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D visualization

검색결과 976건 처리시간 0.035초

몰입 환경을 위한 3차원 데이터 후처리 소프트웨어의 데이터 글로브에 의한 제어 구현 (CONTROL OF A 3-DIMENSIONAL POSTPROCESSING SOFTWARE USING DATA GLOVES FOR IMMERSIVE ENVIRONMENT)

  • 김기영;김병수
    • 한국전산유체공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56-61
    • /
    • 2006
  • As the size and dimension of target problems in the field of computational engineering including CFD gets bigger and higher, it is needed to have more efficient and flexible data visualization environment in terms of software and hardware. Even though it is still manageable to use a mouse in controlling 3-dimensional data visualization, it would be beneficial to use 3-D input device for 3-D visualization. 'Data Glove' is one of the best 3-D input devices, because human hands are best tools for understanding 3-D space and manipulating 3-D objects. Signals coming from 'Data Glove' are analog and very sensitive to finger motions, therefore signal filtering using a digital filter is applied. This paper describes our experience and benefits of using data gloves in controlling 3-dimensional postprocessing softwares.

AUTOMATED CONSTRUCTION PLANNING AND VISUALIZATION

  • M. Kataoka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61-68
    • /
    • 2007
  • There has been a lot of research on and release of commercial systems that enable evaluation and visualization of construction methods. These have enabled the selection of good construction plans. However, the process in which engineers build 3D geometry, formulate a schedule and eventually synchronize them is still a time-consuming process. Changing any aspect of the geometry or the schedule and re-linking them is also time-consuming. Therefore, the engineers may compromise on getting the best solution. This paper describes a technique to automate the generation of multiple sets of schedules, quantity takeoffs and 4D visualization from a single 3D model.

  • PDF

Multi-gigabyte Multimedia Collections Using Qis Visualization Spreadsheet

  • 지승현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4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07-214
    • /
    • 2004
  • Qis 이미지 스프래드쉬트(Qis Image Spreadsheet) 환경은 멀티기가 바이트-다차원 멀티 미디어 데이터집합(multi-dimensional multimedia datasets)들의 비쥬얼라이제이션(visualization)을 수행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Qis는 프레임스택(framestack)을 이용하여 많은 양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들을 집약적으로 압축하고 3차원 구조로 빠르게 구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과학분야의 다양한 실험을 통해서도, Qis가 각 프레임 (frame)의 빠른 랜더링(rendering), 2-D 및 3-D그래픽 디스플레이, 다차원 데이터집합의 분석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우수한 상호작용 비쥬얼 툴(interactive visual browsing tool)임을 입증하였다.

  • PDF

LIC 기반의 유동 가시화 기법에 대한 조사 연구 (Survey on the LIC based flow visualization)

  • 이중연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7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530-534
    • /
    • 2007
  • 유동 가시화란 가시화 기술의 한 영역으로, 벡터 데이터를 2차원 또는 3차원의 형태로 시각적으로 표출하는 것을 말한다. 즉, 일반적으로 벡터 데이터는 (x, y, z)의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는 수열의 집합인데, 이를 사람이 그 특징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그림 또는 애니메이션으로 표시하는 것을 말한다. 유동 가시화는 가시화 기법, 대상 데이터의 차원, 대상 유동의 종류 등 여러 가지 기준으로 분류가 가능하다. 가시화 기법은 크게 직접 기법, 인티그레이션(integration) 기법, 파생 데이터 기반 기법 등으로 나눌 수 있고, 데이터의 차원은 2차원, 2.5차원, 3차원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유동의 종류는 일정한(steady) 유동과 불규칙한(unsteady) 유동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유동 가시화는 그 종류가 매우 많고 다양한데,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인티그레이션 기법인 LIC 기법에 초점을 맞추고 각 기법들을 데이터의 차원으로 분류하고 각 기법의 장단점을 논하고자 한다.

  • PDF

3차원 GIS 기반 실시간 비디오 시각화 기술 (Realtime Video Visualization based on 3D GIS)

  • 윤창락;김학철;김경옥;황치정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63-70
    • /
    • 2009
  • 3차원 지리정보시스템(GIS: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은 실세계의 다양한 3차원 현상을 처리, 분석, 표현하는 기술을 적용한 지리정보시스템으로써, 지형, 시설물 등을 3차원 지리정보 데이터로 구축하고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등의 시각화 기술과 연동하여 도시, 교통, 환경, 재해, 해양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본 논문에서는 3차원 지리정보시스템의 실시간 정보 제공을 극대화하기 위한 3차원 지리정보 기반 비디오 시각화 기술 및 이를 위한 3차원 건물정보 데이터 구축 기술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3차원 지리정보 기반 비디오 시각화 기술은 네트워크 비디오 카메라의 실시간 비디오 스트림을 3차원 지리정보에 투영(Projection)하여 지형, 시설물 등에 텍스처 매핑하는 기술로써 3차원 지리정보에 기반한 실시간 비디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3차원 투영 텍스처 매핑(3D Projective Texture Mapping)을 위해 항공영상과 LiDAR 데이터를 융합하여 반자동으로 수치건물모형(DBM: Digital Building Model)을 추출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기술은 기존의 3차원 지리정보시스템이 제공하는 정적인 시각정보를 실시간 비디오 정보로 대체함으로써 위치에 기반한 현재의 시각적 정보를 의사결정에 즉시 반영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지리정보 기반 지능형 상황인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다.

