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G

검색결과 55,660건 처리시간 0.081초

현사시나무 추출물의 항산화활성과 성분분석 (Antioxidant Activity and Component Analysis of Populus Tomentiglandulosa Extract)

  • 최선일;황석준;이옥환;김종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19-12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현사시나무 추출물에 대한 일반성분, 무기질, 비타민, 유리당, 총 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HPLC을 이용하여 페놀성 화합물을 분석하였으며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을 통하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추출물의 일반 성분 분석결과, 탄수화물, 수분, 조단백질, 회분, 조지방은 각각 88.6, 5.11, 2.5, 2.3, 1.5%로 확인되었다. 무기질 분석결과, Ca (77.5 mg/100 g), Mg (85.0 mg/100 g), Na (23.4 mg/100 g), K (907.5 mg/100 g), P (93.8 mg/100 g), Fe (1.4 mg/100 g), Zn (2.6 mg/100 g), Cu (0.6 mg/100 g), Mn (2.9 mg/100 g)을 함유하고 있었다. 비타민의 경우, vitamin C (6.1 mg/100 g), vitamin B2 (0.3 mg/100 g), vitamin B6 (0.01 mg/100 g), nicotinic acid (3.1 mg/100 g)가 확인되었다. 유리당 조성은 glucose 1.6%, fructose 2.2%였고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115.4±0.85 mg GAE/g, 20.9±1.14 mg QE/g으로 나타났다. HPLC 분석결과 catechin (9.1±0.27 mg/g), caffeic acid (4.1±0.57 mg/g), p-coumaric acid (2.1±0.47 mg/g), chlorogenic acid (1.6±0.86 mg/g), gallic acid (1.4±0.35 mg/g)가 주요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현사시나무 추출물은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보였고 이는 추출물에 함유된 항산화성분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현 사시나무 추출물의 일반성분, 무기질, 비타민,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주요 페놀성 화합물 및 항산화활성을 평가하였지만 향후 현사시나무 추출물이 식품소재 또는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서 활용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세포 및 동물모델에서의 바이오마커 평가 및 작용기전 연구가 추가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2가지 내부표준물질을 이용하여 어류시료 중 Octylphenol, Nonylphenol, Bis(2-ethylhexyl)phehalate의 동시정량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Octylphenol, Nonylphenol and Bis(2-ethylhexyl)phthalate in Fish Samples Using Two Internal Standards)

  • 김종훈
    • 분석과학
    • /
    • 제14권3호
    • /
    • pp.244-252
    • /
    • 2001
  • 어류근육속에 포함된 nonylphenol(NP), octylphenol(OP), bis(2-ethylhexyl)phtalate(BEHP)의 동시 정량방법을 1-phenyldecanol(PD)과 bis(2-ethylbutyl)phthalate(BEBP) 2가지 내부표준물질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1-phenyldecanol은 nonyphenol과 octylphenol을 정량하고, bis(2-ethylbutyl)phthalate는 bis(2-ethylhexyl)phthalate를 정량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NP와 OP의 경우 $0.2{\sim}20{\mu}g/g$ 농도범위에서 75% 이상의 회수율을 나타냈으며, BEHP는 $0.4{\sim}40{\mu}g/g$ 농도범위에서 102% 이상의 회수율을 보였다. 시료를 밀폐된 배양시험관에서 이염화메탄을 이용하여 추출하고 용매를 이소-헥산으로 바꾸고 aminopropyl 칼럼(2g)을 이용하여 분리한후 GC/MS-SIM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확립된 분석방법을 11점의 한국시료와 3점의 영국시료에 적용하였다. Nonylphenol은 2점의 한국어류시료에서, BEHP는 9점의 한국어류시료에서 검출되었고, 그 농도범위는 각각 $0.02{\sim}0.06{\mu}g/g$$0.18{\sim}2.03{\mu}g/g$이었다. 그러나 영국어류시료에서는 단 1점의 시료에서 BEHP가 검출되었고 그 농도는 $2.99{\mu}g/g$이었다. 이 방법에 의해서 octylphenol은 어떠한 시료에서도 검출되지 않았으며, 이와 같이 2가지 내부표준물질을 이용하는 방법은 각기 다른 특성을 갖는 분석대상물질에 각각의 특성과 유사한 내부표준물질의 사용으로 매우 적은량의 생체 시료에서 보다 정확한 정량이 가능하였다.

