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8S ribosomal RNA (rRNA)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19초

진딧물의 전 ribosomal RNA 염기배열 (Nucleotide Sequences of an Aphid ribosomal RNA Unit)

  • 권태영;안승락;송철;박종균;김영섭;황재삼;권오유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2-39
    • /
    • 1998
  • 진딧물이 하나의 ribosomal RNA 유전자(rDNA)단위는 총 길이가 13,061bp이며 총 G/C비율은 59%이다.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각 영역의 길이와 G/C비율은 다음과 같다. 5’ETS는 G/C비율이 69%이고 843bp이다 . 18S rRNA 는 2,469bp이며 G/C비율은 59%이다. ITS I길이는 229bp이며 70%의 G/C비율이다. 5.8S rRNA는 160bp이며 63%의 G/C비율이다. ITS II는 325bp이며 70%dml G/C비율이다. 28S rRNA는 4, 147bp이고 60%의 G/C비율이다. IGS는 4,888bp로 55%의 G/C비율이다.

  • PDF

Cell Death-Associated Ribosomal RNA Cleavage in Postmortem Tissues and Its Forensic Applications

  • Kim, Ji Yeon;Kim, Yunmi;Cha, Hyo Kyeong;Lim, Hye Young;Kim, Hyungsub;Chung, Sooyoung;Hwang, Juck-Joon;Park, Seong Hwan;Son, Gi Hoon
    • Molecules and Cells
    • /
    • 제40권6호
    • /
    • pp.410-417
    • /
    • 2017
  • Estimation of postmortem interval (PMI) is a key issue in the field of forensic pathology. With the availability of quantitative analysis of RNA levels in postmortem tissues, several studies have assessed the postmortem degradation of constitutively expressed RNA species to estimate PMI. However, conventional RNA quantification as well as biochemical and physiological changes employed thus far have limitations related to standardization or normalization.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an interesting feature of the subdomains of certain RNA species, in which they are site-specifically cleaved during apoptotic cell death. We found that the D8 divergent domain of ribosomal RNA (rRNA) bearing cell death-related cleavage sites was rapidly removed during postmortem RNA degradation. In contrast to the fragile domain, the 5' terminal region of 28S rRNA was remarkably stable during the postmortem period. Importantly, the differences in the degradation rates between the two domains in mammalian 28S rRNA were highly proportional to increasing PMI with a significant linear correlation observed in mice as well as human autopsy tissues. In conclusion, we demonstrate that comparison of the degradation rates between domains of a single RNA species provides quantitative information on postmortem degradation states, which can be applied for the estimation of PMI.

한국산 가리비 2종의 28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에 의한 유전적 특성 (Genetic Characterization based on Partial 28S rRNA Gene Sequence of Korean Two Scallops)

  • Park, Gab-Man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7
    • /
    • 1997
  • 한국산 가리비, 큰가리비(Patinopecten yessoensis)와 주문진가리비(Chlamys swifti), 2종에 대한 28S ribosomal RNA 유전자의 PCR- 산물을 이용 RFLP 및 염기서열을 밝히고, 이미 보고된 2과 3종의 염기서열과 상동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28S rRNA유전자를 이용하여 7가지 제한효소를 처리한 PCR-RFLP의 종간 차이에서 Taq I 제한효소에서만 차이를 볼 수 있었다. 한편 두종간에 28S rRNA유전자의 D1 부위의 염기서열에서 231개 부위 중 14군데에서 변이를 보였다.

  • PDF

Mycoplasma pneumoniae의 macrolide 내성과 연관된 유전자 변이의 검출 (Detection of genetic mutations associated with macrolide resistance of Mycoplasma pneumoniae)

