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 요인 모형

검색결과 2,010건 처리시간 0.027초

허들음이항모형을 이용한 기업의 혁신선택과 특허성과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The Selection and Decision in R&D and Patents: A Hurdle Negative Binomial Approach)

  • 박재민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449-466
    • /
    • 2014
  • 그동안 기업의 R&D 투자와 기술혁신 성과의 관계에 관해 여러 연구가 있었다. 하지만 지식생산과정에 수반되는 기업의 의사결정 과정은 효과적으로 분석에 반영되지 못하였다. 특히 기업의 특허성과를 분석함에 있어 포와송모형의 한계에 대응해 최근 연구는 음이항모형을 적용해 극복하고자 했지만 기업의 선택과정을 분석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은 특허권 정보에 내재된 기업체의 의사결정 과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반영하는 실증모형을 제시하고, 사업체조사 결과를 적용해 분석하였다. 특히 기업의 대표적 R&D 성과인 특허에 주목하여 특허 출원건수의 결정과정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과산포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고, 허들모형과 일반적인 음이항모형의 결과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Wald-검정을 통해 허들의 설정이 타당하였고, 기업의 특허성과 분석에 있어서 기업의 선택과정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보였다.

벼 담수관개조직에 대한 포장 관개효율의 평가 (Evaluating Field Application Efficiency for Flooded Rice Irrigation Systems)

  • 권순국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71-84
    • /
    • 1988
  • 벼 담수 관개 조직에 대한 효율 계산에 있어서 입력은 관개수량과 총 강우량이고 출력은 증발수 및 급유유실의 합이 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입력을 관개수량으로 출력은 증발수 및 급유유실로 부터 유교 우량을 뺀 값으로 정의하고 있다. 비록 후자의 방법이 전자보다는 실제 논 조건에 부합된 계산방법이기는 하지만 아직도 허용침수심 유지에 필요한 관개수량, 각종 생육기에서의 침수심의 변화, 분배방법에 따른 침수심의 차이 등이 고려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벼 관개효율 계산의 단순화가 포장관개효율의 정도와 적정도의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사하고 그러한 효과의 크기와 성질을 다음과 같이 2단계로 조사하였다. 첫째, 논에서의 일별물수지조건을 기본으로 하여 관개효율 계산모형이 개발되었으며 이전 효율계산에서 생략된 모든 요인이 고려되었다. 둘째, 개발된 모형을 이용하여 포장관개효율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재래방법으로 계산된 값들과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아직까지 불충분한 것으로 간주되어 왔던 논 관개조직의 포장관개효율에 대한 몇 가지 흥미 있는 의제를 밝힌 것으로 기본 자료는 1985년 반월관개지구에서 수집된 것을 이용하였다. 1. 계산모형은 포괄적인 것으로 어떤 지방의 수집자료라도 적용할 수 있다. 모형의 계산결과를 볼 때 관개효율과 소비수량 사이에 접근된 경향을 보여줌으로써 모형개발에 잘 충족시켜주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2. 모형에서의 계산시간간극은 제한적이지는 않지만 중요하며, 비교분석이 관련된 경우에는 주의하여 문제를 선택해야 한다. 계산결과를 보면 짧은 시간간격이 관개효율이 아주 크거나 작은 기간을 더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논의 포장관개효율을 계산함에 있어서 각 관개기의 초기 침수량과 허용 침수심을 무시한 효율계산은 큰 오차를 나타냈다. 반월관개지구에서 주간 포장관개효율은 -58%~16%로 오차범위가 관측되었다. 4. 논의 침수량 및 허용 침수량을 고려한 것과 고려하지 않은 것 사이의 상이성이나 유의적인 관계는 없었다. 그러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전자의 방법이 효율 측정에 있어서 더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5. 개발된 모형은 논 관개의 물리적 측면과 관리목표 모두를 고려한 것으로 계산된 효율은 벼, 생육 각 단계에서의 효율 비교에 양호한 방법임을 알 수 있다.