  • PDF

여천공단 주변 초지군락의 구조와 토양 특성 (Community Structure and Soil Properties of Grassland in the Vicinity of Yoch’on Industrial Complex)

  • 류재근;이종영;이윤영;문형태
    • 환경생물
    • /
    • 제17권4호
    • /
    • pp.421-426
    • /
    • 1999
  • 공단 주변 지역에 형성되어 있는 초지 군락의 구조, 종 다양성 및 토양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지역은 상관에 의해 쑥(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군락, 미국자리공(Phytolacca americana)군락, 참억새(Miscanthus sinensis)군락으로 구분되었다. 1999년 8월에 조사한 각 식물군락의 지상부 현존량은 쑥군락 5,645g/$m^2$, 미국자리공군락 2,827g/$m^2$, 참억새군락 9,048g/$m^2$으로 다른 지역의 초지에 비해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군락의 종 다양성은 쑥군락, 미국자리공군락 그리고 참억새군락이 각각 1.03, 0.54, 0.26으로 매우 낮았다. 초지군락 토양의 pH는 4.4~4.5 범위이었으며, 상층토의 유기물함량은 11.1~15.7%, 전질소 함량은 2.5~3.7 mg/g, 유효인은 52.7~61.2 $\mu$g/g, 황은 357.3~511.4 $\mu$g/g, 가용성 황은 17.8~25.2 $\mu$g/g, 치환성 칼륨, 칼슘, 마그네슘은 각각 15.6~24.6 $\mu$g/g, 25.4~156.2 $\mu$g/g, 4.5~11.1 $\mu$g/g 의 범위이었다. 본 조사지역 초지군락의 구성종은 대부분 토양 부영양화의 지표종이었다.

  • PDF

Dynamics of Organic Carbon and Nutrients in Litterfall of Quercus mongolica Forest in Mt. Songnisan National Park

  • Kang, Sang-Joon;Han, Dong-Yeoul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6호
    • /
    • pp.347-351
    • /
    • 2005
  • The amounts of organic carbon and several nutrients in litterfall on the forest floor of Quercus mongolica forest were assessed for two years from 1998 through 2000 in Mt. Songnisan National Park in Korea. The amounts of organic carbon (C) in litterfall were the highest in autumn with the values of $150.4g/m^2$ (62.6%) in 1998 and $219.2g/m^2$ (61.0%) in 1999. In winter, organic C was the lowest with the values of $16.3g/m^2$ (6.8%) in 1998 and $12.5g/m^2$ (6.7%) in 1999. It was estimated that the organic C added to forest floor via litterfall was 240.1 $g{\cdot}m^{-2}yr^{-1}$ and 186.6 $g{\cdot}m^{-2}yr^{-1}$ 1998 and 1999, respectively. The amounts of nitrogen (N) in litterfall were the highest in autumn with the values of 5.9 $g/m^2$ (58.0%) in 1998 and 5.2 $g/m^2$ (62.3%) in 1999. The amount of phosphorus (P) in litterfall showed its peak in autumn with 0.19 $g/m^2$ (52.9%) in 1998 and 0.11 $g/m^2$ (52.6%) in 1999. The amount of P returned to forest floor via litterfall was 0.35 $g{\cdot}m^{-2}yr^{-1}$ in 1998 and 0.22 $g{\cdot}m^{-2}yr^{-1}$ in 1999. The amount of potassium (K) in litterfall showed its peak in autumn with 0.57 $g/m^{2}$ (53.8%) in 1998 and 0.42 $g/m^2$ (55.3%) in 1999. The amounts of K returned to forest floor via litterfall was 1.11 $g{\cdot}m^{-2}yr^{-1}$ in 1998 and 0.81 $g{\cdot}m^{-2}yr^{-1}$ in 1999.