  • 오지은;최은화;이환종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2호
    • /
    • pp.178-183
    • /
    • 2010
  • 목 적 : 최근에 macrolide계 항균제에 내성인 M. pneumoniae 균주가 증가한다는 외국의 보고가 있었으며, 국내에서 수행된 한 연구에서도 M. pneumoniae의 macrolide 내성률을 49% 정도로 보고한 바 있다. 이에, 본 연구는 M. pneumoniae 폐렴으로 진단된 소아의 비인두 흡인물에서 M. pneumoniae의 macrolide 계항균제 내성에 연관된 것으로 알려진 유전자 변이 유무를 확인하고, M. pneumoniae의 macrolide계 항균제에 대한 최소억제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M. pneumoniae 배양법을 구축하고자 시행되었다. 방 법 : 2000년과 2003년 M. pneumoniae 감염의 유행기에 급성 호흡기 증상을 주소로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에서 치료받은 소아 중 혈청학적 검사와 M. pneumoniae PCR을 통해 M. pneumoniae 폐렴으로 진단받은 환아 62명으로 부터 채취하여 $-80^{\circ}C$에 보관되었던 비인두 흡인물을 대상으로 하였다. M. pneumoniae의 23S rRNA domain V의 peptidyl transferase 부위와 ribosomal protein L4를 M. pneumoniae 특이 PCR로 증폭한 후 염기서열분석을 시행하였다. 염기서열의 분석은 M. pneumoniae 표준 균주와 비교하여, 23S rRNA domain V의 A2063G, A2064G 변이와 ribosomal protein L4의 M144V변이 유무를 확인하였다. 또한, M. pneumoniae 표준 균주와 33개의 비인두흡인물($-80^{\circ}C$에 보관되었던 28검체와 1-2일간 냉장보관되었던 비인두흡인물 5 검체)을 Chanock's glucose 액체배지와 한천배지에 접종하고 $37^{\circ}C$의 5% $CO_2$ 항온기에서 6주간 관찰하여 배양을 확인하였다. 결 과 : 총 62 검체 중 23S rRNA gene에 대한 염기서열분석이 가능했던 61 검체 중 1검체(1.6%)에서 A2064G변이가 관찰되었고, 62 검체의 ribosomal protein L4에 대한 염기서열분석 결과 17검체(27.4%)에서 M144V 아미노산 변이가 확인되었다. M. pneumoniae 배양 결과, 표준 균주는 Chanock's glucose 액체배지와 한천배지 모두에서 배양되었고 2009년에 채취된 5검체 중 2검체에서 배양이 확인되었으나, $-80^{\circ}C$에 보관되었던 28검체는 모두 배양되지 않았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23S rRNA gene의 유전자 변이 빈도는 매우 낮았고, ribosomal protein L4의 M144V 변이는 좀 더 많은 검체에서 확인되었다. Macrolide계 항균제에 내성인 M. pneumoniae의 분포와 M. pneumoniae의 23S rRNA gene과 ribosomal protein L4의 변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들을 통해 M. pneumoniae의 macrolide 항균제에 대한 내성기전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흰점박이꽃무지로부터 Metarhizium속 사상균의 분리 및 ribosomal DNA 염기서열에 의한 동정 (Identification of Metarhizium sp. Isolated from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Kolbe) Using Ribosomal DNA Sequence)

  • 최지영;김철학;제연호;최영철;김종길;박규택;김근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65-70
    • /
    • 2003
  • 곤충자원의 대량사육을 위한 병 발생 예방과 해충의 효과적인 방제를 위하여 흰점박이꽃무지 이병충으로부터 곤충병원 사상균을 분리하였다. 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분리균주 KMA-1은 Metharizium속의 전형적인 쇠사슬형의 분생자를 paliside-like masse에 형성하였다. 따라서, 정확한 동정을 위하여 28S rRNA와 ITS염기 서열을 바탕으로 제작한 특이 프라이머쌍을 사용하여 PCR 반응을 수행하였다. 각각의 프라이머쌍을 사용한 PCR반응으로부터 특이 밴드가 검출되었으며 이 증폭 산물들의 염기 서열을 결정, 비교하였다. 분리 균주 KMA-1의 PCR산물인 28S rRNA와 ITS DNA염기서열을 GenBank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염기서열 정보와의 상동성을 검색한 결과, 모두 Metarhizium anisopliae와 가장 높은 서열 상동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서 본 실험에서 분리 명명된 KMA-1는 M. anisopliae로 동정되었다.

