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Dimension algorithm

검색결과 191건 처리시간 0.034초

자기 조직화 신경망을 이용한 클러스터링 알고리듬 (A Clustering Algorithm using Self-Organizing Feature Maps)

  • 이종섭;강맹규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57-264
    • /
    • 2005
  • This paper suggests a heuristic algorithm for the clustering problem. Clustering involves grouping similar objects into a cluster. Clustering is used in a wide variety of fields including data mining, marketing, and biology. Until now there are a lot of approaches using Self-Organizing Feature Maps(SOFMs). But they have problems with a small output-layer nodes and initial weight. For example, one of them is a one-dimension map of k output-layer nodes, if they want to make k clusters. This approach has problems to classify elaboratively. This paper suggests one-dimensional output-layer nodes in SOFMs. The number of output-layer nodes is more than those of clusters intended to find and the order of output-layer nodes is ascending in the sum of the output-layer node's weight. We can find input data in SOFMs output node and classify input data in output nodes using Euclidean distance. We use the well known IRIS data as an experimental data. Unsupervised clustering of IRIS data typically results in 15 - 17 clustering error. However, the proposed algorithm has only six clustering errors.

단순강판형 단면의 최적설계를 위한 효율적인 비선형계획기법 (Efficient NLP Techniques for the Optimum Design of Simple Steel Plate Girder Cross Section)

  • 김종옥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11-122
    • /
    • 1994
  • In this study, an algorithm which can be applied to the optimum design of simple steel plate girders was developed, and efficient optimization strategies for the solution of algorithm were found out. The optimum design algorithm consists of 3-levels of optimization. In the first and second levels of optimization, the absolute maximum bending moment and shearing force are extracted and in the third level of optimization, the optimum cross section of steel plate girder is determined. For the optimum design of cross section, the objective function is formulated as the total area of cross section and constraints are derived in consideration of the various stresses and the minimum dimension of flange and web based on the part of steel bridge in the Korea standard code of road bridge. Sequential unconstrained minimization technique using the exterior penalty function method(SUMT-EP), sequential linear programming(SLP) and sequential quadratic programming (SQP) are proved to be efficient and robust strategies for the optimum design of simple plate girder cross section. From the reliable point of view, SLP is the most efficient and robust strategy and SQP is the most efficient one from the viewpoint of converguency and computing time.

  • PDF

적목현상 특징을 이용한 적목현상 보정 알고리즘 및 하드웨어 구현 (Algorithm and Hardware Implementation of Redeye Correction Using the Redeye Features)

  • 이성진;장원우;최원태;김석찬;강봉순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51-157
    • /
    • 2009
  • 본 논문은 적목현상 보정을 위한 알고리즘에 관한 것이다. 자연스러운 보정을 위해 적목현상이 발생한 이미지에서 적목현상이 발생한 위치를 추정하고 적목현상의 정도를 판단하여 적절한 보정을 적응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붉은 색, 피부색, 반사광색을 이용하여 적목현상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는 픽셀을 추출하고 픽셀들을 그룹화하여 레이블링 하였다. 레이블링 된 각 그룹들 중에서 그룹의 가로와 세로의 비율, 크기, 밀도, 흰자위색과 피부색등을 이용하여 어떠한 그룹이 적목현상이 발생한 그룹인지를 판단하였다. 적목현상이 발생한 위치는 블러링 효과를 만들어 자연스럽게 보정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하드웨어로의 설계 할 경우 하드웨어 자원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알고리즘을 최소한의 메모리를 사용하여 개발하였다.

