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3차원 효과

Search Result 2,626,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utomatic Anticipation Generation for 3D Facial Animation (3차원 얼굴 표정 애니메이션을 위한 기대효과의 자동 생성)

  • Choi Jung-Ju;Kim Dong-Sun;Lee In-Kwon
    • Journal of KIISE:Computer Systems and Theory
    • /
    • v.32 no.1
    • /
    • pp.39-48
    • /
    • 2005
  • According to traditional 2D animation techniques, anticipation makes an animation much convincing and expressive. We present an automatic method for inserting anticipation effects to an existing facial animation. Our approach assumes that an anticipatory facial expression can be found within an existing facial animation if it is long enough. Vertices of the face model are classified into a set of components using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directly from a given hey-framed and/or motion -captured facial animation data. The vortices in a single component will have similar directions of motion in the animation. For each component, the animation is examined to find an anticipation effect for the given facial expression. One of those anticipation effects is selected as the best anticipation effect, which preserves the topology of the face model. The best anticipation effect is automatically blended with the original facial animation while preserving the continuity and the entire duration of the animation. We show experimental results for given motion-captured and key-framed facial animations. This paper deals with a part of broad subject an application of the principles of traditional 2D animation techniques to 3D animation. We show how to incorporate anticipation into 3D facial animation. Animators can produce 3D facial animation with anticipation simply by selecting the facial expression in the animation.

3D Object tracking with reduced jittering (떨림 현상이 완화된 3차원 객체 추적)

  • Kang, Minseok;Park, Jungsik;Park, J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5.11a
    • /
    • pp.185-188
    • /
    • 2015
  • 미리 저장된 객체의 3차원 특징점(Feature point) 좌표와 카메라 영상의 2차원 특징점 좌표를 매칭(Matching)하여 객체를 추적하는 방식의 경우, 카메라의 시점이 변할 때 특징점에서 발생되는 원근 효과(Perspective effect)가 반영되지 못하여 특징점 매칭 오류가 발생한다. 따라서 특징점에서 발생하는 원근 효과를 반영하여 정확한 카메라 포즈를 추정하기 위해 이전 프레임(Frame)의 카메라 포즈(Camera Pose)에 맞추어 텍스쳐가 포함 된 3차원 객체의 모델을 렌더링 하여 원근 효과를 적용한 후, 현재 카메라 영상과 특징점 매칭하여 프레임 사이의 카메라 움직임을 구하여 객체를 추적한다. 더 나아가 본 논문에서는 특징점 매칭에서 발생하는 작은 오류들로 인한 미세한 카메라 움직임은 2단계의 임계치(Threshold)를 적용하여 떨림 현상으로 간주하여 떨림 현상이 제거된 객체 추적을 수행한다. 매 프레임마다 카메라 포즈에 맞춘 추적 객체를 렌더링 하기 때문에 떨림 현상으로 간주되어 제거된 카메라 움직임은 누적되지 않고, 추적 오류도 발생시키지 않는다.

  • PDF

An Effective Interference Identification Algorithm between Weapon Trajectories for Maximizing the Engagement Effects (교전 효과 최대화를 위한 효율적인 무장 궤적 간 간섭 식별 알고리즘)

  • Yoon, Moonhyung;Park, Junho;Kim, Kapsoo;Yi, Je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69-270
    • /
    • 2019
  • 무장 비행 궤적 간 간섭을 식별하여 아군 무장간 충돌을 방지함으로써 단위 시간 당 교전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은 다무장 대지 무기체계 운용에 있어서 필수적이다. 기존 연구에서는 연산 부하의 최소화를 목표로 3차원 무장 비행 궤적을 2차원 평면의 사격선으로 변환하여 간섭을 식별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기존 연구는 2차원 평면에서 사격선간 교차점이 발생할 경우 간섭으로 식별하고, 이에 대한 무장 할당을 해제함으로써 무장 활용도를 감소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고려하여 본 논문에서는 교전 효과 최대화를 위한 효율적인 무장 궤적 간 간섭 식별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2차원 평면에서 사격선간 교차점이 발생할 경우, 해당 사격선을 3차원 평면에서 비행 궤적 간 비교 연산을 수행하여 실제 간섭 여부를 식별함으로써 무장 활용도를 최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성능 평가 결과, 제안하는 기법은 기존 기법에 비해 궤적 교차수는 최대 52.1% 감소하였으며, 그에 따른 표적 할당율은 최대 6.9% 향상됨을 보임으로써 그 우수성을 확인하였다.

  • PDF

3차원 가상 물리 실험 시스템 개발

  • 임정환;김태현;김현수;이재기;최형림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1997.10a
    • /
    • pp.75-82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가상 현실 (VR) 기술을 적용하여 3차원의 가상 공간에서 일체의 실 험 도구 없이 중학교 전과정의 물리 실험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에 대해 기술한다. 이 시스템의 목표는 가정과 학교에서 피교육자가 3차원 그래픽과 실시간 동작 및 상호 작용을 통해 실제와 유사한 실험을 함으로써 그 교육 및 학습 효과를 증대시키는데 있다. 이 시스 템에서 다루는 내용은 중학교 물상 교과목 전반에 걸쳐 엄선한 실험들로 단순히 보여주거나 들려주는 단방향적인 교육이 아닌 피교육자가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실험이 되도록 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피교육자의 학습 동기를 유발하고 학습 효과를 최대화 할 수 있다.