  • PDF

통합항법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한 3차원 해저지형의 시각화 (Three dimensional visualization of seafloor topography for the application of integrated navigation system)

  • 배문기;신형일;이대재;강일권;이유원;김광식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2권2호
    • /
    • pp.104-110
    • /
    • 2006
  • The 3D visualization of seafloor topography(ST) was realized to discuss the effective use by the 3D visualization of ST on the integrated navigation system(INS) for fishing boat. The software was to actually display the 3D visualization of ST using triangular irregular network, helical hyperspatial codes and stereo projection. The INS for fishing boat which applied the 3D visualization of ST will be utilized for safety voyage and the effective fishing work on the fishing ground.

3D 가시화를 이용한 지반침하지역의 시추자료와 토모그래피 자료의 비교 (Comparison of the borehole and tomography data in subsidence area using 3D visualization)

  • 안조범;윤왕중;김진회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31-236
    • /
    • 2002
  • The understanding of underground geologic structures is of great importance for the surface and subsurface constructions, prevention of natural hazards such as land-slides and subsidence, and many other areas. To get the information on the geologic conditions, many of investigations such as geologic survey, geophysical explorations, testings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rocks, drilling tests and logging, and groundwater surveys are usually conducted, and tremendous data are collected accordingly. In general, however, these huge amount of data are interpreted in the individual areas only. If these data are analyzed collectively, much more information on the geologic conditions can be obtained. In this study, 3D visualization of borehole logging data is attempted. Borehole logging data are obtained at the urban subsidence area. To compare the 3D logging data with other geologic and geophysical data such as resistivity tomography data, interface module was developed. The 3D visualization of logging data and the comparison with other data can be helpful for the understanding of underground geologic structures.

  • PDF

실시간 시뮬레이터와 연계된 3차원 가시화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3D Visualization Program Connected with Real-time Simulator)

  • 이지우;이명수;서인용;홍진혁;이승호;서정관
    • 한국시뮬레이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9-92
    • /
    • 2005
  • Each 3D visualization program has its own different structure as for the purpose. This paper describes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an on-line 3D core data visualization program, $RocDis^{TM}$, for the nuclear simulator.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inside of the core status including neutron flux, relative power, moderator and fuel temperature in 3D distribution. Some of other essential information, axial flux distribution etc. could also display in 2D graphs. This program would be design, tuning and training for the simulator core model.

  • PDF

3D City모델과 CFD 모델을 통합한 대기환경 시각화 연구 (A Study on Atmospheric Environment Visualization by Integrating 3D City Model and CFD Model)

  • 안승만;이호영;성효현;최영진;우정헌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3-21
    • /
    • 2011
  • 3D City 모델로부터 CFD 모델 입력자료를 생성하여 모델링 품질을 향상시키고 CFD 모델링 결과를 3D 모델과 통합하여 사실적이고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시각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국토지리정보원에서 구축한 3D City 모델을 이용해 세밀도와 정확도가 향상된 CFD 모델 입력자료를 생산하여 적용함으로써 상세한 도시공간구조를 반영하는 향상된 CFD 모델을 생산하였다. CFD_NIMR_SNU 모델로부터 바람의 흐름과 오염물질 확산을 시뮬레이션 하였으며 3D City Model과 CFD 모델을 통합하여 동적으로 시각화 하였다. 본 대기환경 시각화 도구는 도시기후 계획 및 관리에 있어 의사결정을 위한 시각적 소통능력을 향상시켜 비용과 시간을 최소화할 것이다.

기상자료 3차원 가시화 기술개발 연구 (Development of 3D Visualization Technology for Meteorological Data)

  • 서인범;조민수;윤자영
    • 한국가시화정보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58-70
    • /
    • 2003
  • Meteorological data contains observation and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model output data. The computerized analysis and visualization of meteorological data often requires very high computing capability due to the large size and complex structure of the data. Because the meteorological data is frequently formed in multi-variables, 3-dimensional and time-series form, it is very important to visualize and analyze the data in 3D spatial domain in order to get more understanding about the meteorological phenomena. In this research, we developed interactive 3-dimensional visualization techniques for visualizing meteorological data on a PC environment such as volume rendering, iso-surface rendering or stream line. The visualization techniques developed in this research are expected to be effectively used as basic technologies not only for deeper understanding and more exact prediction about meteorological environments but also for scientific and spatial data visualization research in any field from which three dimensional data comes out such as oceanography, earth science, and aeronautical engineer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