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P-MAC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27초

선박 및 실내 N-스크린 서비스를 위한 동적 Threshold 기반 멀티캐스트 기술 (Dynamic Threshold-Based Multicast Scheme for N-Screen Services in Indoor and Ship Area Networks)

  • 허경;이성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0권7호
    • /
    • pp.1369-1376
    • /
    • 2015
  • 센서장비에 장착되는 무선통신 모듈은 선내 통합유무선 네트워크와의 원활한 연결을 위하여 무선 게이트웨이 기능을 수행하는 Bridge(브릿지)를 통한 데이터 전송방식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선박 및 실내 끊김없는 N-스크린 서비스를 위한 무선 통신 MAC 구조로서, WiMedia Distributed-MAC(D-MAC) 프로토콜을 적용하고, 끊김없는 D-MAC 프로토콜에서 P2P(Point to point) 스트리밍이 가능한 OSMU(One Source Multi Use) N-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동적 Threshold 기반 멀티캐스트 기술을 제안하고 성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새로운 Hard/Soft Vertical Region(HVR-SVR) 기반 타임 슬롯 할당 기술과 Multicast 자원 예약기술을 결합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동적 Threshold 기반 멀티캐스트 기술은 다양한 서비스 시간 간격 요구를 갖는 실시간 N-스크린 데이터 전송에 있어, 멀티캐스트 및 유니캐스트 전송 DRP 예약 구간을 확장하고 수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Effect of hyperthermia on cell viability, amino acid transfer, and milk protein synthesis in bovine mammary epithelial cells

  • Zhou, Jia;Yue, Shuangming;Xue, Benchu;Wang, Zhisheng;Wang, Lizhi;Peng, Quanhui;Hu, Rui;Xue, Bai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4권1호
    • /
    • pp.110-122
    • /
    • 2022
  • The reduction of milk yield caused by heat stress in summer is the main condition restricting the economic benefits of dairy farms. To examine the impact of hyperthermia on bovine mammary epithelial (MAC-T) cells, we incubated the MAC-T cells at thermal-neutral (37℃, CON group) and hyperthermic (42℃, HS group) temperatures for 6 h. Subsequently, the cell viability and apoptotic rate of MAC-T cells, apoptosis-related genes expression, casein and amino acid transporter genes, and the expression of the apoptosis-related proteins were examined. Compared with the CON group, hyperthermia significantly decreased the cell viability (p < 0.05) and elevated the apoptotic rate (p < 0.05) of MAC-T cells. Moreover, the expression of heat shock protein (HSP)70, HSP90B1, Bcl-2-associated X protein (BAX), Caspase-9, and Caspase-3 genes was upregulated (p < 0.05). The expression of HSP70 and BAX (pro-apoptotic) proteins was upregulated (p < 0.05) while that of B-cell lymphoma (BCL)2 (antiapoptotic) protein was downregulated (p < 0.05) by hyperthermia. Decreased mRNA expression of mechanistic target of rapamycin (mTOR) signaling pathway-related genes, amino acid transporter genes (SLC7A5, SLC38A3, SLC38A2, and SLC38A9), and casein genes (CSNS1, CSN2, and CSN3) was found in the heat stress (HS) group (p < 0.05) in contrast with the CON group. These findings illustrated that hyperthermia promoted cell apoptosis and reduced the transport of amino acids into cells, which inhibited the milk proteins synthesis in MAC-T cells.

물 중 일반세균 정량에 대한 배지법과 건조필름법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Plate Count Agar and Dry Rehydratable Film Method for Enumeration of Total Aerobic Bacteria in Water)

  • 강주영;조아현;박은지;이한철;박민지;한진섭;강성규;김중범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48-152
    • /
    • 2020
  • The quantitative accuracy of dry rehydratable film method was compared with the standard culture method to analyze the applicability of dry rehydratable film in the total aerobic bacteria test for water. The materials used in this study were 500 cases of water and were tested according to the Korean official test method for drinking water. The mean value of the total aerobic bacteria in plate count agar(PCA) and MC-Media Pad AC(MAC) were 2.6 ± 1.1 Log cfu/mL and 2.6 ± 1.2 Log cfu/mL. The p value and correlation coefficient(R2) were 0.933 and 0.9985 between the PCA and MAC, respectively, indicat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and very high correlation. According to the water types, the p value and R2 were 0.887 and 0.9911 in the PCA and MAC. In the purified water, the p value was 0.973 and R2 was 0.9934 in the PCA and MAC of other water. In each type of wat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CA and MAC, and the correlation was very high. Thus, it is suggested that the MAC would be available for total aerobic bacteria test for water.