SOME RESULTS ON STARLIKE TREES AND SUNLIKE GRAPHS

  • Mirko, Lepovic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11권1_2호
    • /
    • pp.109-123
    • /
    • 2003
  • A tree is called starlike if it has exactly one vertex of degree greate. than two. In [4] it was proved that two starlike trees G and H are cospectral if and only if they are isomorphic. We prove here that there exist no two non-isomorphic Laplacian cospectral starlike trees. Further, let G be a simple graph of order n with vertex set V(G) : {1,2, …, n} and let H = {$H_1$, $H_2$, …, $H_{n}$} be a family of rooted graphs. According to [2], the rooted product G(H) is the graph obtained by identifying the root of $H_{i}$ with the i-th vertex of G. In particular, if H is the family of the paths $P_k_1,P_k_2,...P_k_2$ with the rooted vertices of degree one, in this paper the corresponding graph G(H) is called the sunlike graph and is denoted by G($k_1,k_2,...k_n$). For any $(x_1,x_2,...,x_n)\;\in\;{I_*}^n$, where $I_{*}$ = : {0,1}, let G$(x_1,x_2,...,x_n)$ be the subgraph of G which is obtained by deleting the vertices $i_1,i_2,...i_j\;\in\;V(G)\;(O\leq j\leq n)$, provided that $x_i_1=x_i_2=...=x_i_j=o.\;Let \;G[x_1,x_2,...x_n]$ be characteristic polynomial of G$(x_1,x_2,...,x_n)$, understanding that G[0,0,...,0] $\equiv$1. We prove that $G[k_1,k_2,...,k_n]-\sum_{x\in In}[{\prod_{\imath=1}}^n\;P_k_i+x_i-2(\lambda)](-1)...G[x_1,x_2,...,X_n]$ where x=($x_1,x_2,...,x_n$);G[$k_1,k_2,...,k_n$] and $P_n(\lambda)$ denote the characteristic polynomial of G($k_1,k_2,...,k_n$) and $P_n$, respectively. Besides, if G is a graph with $\lambda_1(G)\;\geq1$ we show that $\lambda_1(G)\;\leq\;\lambda_1(G(k_1,k_2,...,k_n))<\lambda_1(G)_{\lambda_1}^{-1}(G}$ for all positive integers $k_1,k_2,...,k_n$, where $\lambda_1$ denotes the largest eigenvalue.

VARIOUS CENTROIDS OF QUADRILATERALS WITHOUT SYMMETRY

  • Kim, Incheon;Kim, Dong-Soo
    • 충청수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29-444
    • /
    • 2020
  • For a quadrilateral P, we consider the centroid G0 of the vertices of P, the perimeter centroid G1 of the edges of P and the centroid G2 of the interior of P, respectively. It is well known that P satisfies G0 = G1 or G0 = G2 if and only if it is a parallelogram.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various quadrilaterals satisfying G1 = G2. As a result, we establish some characterization theorems. One of them asserts the existence of convex quadrilaterals satisfying G1 = G2 without symmetry.

THE LINEAR 2-ARBORICITY OF PLANAR GRAPHS WITHOUT ADJACENT SHORT CYCLES

  • Chen, Hong-Yu;Tan, Xiang;Wu, Jian-Liang
    • 대한수학회보
    • /
    • 제49권1호
    • /
    • pp.145-154
    • /
    • 2012
  • Let G be a planar graph with maximum degree $\Delta$. The linear 2-arboricity $la_2$(G) of G is the least integer k such that G can be partitioned into k edge-disjoint forests, whose component trees are paths of length at most 2. In this paper, we prove that (1) $la_2(G){\leq}{\lceil}\frac{\Delta}{2}\rceil+8$ if G has no adjacent 3-cycles; (2) $la_2(G){\leq}{\lceil}\frac{\Delta}{2}\rceil+10$ if G has no adjacent 4-cycles; (3) $la_2(G){\leq}{\lceil}\frac{\Delta}{2}\rceil+6$ if any 3-cycle is not adjacent to a 4-cycle of G.