  • PDF

기상자료를 이용한 마늘 생산량 추정 (Garlic yields estimation using climate data)

  • 최성천;백장선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4호
    • /
    • pp.969-977
    • /
    • 2016
  • 야외에서 재배되는 주요 채소류의 생산에 대한 기상변화의 영향력이 점차 커지고 있다. 기상변화로 인한 농작물 생산량의 변화는 공급과 수요의 불안정과 물가안정의 불안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패널회귀모형을 이용하여 기상상태에 따른 마늘의 생산량을 추정하였다. 2006년부터 2015년까지의 마늘 주산지 15곳의 10a당 마늘 생산량과 해당 지역의 기상자료를 사용하였다. 7가지 기상요인 (평균기온, 평균최저기온, 평균최고기온, 누적강수량, 누적일조시간, 평균상대습도, 평균지면온도)의 월별 (1월-12월)자료인 총 84개 기상변수중 다중회귀분석 단계선택방법을 통하여 7가지 기상변수를 선택하여 패널회귀모형에 사용하였다. 고정효과 모형과 확률효과 모형을 구분하는 하우스만 검정을 통하여 확률효과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평균최고기온 (1월), 누적강수량 (3월, 10월), 누적일조시간 (4월, 10월)등이 마늘 생산량 추정에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연도별로 추정된 생산량 추정값의 추이가 실제 생산량과 동일한 추세를 보이고 있어 제안된 패널 회귀 모형이 잘 적합됨을 확인할 수 있다.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박테리아 거동 모의: SWAT 모델의 한계점과 개선점을 중심으로 (Modeling the impact of land use change on Fecal Indicator Bacteria basin-scale transfers: assets and limitations from the SWAT model)

  • 김민정;조경화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8년도 학술발표회
    • /
    • pp.49-49
    • /
    • 2018
  • 라오스의 Houay Pano 유역은 상업적 조림으로 인해 2011년부터 2013년까지 급속한 토지이용 변화를 겪어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토지이용변화가 박테리아 거동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이해하기 위해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모형을 활용한 박테리아 거동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SWAT 모형은 수치 표고 모델, 토양 특성, 토지 이용 등의 정보를 종합하여, 유역 내수량 및 수질의 변화를 모의할 수 있는 모형으로, 본 연구는 대표적인 분원성 지표 세균 (Fecal Indicator Bacteria)인 대장균 (Escheichia coli, E. coli)을 대상으로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SWAT 모형은 지표면 위 박테리아를 1)식물 위, 2)토양 용액상, 3)토양 입자상으로 구분하여 모의한다. 각 상태로 분할된 박테리아는 소멸 (die-off), 씻김 (wash-off), 침투, 표면 유출을 통한 수계로의 이동 등의 단계를 통하여 유역 내에서 거동한다. 본 연구는 서로 다른 기후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각 토지이용 시나리오를 (2011, 2012, 2013) 실제 기후 조건과 동일 기후(2011-2013 평균) 조건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실제 기후 조건에서 SWAT 모형은 표면 유출, 토사 유출, E. coli 거동에 대해 2011년부터 2012년까지 감소, 2012년부터 2013년까지 증가로 모두 동일한 양상을 모의하였다. 이는 강수량의 양상과 동일한 것으로, 강수량이 표면 유출의 양을 결정하고, 달라진 표면 유출에 따라 토사 유출과 E. coli 거동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동일 기후 조건에서는, E. coli 거동 동인인 표면 유출과 토사 유출이 비교적 일정해짐에 따라, 각 상태로 분할된 박테리아의 초기 부하량값이 E. coli 거동을 결정하는 주된 요인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초기 부하량 분할에 활용되는 엽면적 지수 (Leaf Area Index)와 분배계수 (BACTKDDB)의 정확도가 요구된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는 박테리아의 유입원인 비료 모델링과, LAI를 활용한 박테리아 초기 부하량 산정, 토양 특성 변수와 토지 이용 변수의 분리, 지하수를 통한 박테리아 거동 등을 중심으로 SWAT 모형의 한계점과 개선점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는 토지이용변화가 박테리아 거동에 주는 영향을 모형적으로 이해하고, 또한 추후 박테리아 모델링 개발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취학전아동 대상 영양지수 개발 : 평가항목 선정과 구성 타당도 검증 (Development of nutrition quotient for Korean preschoolers (NQ-P): Item selection and validation of factor structure)