축전식 탈염 시스템에서 전하량 제어를 통한 경도물질의 안정적인 탈염 (Stable Desalination of Hardness Substances through Charge Control in a Capacitive Deionization System)

  • 김윤태;최재환
    • 공업화학
    • /
    • 제30권4호
    • /
    • pp.472-478
    • /
    • 2019
  • 막 축전식 탈염(MCDI) 셀에 공급하는 총 전하(TC)를 조절하여 경도물질($Ca^{2+}$)을 안정하게 탈염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흡착과정에서 TC를 변화시키면서 흡착(1.5 V)과 탈착(0.0 V)을 30회 반복하였다. 탈염과정에서 유출수의 농도와 pH, 흡착 및 탈착량, 전류밀도와 셀 전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MCDI 셀에 사용된 탄소전극의 최대허용전하(MAC)는 46 C/g로 측정되었다. MAC 이하의 TC (40 C/g)에서 운전한 결과 전극반응이 일어나지 않아 장기간 운전에서도 안정적인 탈염특성을 얻을 수 있었다. 반면, MAC 이상의 TC (50, 60 C/g)에서 운전한 경우 유출수의 농도와 pH가 크게 변하였다. 또한 전극반응으로 인해 전극표면에 스케일이 생성되어 셀의 전기저항이 점차 증가하였다. 이를 통해 흡착과정에서 MCDI 셀에 공급하는 전하를 제어함으로써 전극반응 없이 경도물질을 안정하게 제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Chemoenzymatic Synthesis of Dual-responsive Amphiphilic Block Copolymers and Drug Release Studies

  • Chen, Peng;Li, Ya-Peng;Wang, Shu-Wei;Meng, Xin-Lei;Zhu, Ming;Wang, Jing-Yua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4권6호
    • /
    • pp.1800-1808
    • /
    • 2013
  • Dual-responsive amphiphilic block copolymers were synthesized by combining enzymatic ring-opening polymerization (eROP) of ${\varepsilon}$-caprolactone (CL) and ATRP of N,N-dimethylamino-2-ethyl methacrylate (DMAEMA). The obtained block copolymers were characteriz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1H$ NMR and FTIR-IR. The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CMC) of copolymer was determined by fluorescence spectra, it can be found that with hydrophilic block (PDMAEMA) increasing, CMC value of the polymer sample increased accordingly, and the CMC value was 0.012 mg/mL, 0.025 mg/mL and 0.037 mg/mL for $PCL_{50}$-b-$PDMAEMA_{68}$, $PCL_{50}$-b-$PDMAEMA_{89}$, $PCL_{50}$-b-$PDMAEMA_{112}$, $PCL_{50}$-b-$PDMAEMA_{89}$ was chosen as drug carrier to study in vitro release profile of anti-cancer drug (taxol). The temperature and pH dependence of the values of hydrodynamic diameter (Dh) of micelles, and self-assembly of the resulting block copolymers in water were evaluated by dynamic light scattering (DLS). The result showed that with the temperature increasing and pH decreasing, the Dh decreased. Drug-loaded nanoparticles were fabricated using paclitaxel as model.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and atomic force microscopy (AFM) had been explored to study the morphology of the hollow micelles and the nanoparticles, revealing well-dispersed spheres with the average diameters both around 80 nm. In vitro release kinetics of paclitaxel from the nanoparticles was also investigated in different conditions (pH and temperature, etc.), revealing that the drug release was triggered by temperature changes upon the low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 (LCST) at pH 7.4, and at $37^{\circ}C$ by an increase of pH.

차량 네트워크에서 Ultra-low latency 구현을 위한 TDMA 기반 MAC 프로토콜 (TDMA-based MAC Protocol for Implementation of Ultra-low latency in Vehicular networks)

  • 박혜빈;정진우;최병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33-39
    • /
    • 2017
  • 차량 네트워크, 분산 로봇과 사이버 물리 시스템 등 mission-critical 환경에서 동작하는 서비스들은 기존 서비스에 비해 latency에 대한 요구사항이 훨씬 엄격하다. 그 중 자율주행 차량 간 통신은 급격히 부상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 영역으로 수 ms 수준의 엄격한 latency 요구사항을 가진다. 802.11p나 LTE-direct standards를 이용하는 현재 시스템은 이러한 수준의 ultra-low latency를 만족하지 못한다. 현재, 전체 latency의 상당부분을 medium access가 차지하기 때문에, 이 부분의 해결을 위해서는 Layer2를 수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MAC layer에 초점을 맞추어 coordinator에 의한 scheduling 없이 join/leave가 자유로운 Autonomous TDMA(ATDMA)를 고안하여 scalable하면서 latency가 보장되는 MAC을 구현하였다. 또한 WAVE 프로토콜과의 비교를 통해 알고리즘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MAC 계층에서의 IEEE 802.11p 기반 WAVE 통신 시스템의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IEEE 802.11p Based WAVE Communication Systems at MAC Layer)