  • PDF

3DTV를 위한 다시점 동영상 부호화 기법 (Multi-view Video Codec for 3DTV)

  • 배진우;송혁;유지상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3A호
    • /
    • pp.337-344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3DTV를 위한 다시점 동영상 부호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에서는 다수의 카메라 입력에 대하여 기존의 MPEG 기반의 부호화 기법에서 사용된 시 공간적 중복성 제거 뿐 아니라 각 시점에 해당하는 영상간의 공간적 중복성을 제거하여 부호화 효율을 재선할 수 있다. 각 시점 영상간의 공간적 중복성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전역 시차 보상(global disparity compensation)된 집적영상(assembled image)을 사용하였다. 또한 기존의 디지털 TV 전송 표준인 MPEG-2를 기반으로 하였기 때문에 기존의 디지털 TV 표준을 크게 수정하지 않고 3DTV를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시점간의 동기화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제안하는 기법은 MPEG-2 기법으로 각 시점에 해당하는 영상을 독립적으로 부호화(simulcast 기법)한 결과와 비교하여 객관적 화질 면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평행식 카메라 구조로 획득된 영상과 유사한 디지털 홀로그램 부호화에도 적용하여 우수한 성능을 얻을 수 있었다.

물리적 특성을 고려한 빠른 번개 렌더링 (Physically Inspired Fast Lightning Rendering)

  • 윤정수;윤성의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53-61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번개의 물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기존의 랜덤 트리 기반의 번개 경로 생성 알고리즘보다 사실적이며, 물리 기반 시뮬레이션 알고리즘보다 빠른 번개 경로 생성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절연 파괴 현상을 물리적으로 접근한 Dielectric Breakdown Model을 사용하고, 전위장(Electric potential field)의 특징을 빠르게 근사하여 번개의 경로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또한, 장애물이 있는 복잡한 장면에서 번개가 장애물을 회피하는 가이드 경로 방법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번개 잔가지의 두께와 밝기의 물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빠르고 사실적인 번개를 렌더링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번개 경로는 약 1.56의 프랙탈 차원(Fractal dimension)을 가져 자연 현상의 번개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고, 기존의 물리 기반 알고리즘에 비해 월등히 빠르게 경로를 생성한다. 다만, 실시간 게임에 적용 가능한 성능을 위한 추가 적인 작업이 필요하고, 향후 GPU를 활용하여 번개 경로 생성 알고리즘을 개선하면 실시간 게임에 충분히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한다.

과표본화 이산 웨이브렛 변환의 잡음제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oise Removal Using Over-sampled Discrete Wavelet Transforms)

  • 지인호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69-75
    • /
    • 2019
  • 과표본화 이산 웨이브렛 변환의 가장 대표적으로 응용되는 분야는 디지털 영상에 존재하는 잡음을 제거하는 기술이다. 이중 밀도 이산 웨이브렛 변환을 이중 트리 이산 웨이브렛 변환과 비교하면, 거의 유사한 특징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잡음이 포함된 디지털 영상에 여러 이산 웨이브렛 변환들을 수행하고 생성된 부대역에 임계값 처리 기법을 적용하여 잡음을 제거한 다음 복원한 영상의 성능을 평가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적당한 임계값을 설정하여 효과적인 잡음제거가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방법의 실험 결과에서 제안하는 3방향 분리처리 2차원 이중 밀도 이산 웨이브렛 변환 방법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입력 도메인 확장을 이용한 반복 분할 기반의 적응적 랜덤 테스팅 기법 (Adaptive Random Testing through Iterative Partitioning with Enlarged Input Domain)

  • 신승훈;박승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5D권4호
    • /
    • pp.531-540
    • /
    • 2008
  • 적응적 랜덤 테스팅 (Adaptive Random Testing, ART)은 입력 도메인 내에 테스트 케이스를 넓고 고르게 분산시키는 방법을 통해 입력 도메인 내에 존재하는 오류 패턴을 순수 랜덤 테스팅 (Random Testing, RT)보다 효율적으로 찾아내기 위한 테스트 케이스 선택 기법이다. 테스트 케이스 선택에 많은 연산량을 필요로 하는 초기 ART 기법인 거리 기반 ART (Distance-based ART, D-ART)와 제한 영역 기반 ART (Restricted Random Testing, RRT)의 개선을 위해 입력 도메인을 반복 분할하는 기법들이 제안되었고, 이 기법들은 낮은 연산량 및 성능 향상등의 효과를 가져왔다. 하지만, 입력 도메인 반복 분할 기반 기법에서도 기존 ART 기법에서 나타나는 테스트 케이스 분포 불균일 문제가 존재하고, 이는 기법의 확장성에 장애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반복 분할 기반 기법에서 나타나는 테스트 케이스 분포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적정 수준으로 제어하기 위한 입력 도메인 확장 정책을 제안하였으며, 실험을 통해 2차원 입력 도메인에서 3%, 3차원 입력 도메인에서 10% 수준의 성능 향상을 확인하였다.