  • 이정숙;강명희;곽동경;정해랑;권세혁;김혜영;황지윤;최영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9권5호
    • /
    • pp.378-394
    • /
    • 2016
  • 본 연구는 3~5세 취학전아동 대상 영양지수 (Nutrition Quotient for Preschoolers, NQ-P) 개발을 목표로 수행되었다. 어린이의 식행동 및 영양섭취 관련 문헌,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분석 및 전문가 대상 심층면접을 통해 38개 후보평가항목을 선정한 후, 후보 평가항목 중 식품 및 영양소 섭취량을 잘 반영해 주는 평가항목을 선정하기 위해 어린이집 3~5세반 100명의 부모/보호자를 대상으로 식사섭취조사와 체크리스트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평가항목과 식품 및 영양소 섭취량, 식사다양성, 체질량지수와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로부터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낸 평가항목과 영유아 식생활지침과 어린이 급식관리지침서 영양관리기준에 근거하여 20개 평가항목으로 구성된 체크리스트를 도출하였다. 영양지수 모형을 설정하기 위해 전국 어린이집 목록을 활용하여 조사 대상 어린이집을 기본 층화변수로 5개 권역을 설정하여 어린이집 수를 할당하고 어린이집 당 약 10명을 표본으로 하여 총 412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수행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정적 요인분석에 의해 영양지수구조 모형에 포함된 평가항목은 14개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14개의 평가항목으로 구성된 영양지수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고 가중치를 계산하였다. 전문가 자문에 의한 요인 검토와 조정을 거친 결과 영양지수는 3-factor structure로서 균형, 절제, 환경의 3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균형' 영역에는 콩제품, 생선, 고기, 채소, 흰 우유 섭취의 5개 평가항목, '절제' 영역에는 가공육류, 가공음료, 과자류, 패스트푸드 섭취의 4개 평가항목, 그리고 '환경' 영역에는 아침식사 빈도, 정해진 장소에서 식사, 식사 전 손씻기, 바른 식생활을 위한 노력 정도, TV시청 스마트폰 컴퓨터 사용시간 (screen time)의 5개 평가항목이 포함되었다. 영역별 가중치는 균형 0.45, 절제 0.30, 환경 0.25로 설정하였으며, 영역 내 항목 가중치는 표준화 경로계수를 활용하여 계산하였다. 전국 3~5세 취학전아동 (n = 412명)의 NQ-P 점수는 평균 60.64점 (중앙값: 60.84점, 최소값: 34.99점, 최대값: 88.72점)이었고, 영역별 평균 점수를 보면 균형 60.49점, 절제 51.49점, 환경 71.66점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NQ-P는 14개 문항의 체크리스트 설문 조사를 통하여 영양지수 점수는 물론, 균형, 절제, 환경의 3개 영역 (요인)의 점수를 산출할 수 있으며, 산출된 영양지수 점수와 영역 점수를 이용하여 어린이의 상대적인 NQ-P 등급을 부여하고, 영양상태 및 식사의 질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노인의 삶의 질과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quality of life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 최현석;하정철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3권3호
    • /
    • pp.559-568
    • /
    • 2012
  • 본 연구는 보건복지가족부의 '2008년 노인실태조사'에서 얻어진 노인 자신의 삶의 질에 대한 질문을 이용하여 노인의 삶의 질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 자료를 통해 확인하였다. 삶의 질에 대한 질문은 자아개발, 새로운 경험추구, 유행과 소비추구, 미래계획으로 이루어진 노후활동희망 요인과 동년배 비교행복감, 생활전반 만족도, 미래희망, 현재의 행복감으로 이루어진 자아통합감 요인, 가족의 노인의견존중, 연장자의 지혜, 가족관계 추구의 세대간조화의 3개의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노후활동희망이 높을수록, 자아통합감이 높을수록, 세대간조화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는 높다고 할 수 있는데 자아통합감, 세대간조화, 노후활동희망의 순서로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노인복지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에 도움이 되는 기본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공급사슬망 내부에서 RFID 채택과 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환경 불확실성의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 (The Effect of Factors Influencing RFID Adoption and Performan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Environment Uncertainty within Supply Chain)