  • 최광주;김진관;박상규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526-531
    • /
    • 2014
  • 차량통신은 통신시스템과 차량산업을 융합하여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분야에서 다양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고려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차량통신은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s)라고 알려져 있는 IEEE 802.11p/1609표준을 채택하여 vehicle-to-vehicle(V2V)와 vehicle-to-infra(V2I) 통신에 이용된다. WAVE 시스템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신호를 5.835~5.925 GHz대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하는 시스템이다.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1p 표준에 따라 구현한 WAVE 시스템의 MAC(Media Access Control)단에서 채널 모니터링을 32 비트 처리한 다음 데이터를 수신하여 성능을 평가하였다. 실제 고속도로에서 OBU(On Board Unit)로 구성된 테스트베드를 구축하고, OBU간에 WSM(WAVE Short Message)을 무선으로 송수신한 다음, 프레임 당 채널 점유 시간과 처리량을 산출하였다.

개에서 Isoflurane 마취시 SP-6 혈위의 전침자극시간이 최소폐포농도 및 심맥관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lectroacupuncture at SP-6 with Different Durations on Minimum Alveolar Concentration and the Cardiovascular System under Isoflurane Anesthesia in Dogs)

  • Jeong, Seong-Mok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83-289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개에서 전침술이 isoflurane 마취시의 MAC 및 심맥관계에 미치는 영향 및 전침처치시간에 따른 차이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임상적으로 건강한 19개월령, 수컷 비글견 8두를 사용하였다. 대조군, 비혈위 전기자극군, 30분간 전침군(SP-6) 및 연속 전침군(SP-6C)으로 나누어 군 당 5두씩 무작위로 최소 7일간의 휴약기를 두며 실험에 사용하였다. 전침처치는 SP-6 혈위에 2-4V 20Hz로 30분간(SP-6)또는 MAC의 측정이 끝날 때 까지 연속적으로(SP-6C) 실시하였다. SP-6C군에서의 전침자극시간은 70-90분이었다. Isoflurane으로 마취를 유도한 후 전침을 실시하고 MAC와 cardiovascular parameters를 측정 하였다. 전침 후 MAC는 SP-6 및 SP-6C 군에서 각각 21.3$\pm$8.0% 및 16.1$\pm$4.6% 씩 유의적으로 저하되었으나(p<0.05) 전침시간에 따른 유의성은 없었다. 그러나 대조군과 비혈위 전기자극군에 비해서는 유의적으로 저하되었다(p<0.05). 전침처치 후 심맥관계에는 유의성 있는 변화가 인정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SP-6혈위에 대한 전침은 개에서 심맥관계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isoflurane의 MAC을 유의성 있게 감소시켰으며, 이러한 효과는 30분간의 전침자극으로 충분하다고 사료된다.

ns-2에서 IEEE 802.11 확장 모듈의 오류 수정과 Error Rate를 적용한 시뮬레이션 및 성능분석 (Modification of Extended Version of IEEE 802.11 in ns-2 and Performance Analysis with Error Rate Using Computer Simulation)

  • 정진욱;진교홍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2008-2015
    • /
    • 2010
  • Ns-2는 유 무선 네트워크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는 검증된 시뮬레이터이다. Ns-2.33 버전은 IEEE 802.11의 PHY 계층과 MAC 계층의 핵심 기능들이 구현된 모듈들을 포함하는 확장 버전을 제공하고 있지만, 만약 이 확장 버전에 무선 네트워크 시뮬레이션의 중요한 성능 평가 파라미터 중의 하나인 Error Rate가 적용되면 몇몇 치명적인 오류로 인해 시뮬레이션이 중단되는 상황이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패킷 에러는 실제로 MAC 계층에서 감지되고 폐기되어져야 하지만 이 버전에서는 PHY 계층에서 패킷 에러를 처리함으로써 에러가 발생된 패킷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에서 언급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IEEE 802.11 확장 버전을 수정하였으며 IEEE 802.11p 기반의 차량 에드-혹 네트워크상에서 수정된 버전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Error Rate가 끼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