노지재배 감자의 생육시기별 물 요구량 구명 (Water Requirement of Potato According to Growth Stage)

  • 엄기철;박소현;유성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861-866
    • /
    • 2012
  • 본 연구는 우리나라 1979년~2008년까지의 기후 데이터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45개 지역을 대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감자의 물 요구량을 산정함으로서 기존의 연구결과를 수정보완하고 아울러 금후 국가 물 수급계획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수행하였다. 노지 감자 생육기간 동안의 PET는 최소 부산의 $2.60mm\;day^{-1}$로부터 최대 대구의 $3.52mm\;day^{-1}$ 범위를 보였으며, 45개 지역에 대한 평균은 $2.95mm\;day^{-1}$ 이었다. 노지 감자의 생육기간 전체에 대한 평균 일 물 요구량(MWR : mm $day^{-1}$)은, 45지역의 전 생육기간 평균 $1.6mm\;day^{-1}$이었으며, 생육단계별 평균 일 물 요구량 (MWR)은 G-1, G-2, G-3 및 G-4 각각 1.0~1.2 (평균 1.1), 1.5~1.8 (평균 1.6), 1.9~2.2 및 1.7~2.1 (평균 1.8) mm $day^{-1}$이었다. 노지 감자의 생육기간 전체에 대한 평균 총 물 요구량 (TWR : mm $day^{-1}$)은, 45지역 평균 446.2 mm 이었으며, 생육단계별 평균 총 물 요구량 (TWR : mm $day^{-1}$)은 G-1, G-2, G-3 및 G-4 각각 18.0~22.1 (평균 19.3), 50.6~66.6 (평균 56.3), 63.5~88.2 (평균 72.4) 및 38.3~54.5 (평균 44.0) mm 이었다. 또한 MWR 과 TWR은 45지역 모두 G-3 생육단계에서 가장 많으며, 이는 G-3 생육단계의 대기증발요구량 (PET)과 작물계수 (Kc)가 타 생육기간 보다 높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FEEDLOT FATTENING OF SHEEP IN PAKISTAN

  • Jadoon, J.K.;Syed, A.H.;Mirza, I.H.;Naqvi, M.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권3호
    • /
    • pp.161-164
    • /
    • 1990
  • Ninety six Rambouillet ${\times}$ Kaghani intact male lambs of 18 months of age were divided into 6 groups of 16 lambs each, groups being G-1, G-2, G-3, G-4, G-5 and G-6. Average liveweight of animals on different treatments at day 0 of the experiment was G-1 (24.68 S.D 3.35), G-2 (24.56 S.D 2.55), G-3 (24.53 S.D 2.90), G-4 (24.51 S.D 3.38), G-5 (24.58 S.D 3.58) and G-6 (24.81 S.D 3.43). Animals on treatment G-1 were fed only maize silage ad libitum, G-2 had been offered maize silage ad libitum plus 4.8 kg of commercial concentrate (Sona Vanda) per group, G-3 maize silage ad libitum plus 4.8 kg of crushed maize grain per group. G-4 lambs were fed oat silage ad libitum plus 4.8 kg of crushed maize per group, G-5 oat silage plus 4.8 kg of commercial concentrate per group and G-6 only oat silage ad libitum. The results showed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s (p<0.01) among treatment groups in silage intake throughout the feeding trial. G-2 group showed the highest silage intake while treatment G-4 showed the lowest silage intake for the first two months and treatment G-6 for the last two months. The results of growth rates (g/d/animal) showed that treatments G-1 and G-6, where no supplementation was given, had a weight loss throughout the feeding trial. However, weight loss in treatment G-6 was more severe than treatment G-1. Treatments G-2, G-3, G-4 and G-5 all showed weight gain however, treatment G-2 had the most gain. G-2 group also showed the highest wool production while G-6 the lowest.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silage when made from full bloom crops of oats and silage fed alone without any supplementation causes weight loss in sheep. Supplementation with concentrates having 19% CP is far better than the crushed maize grain and maize silage is better than oats silage. Maize silage is superior than oat silage however, better performance could be expected if silages were made at the early bloom (dough) stage of plant maturity. The results indicate that treatment G-2 shows highest response while treatment G-6 the lowest. So the response of different treatments on both the parameters of weight gain and wool production is almost similar.

