\;72{\sim}37.1ppm,\;Hf\;4.99{\sim}49.2ppm,\;Rb\;71.9{\sim}649ppm,\;Sb\;0.16{\sim}5.03ppm,\;Sc\;4.97{\sim}5ppm,\;Zn\;26.3{\sim}375ppm,\;Ce\;60.6{\sim}373ppm,\;Eu\;0.82{\sim}6ppm,\;Yb\;0.71{\sim}10ppm$의 범위를 보였다.

카드뮴화합물별(化合物別) 수도(水稻) 흡수(吸收) 및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Various Cadmium Compounds on the Growth and Cadmium Uptake of Paddy Rice)

  • 김규식;김복영;박영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6-12
    • /
    • 1983
  • 수도(水稻)에 대(對)한 cadmium화합물(化合物)의 형태(形態)에 따른 피해농도(被害濃度) 및 cadmium흡수정도(吸收程度)를 구명(究明)하기 위(爲)하여 $Cd(NO_3)_2$, $CdCl_2$, $CdSo_4$, $CdCo_3$ 및 CdS 등(等)의 화합물(化合物)을 토양(土壤)에 Cd로서 0, 5, 10, 25, 50 ppm처리(處理)하여 수도(水稻)의 수양(收量)에 미치는 농도(濃度)와 수도체중(水稻體中)의 cadmium함량(含量)을 조사(調査)한 바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토양중(土壤中) cadmium처리농도(處理濃度)가 높을수록 식물체(植物體) 경엽(莖葉) 및 현미중(玄米中) cadmium함량(含量)은 증가(增加)하였으나 수량(收量)은 높은 농도(濃度)에서 감소(減小)되었다. 2) 수양감수(收量減收)를 가져오는 토양중(土壤中) Cd의 농도(濃度)는 $Cd(NO_3)_2$ : 12.9ppm, $CdSO_4$ : 21.5ppm, $CdCl_2$ : 25.8ppm $CdCO_3$ : 33.2ppm, CdS : 97.6ppm 이었다. 3) 현미중(玄米中) cadmium함량(含量)이 1.0ppm이 되는 토양중(土壤中) Cd의 농도(濃度)는 $cd(NO_3)_2$ : 13.8ppm, $CdCl_2$ : 14.4ppm, $CdSO_4$ : 16.9ppm, $CdCO_3$ : 19.2ppm이었다. 4) cadmium의 현미흡수양/지상부흡수량비(玄米吸收量/地上部吸收量比)는 최고(最高) 분얼기(分蘖期) 28%,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 20%, 수확기(收穫期) 15%이었다. 5)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 식물체(植物體) 경엽중(莖葉中) cadmium함량(含量)과 현미중(玄米中) cadmium함량(含量)과의 관계(關係)는 $Y=0.067-0.0028x+0.007x^2$으로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이 있었다. 6) 용해도(溶解度)가 낮은 cadmium화합물(化合物)이 시험후(試驗後) 토양중(土壤中) 가용성(可溶性) cadmium합량(合量)이 낮았다.

  • PDF

중화요리용 향미유의 제조 및 향미특성 (Preperation and Flavor Characteristics of Seasoning Oil for Chinese Dish)

  • 구본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14-220
    • /
    • 2005
  • Methionine과 xylose를 이용한 Maillard 반응생성물을 첨가하고 autoclaving mothod로 중화요리용 향미유를 제조하였다. 이 향미유와 서울 시내 중국 음식점에서 자장면용 양념자장 3종을 구하여 이들의 휘발성 물질을 GC, GC-MSD로 측정하였다. 향미유에서는 61종, 404.92ppm의 휘발성 물질이 분리 정량 되었고, 양념자장 3종에서는 각각 39종, 42종, 42종이 확인 되었으며, 그 양은 각각 333.52ppm, 330.01ppm, 393.18ppm이었다. 중화요리용 향미유의 주요 휘발성 성분은 diallyl disulfde, pentane, diallyl trisulfide, t, t-2, 4-decadienal 및 zinngiberene이었으며, 이들의 함량은 각각 40.15ppm, 32.32ppm, 19.57ppm, 15.06ppm 및 13.23ppm이었다. 시중 자장시중 3종에서는 pentane, propenal, hexanal, t-2-heptanal, 2, 4-heptadienal, t, t-2, 4-decadienal 및 미확인 물질이었다. 본 실험에서 제조한 향미유는 3종류의 sample과 유사한 향미 물질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aldehyde, ethane, alcohol 등의 함량은 낮은 편이었다.

염화망간 처리가 벼 유묘의 엽록소, 유리 Proline 및 SOD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nganese Chloride on Chlorophyll, Free Proline and SOD Activity of Rice Seedling)

  • 김상국;이상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66-169
    • /
    • 1999
  • 본 실험은 볍씨에 염화망간의 농도를 2500, 3500 및 4,500ppm을 처리하여 벼의 초기생육에 대한 생육반응, 엽록소 함량, 유리 proline 및 SOD활성변화를 자포니카형인 일품벼를 실험재료로하여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근장은 무처리보다 망간농도 4,500ppm에서는 0.3cm로 망간농도가 증가할수록 뿌리 생장이 억제되었다. 2. 발아율은 망간농도 3,500ppm에서 68%였으나 망간농도 4,500ppm에서 는 43%로 가장 낮았다. 3, 엽록소 함량은 무처리보다 고농도인 4,500ppm 에서 1.16mg으로 가장 낮았다. 4. 유리 proline 함량은 무처리에서는 발아 후 3일과 8일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발아 후 3일째 망간농도2,500ppm과 4,500ppm에서 각각 3,286$\mu$mole과 5,872$\mu$mole로 망간농도가 높아질수록 유리 proline 함량이 증가하였다. 5. SOD 활성은 발아 후 2일째 무처리가 762EU인 것에 비해 망간농도 4,500ppm에서는 1,693EU로 가장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