영상감시 시스템에서 평행식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한 다중 이동물체의 거리측정 (Distance Measurement of the Multi Moving Objects using Parallel Stereo Camera in the Video Monitoring System)

  • 김수인;이재수;손영우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37-145
    • /
    • 2004
  • 본 논문은 평행식 스테레오 영상감시 시스템을 이용하여 3차원 공간에서 다중 이동물체를 검출하고, 카메라에서 이동 물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스테레오 영상감시 시스템의 좌, 우측 영상을 입력을 받아 적응형 임계값과 화소귀납 알고리즘(PRA, pixel recursive algorithm)을 사용하여 다중 이동물체 영역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물체영역을 윈도우 마스크로 검출하고, 다중 이동물체 각각의 위치좌표와 스테레오 시차를 구하였다. 이 시차와 스테레오 비전 시스템의 특성 및 삼각 함수를 이용하여 다중 이동물체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거리측정 오차도 7.28%이내에 존재하였으며, 따라서 제안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시스템을 구현할 경우 스테레오 방범 시스템, 자율 이동로봇 및 스테레오 원격제어 시스템 등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온라인 후기에 내재된 고객의 감성분석과 LQI 차원별 호텔 서비스 품질 평가 (Hotel Service Quality Evaluation Based on LQI using Sentiment Analysis of Online Reviews)

  • 사공원;하성호;박경배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5권3호
    • /
    • pp.217-245
    • /
    • 2016
  • Purpose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foreign travelers visiting Korea, it is a heavy question to evaluate service quality of typical domestic hotel companies. Our research aims to evaluate service quality of domestic hotels in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foreign travelers in order to provide the quality improvements that call attention for the hotel management. Design/Methodology/Approach In this paper, topics of sentiment followed Lodging Quality Index(LQI) dimensions classifying lodging service quality appropriately. Also, we employed word2vec algorithm which calculates similarity and affinity among the vocabularies accurately. To calculate sentiment of each dimension, we adopted scores from SentiWordNet. Findings From the result, we found the number of foreign travelers particularly satisfied with cleanliness, politeness, and problem solving skills. In contrast, it has also been found out that both promptness of services and efficiency of communication do not fulfill the requirements of travelers.

차원 및 초동발췌방법에 따른 미소진동 음원위치결정 실험연구 (Experimental Study on Microseismic Source Location by Dimensional Conditions and Arrival Picking Methods)

  • 천대성;유정민;이장백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9권4호
    • /
    • pp.243-261
    • /
    • 2019
  • 미소진동기술을 활용한 계측 및 안전관리는 전통적인 방법에 비해 우수성이 인정되어 국내외 광산 등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지하광산의 비정형화와 채굴적과 암반 등이 혼재한 복잡한 구조는 미소 진동 전파속도 산정과 미소진동 신호의 초동발췌를 어렵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초동발췌방법과 차원에 따른 음원위치의 결정에 대해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초동발췌방법은 FTC(First Threshold Cross), Picking window, AIC(Akaike Information Criterion)을 사용하였으며, 2차원 센서 배열일 때 2차원과 3차원 음원발생 실험을 수행하였다. 각 실험에서 음원위치결정 알고리즘은 반복법과 유전자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반복법은 센서 배열과 음원발생이 동차원인 경우 효과적이나 음원발생이 상위차원인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반면, RCGA를 이용한 음원위치결정의 경우 상위차원 음원위치를 결정할 수 있었으나 계산속도가 다소 느렸다. 초동발췌방법의 정확도는 음원위치결정 방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나, Picking window가 전반적으로 높은 정확도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