우리나라 농경지토양(農耕地土壤)의 지형별(地形別) 이화학적(理化學的) 특성(特性)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s Developed on the Different Topographies in Korea)

  • 현근수;박창서;정석재;문준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71-279
    • /
    • 1989
  • 토양환경(土壤環境) 개량(改良)의 기초자료(基礎資料)인 토양(土壤)의 입경분포(粒徑分布) 및 몇가지 화학성(化學性)에 대(對)한 대표(代表)값을 지형별(地形別)(용암류태지(熔岩流台地) 제외(除外))로 파악(把握)하기 위하여 5,216개(個)(답(畓)3.075 그리고 전(田)2,140)의 시(市) 군(郡) 대표토양(代表土壤) 분석치(分析値)를 이용(利用) 전산(電算)처리하였다. 1. 논토양(土壤) 표토(表土)에서 대표(代表)값은 점토(粘土) 20.4%, pH 5.8, 유기물(有機物) 2.6%, CEC 10.4me/100g, 치환성(置換性) K 0.26me/100g 그리고 유효린산(有效燐酸) 89ppm이었다. 밭토양(土壤)에선 각각(各各) 17.3%, 5.5, 1.8% 9.1, 0.29me/100g 그리고 103ppm이었다. 2. 토양특성(土壤特性)은 지형(地形)에 따라 큰 차리(差異)를 나타내었다. 논토양(土壤) 표토(表土)에서 하해혼성평탄지(河海混成平坦地)는 점토(粘土) 21.4%, pH 6.0, 유기물(有機物) 2.2%, CEC 10.8me/100g, 치환성(置換性) K 0.39me/100g 그리고 유효인산(有效燐酸) 57ppm, 하성평탄지(河成平坦地)는 각각(各各) 15.3%, 5.7, 2.0%, 8.6me/100g, 0.17me/100g 그리고 76ppm, 곡간(谷間).선상지(扇狀地)는 각각(各各) 18.8%, 5.9, 2.7%, 10.4me/100g, 0.19me/100g 그리고 80ppm, 홍적태지(洪積台地)는 각각(各各) 20.0%, 5.7, 2.5%, 11.5me/100g, 10.26me/100g 그리고 91ppm, 산록경사지(山麓傾斜地)는 각각(各各) 21.5%, 5.7, 3.4%, 10.6me/100g, 10.27me/100g 그리고 141ppm이었다. 3. 밭토양(土壤) 표토(表土)의 경우(境遇) 하해혼성평탄지(河海混成坪坦地)는 점토(粘土) 5.5%, pH 5.7, 유기물(有機物) 1.1%, CEC 4.7me/100g, 치환성(置換性) K 0.17me/100g 그리고 유효린담(有效燐談) 50ppm, 하성평탄지(河成平坦地)는 각각(各各) 10.3%, 5.5, 1.4%, 7.6me/100g, 0.26me/100g, 그리고 160ppm, 곡간선상지(谷間扇狀地)는 각각(各各) 13.9%, 5.4, 1.8%, 9.3me/100g, 0.34me/100g 그리고 184ppm, 홍적태지(洪積台地)는 각각(各各) 29.87%, 5.3, 2.1%, 11.2me/100g, 0.40me/100g 그리고 58ppm, 산록경사지(山麓傾斜地)는 각각(各各) 20.0%, 5.7, 2.7%, 11.4me/100g, 0.32me/100g, 그리고 116ppm, 구릉지(丘陵地)는 각각(各各) 24.6%, 5.3, 1.8%, 10.2me/100g, 0.28me/100g, 그리고 51ppm 이었다. 4. 토양중(土壤中) 점토(粘土)을 제외(除外)하고는 pH, 유기물(有機物), CEC, 치환성(置換性) K 및 유효린산(有效燐酸)의 함양(含量)은 개량목표치(改良目標値)에 미달(未達)하였고 지형(地形)에 따라 큰 차리(差異)를 보였다. 5. 토양중(土壤中) 유기물(有機物), 치환성염기(置換性鹽基) 및 유효린산(有效燐酸)의 함양(含量)은 정규분포(正規分布)하지 않았으며, 토양특성(土壤特性)이 정규분포(正規分布)한다는 가정하(假定下)에 평균(平均)값의 68 및 95% 구간(區間)이 계산(計算)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