  • 김상현;송영미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101-119
    • /
    • 2011
  • 공급사슬망 관리를 위한 RFID 기술의 도입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공급사슬 내에서 RFID 기술 도입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기업의 경쟁력 재고와 효율적인 공급사슬망 관리를 위해 RFID를 도입하는 기업의 성공적인 구현과 성과 도출을 위한 영향 요인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공급사슬망 내 RFID도입 영향 요인으로 공급사슬망 내의 기업들의 관계특성에 집중한 실증적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RFID 도입과 관련된 이론연구들을 바탕으로 기업간 관계요인을 도출한 연구모형을 제시하여 이를 실증적으로 증명할 것이다. 따라서 성공적인 RFID 도입을 위한 공급사슬망 내 기업간의 관계적 요소에는 전략적합도, 상호의존도, 상호호환성, 장기지향성의 4가지 요소를 제안하였고 이러한 요소들이 기업의 RFID 수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공급사슬망 기업 내 관계 요인들과 RFID의 수용 간의 관계에서 환경 불확실성이 조절 요인으로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블록체인 기반 금융 플랫폼의 성별 수용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탐색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Factors Determining Acceptance of Blockchain-Based Financial Platform by Gender)

  • 김시욱;박현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139-147
    • /
    • 2020
  • 정보통신기술의 융합에 따른 4차 혁명의 파고가 거세지고 있는 가운데 블록체인 기반 플랫폼의 활용범위가 크게 확장되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블록체인 기반 금융 플랫폼에 초점을 맞춰 플랫폼 이용자의 수용의도를 결정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이 연구는 블록체인 기반 플랫폼에 대한 이용자 수용의도에 관한 결정요인 탐색에서 금융 플랫폼을 대상으로 했다는 점 그리고 플랫폼 이용자 수용의도가 남녀 간 성별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연구의 초점을 맞춰 살펴봤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는 블록체인과 관련해 이용자의 수용의도를 탐색하는 것은 금융업계뿐 아니라 블록체인 기술 개발자에게 매우 중요한 사안이기 때문이다. 연구방법은 474명(남성 262명, 여성 212명)이 참여한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블록체인 기반 플랫폼의 이용자 수용의도 구조를 탐구하였다. 연구결과, 블록체인 기반 금융 플랫폼 이용자의 수용의도 결정요인으로서 혁신성, 편의성, 보안성, 선호성이 작동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중 혁신성과 편의성 요인에서 남녀 성별 차이에 따른 수용의도 결정요인이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고령층 디지털 정보 역량과 디지털 정보 활용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Determinants of Digital Capacity and Digital Utilization among Older People)

  • 김유나;변은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89-97
    • /
    • 2021
  • 본 연구는 고령층의 디지털 정보역량과 정보활용의 상호 관련성에 주목하면서 하나의 모형 속에서 이들의 영향요인을 동시적으로 분석하며 관계의 양상들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는데 초점을 둔다. 분석자료는 「2019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를 사용하였고, 분석대상은 만55에 이상 고령층 1,703명 이었다. 분석방법은 SUR(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인지된 유용성, 자기효능감, 자신감과 같은 심리적 변수가 정보역량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효능감과 자신감과 같은 심리적 요인과 함께 디지털 조력과 같은 사회적 요인이 정보활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정보역량과 정보활용 간 영향요인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고령층의 정보역량과 정보활용 영향요인을 보다 세밀하게 분석함으로써 고령층 정보격차 해소 관련 이해의 확장에 기여하고, 이를 토대로 고령층 정보격차 해소 전략 방향을 제시하였다.

대학 CTL 교수지원프로그램 맞춤형 교수역량진단도구 개발 (Development of Teaching Competency Scales: Focused on CTL Teaching Program)

  • 강대식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49-59
    • /
    • 2022
  • 본 연구는 A대학 교수학습센터(Center for Teaching & Learning)의 교수지원 프로그램 특성에 부합하는 교수역량 진단도구를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3개 역량군(기본역량, 실천역량, 혁신역량)과 13개 교수역량, 26개 하위역량 요인으로 구성된 잠정적 교수역량 진단도구를 설정하였다. 잠정적 교수역량 진단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위해 2020년 11월에 A대학교 교수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 데이터를 정리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기본역량, 실천역량, 혁신역량 3개 역량군에 포함되는 26개 하위역량이 17개로 축소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CTL 맞춤형 교수역량(하위역량) 17개 영역, 79개 문항을 최종 확정하였다. 또한 확정된 교수역량 요인의 개념신뢰도와 분산추출지수, 판별타당도를 분석한 결과 양호한 수준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교수역량 진단도구는 CTL 교수지원 프로그램의 효과성 평가와 신규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