  • PDF

The Development of u-GIS Spati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u-GIS 공간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 개발)

  • Min, Kyoung-Wook;Kim, Ju-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9.04a
    • /
    • pp.215-217
    • /
    • 2009
  • u-GIS는 기존 정적인 공간데이터와 동적인 GeoSensor 데이터를 융합하여 처리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기존 정적인 공간 데이터는 주로 2차원 공간 데이터였으며 최근 유비쿼터스 환경에서는 이를 확장한 3차원 공간 데이터 및 다차원 시공간 데이터의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최근 국가 차원에서 3차원 공간 데이터를 구축하고 있으며 DBMS가 아닌 파일 단위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고 있다. 이 경우, 데이터의 중복 저장, 표준 인터페이스의 부재, 서버 중심의 데이터 제공의 어려움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차원 공간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저장 관리하기 위하여 3차원 공간 DBMS를 연구 개발하였다.

  • PDF

Effects of Mobile Task Information Presentation using 3D Multimedia on Tooth Carving Knowledge, Performance and Class Satisfaction for Dentistry (3차원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모바일 과제정보 제시가 치아카빙에 관한 지식, 수행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Park, Jong-Tae;Kim, Ji-Hy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5
    • /
    • pp.376-385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bile task information presentation using 3D multimedia on tooth carving knowledge, performance and class satisfaction for dentistry. To accomplish this purpose, we divided 66 dental students into the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esented with mobile task information using 3D modeling. and the control group was presented task information using textbook. As a result for the study, First, Mobile task information presentation using 3D multimedia in class has significant effect on the tooth carving performance and class satisfaction. Second, tooth morphology knowledge in control group presenting task information using the text book showed relatively higher than in experimental group which presenting mobile task information using the 3D modeling.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class presenting mobile task information using 3D modeling can be enhances class satisfaction and,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to improve tooth carving performance.

Photograph-based 3D Car Navigation System (실사 영상을 이용한 차량용 3차원 내비게이션 시스템)

  • Roh, Chang-Hyun;Jung, Kwang-Ho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3 no.1
    • /
    • pp.94-101
    • /
    • 2003
  • 본 연구의 목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을 이용한 3차원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개발하여 원하는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실시간으로 도로 전경과 동일한 3차원 영상으로 살펴봄으로써 운전자를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실제 도로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촬영한 파노라마 실사 영상에 TIP 기법을 적용하여 가상환경을 구축하고 이들 사이의 부드러운 전이를 통해 사진과 같은 품질의 3차원 영상을 보여준다. 개발된 시스템은 2차원 네비게이션 모듈을 가지며 최적 경로 탐색 및 도로 상황 예측 기능을 제공한다.

  • PDF

A Study on Automated 3-D Reconstruction Based on 2-D CT Image of Lumber Spine (요추의 2차원 CT 영상을 이용한 3차원 형상모델링의 자동화 연구)

  • 김성민;김성재;서성영;탁계례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20 no.5
    • /
    • pp.581-586
    • /
    • 1999
  • 척추의 생체역학적 해석을 위한 유한요소기법을 이용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은 척추의 손상에 대한 발생원인과 기전을 이해하고 치료의 효과를 예측하는 유용한 수단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요추의 2차원 CT 영상을 이용하여 유한요소해석을 위한 척추의 3차원 모델링에 소비되는 많은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3차원 형상모델을 CT 형상 데이터와 형상변수를 이용, 각각 구현하는 과정을 자동화하여 이를 비교하였다.

  • PDF

Effects of Web-based Virtual Reality Program and Learner's Spatial Perception on Learning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가상현실을 이용한 웹기반 수업과 학습자의 공간지각력이 학습에 미치는 영향)

  • Leem, Jung-Hoon;Lee, Sam-Sung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6 no.2
    • /
    • pp.95-105
    • /
    • 2003
  •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learning effects of Web-based 3-dimensional VR(Virtual Reality) program and a 2-dimensional HTML program, and to find ou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types of web-based instruction program(3-dimensional VR program and 2-dimensional HTML program) and the levels of spatial perception of the learners on learning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in an educational aspect. In conclus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achievement and general satisfaction of the learners between the group providing 3-dimensional VR program and the group 2-dimensional HTML program(F=4.85, p<.05). The 3-dimensional VR program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And,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in learning achievement effects between the types of web-based instruction program and the level of spatial perception of the learners(F=32.48, p<.05).

  • PDF

3D Resistivity Survey for Dam Safety Inspection (저수지 안전진단을 위한 3차원 전기비저항 탐사)

  • Cho, In-Ky;Yong, Hwan-Ho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22 no.3
    • /
    • pp.99-106
    • /
    • 2019
  • Resistivity method has been used for the dam safety inspection and, for the convenience of fieldwork, two-dimensional (2D) resistivity data has been usually measured along the dam crest. However, since the dam has three-dimensional (3D) structure, 2D resistivity survey along the dam crest violates 2D assumption and 3D effects caused by 3D topography and material properties in the dam distort the inversion result of 2D resistivity data acquired along the dam crest. Furthermore, it is really hard to evaluate the 3D structure of the dam and 3D leakage pathway using 2D resistivity survey because 2D resistivity survey can provide only 2D resistivity section beneath the survey line. In this study, 3D resistivity survey was conducted at a dam in Korea. By comparing the results from 3D and 2D resistivity surveys, merit and demerits of 3D survey were investigated.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3D survey can provide more accurate information about the dam status and 3D leakage pathway compared to the 2D survey. Therefore the 3D resistivity survey should be actively expanded for more accurate dam safety inspection even though more time and expense are requ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