Phylogenetic Analysis of Ruminant Theileria spp. from China Based on 28S Ribosomal RNA Gene

  • Gou, Huitian;Guan, Guiquan;Ma, Miling;Liu, Aihong;Liu, Zhijie;Xu, Zongke;Ren, Qiaoyun;Li, Youquan;Yang, Jifei;Chen, Ze;Yin, Hong;Luo, Jianxu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1권5호
    • /
    • pp.511-517
    • /
    • 2013
  • Species identification using DNA sequences is the basis for DNA taxonomy. In this study, we sequenced the ribosomal large-subunit RNA gene sequences (3,037-3,061 bp) in length of 13 Chinese Theileria stocks that were infective to cattle and sheep. The complete 28S rRNA gene is relatively difficult to amplify and its conserved region is not important for phylogenetic study. Therefore, we selected the D2-D3 region from the complete 28S rRNA sequences for phylogenetic analysis. Our analyses of 28S rRNA gene sequences showed that the 28S rRNA was useful as a phylogenetic marker for analyzing the relationships among Theileria spp. in ruminants. In addition, the D2-D3 region was a short segment that could be used instead of the whole 28S rRNA sequence during the phylogenetic analysis of Theileria, and it may be an ideal DNA barcode.

Sequence Analysi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of Ribosomal DNA in the Genus Rhizopus

  • Park, You-Jung;Min, Byung-Re
    • Mycobiology
    • /
    • 제33권2호
    • /
    • pp.109-112
    • /
    • 2005
  •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s including the 3'-end of 18S rRNA gene, 5.8S rRNA gene and the 5'-end of the 28S rRNA gene of Rhizopus spp. were amplified by PCR and analyzed by DNASIS program. Length polymorphism of these region ranged from 564 bp in R. oryzae to 789bp in R. stolonifer. The length and sequence of 5.8S was very conserved with $154{\sim}155\;bp$. The sequence of ITS2 was more variable than that of ITS1. The base substitution rates were ranged from 0 to 0.6069 per site, and higher rate was found in R. stolonifer. In general, transition was usually more frequent than transversion. On the basis of sequencing results, four groups were clustered with value of 61.9% similarity; R. oryzae, R. micros pores, R. homothallicus, and R. stolonifer groups.

Molecular Systematics of the Tephritoidea (Insecta: Diptera): Phylogenetic Signal in 16S and 28S rDNAs for Inferring Relationships Among Families

  • Han, Ho-Yeon;Ro, Kyung-Eui;Choi, Deuk-Soo;Kim, Sam-Kyu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6권2호
    • /
    • pp.145-151
    • /
    • 2002
  • Phylogenetic signal present in the mitochondrial 16S ribosomal RNA gene (16S rDNA) and the nuclear large subunit ribosomal RNA gene (28S rDNA) was explored to assess their utility in resolving family level relationships of the superfamily Tephritoidea. These two genes were chosen because they appear to evolve at different rates, and might contribute to resolve both shallow and deeper phylogenetic branches within a highly diversified group. For the 16S rDNA data set, the number of aligned sites was 1,258 bp, but 1,204 bp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excluding sites of ambiguous alignment. Among these 1,204 sites, 662 sites were variable and 450 sites were informative for parsimony analysis. For the 28S rDNA data set, the number of aligned sites was 1,102 bp, but 1,000 bp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excluding sites of ambiguous alignment. Among these 1000 sites, 235 sites were variable and 95 sites were informative for parsimony analysis. Our analyses suggest that: (1) while 16S rDNA is useful for resolving more recent phylogenetic divergences, 28S rDNA can be used to define much deeper phylogenetic branches; (2) the combined analysis of the 16S and 28S rDNAs enhances the overall resolution without losing phylogenetic signal from either single gene analysis; and (3) additional genes that evolve at intermediate rates between the 16S and 28S rDNAs are needed to further resolve relationships among the tephritoid families.

A Revision of the Phylogeny of Helicotylenchus Steiner, 1945 (Tylenchida: Hoplolaimidae) as Inferred from Ribosomal and Mitochondrial DNA

  • Abraham Okki, Mwamula;Oh-Gyeong Kwon;Chanki Kwon;Yi Seul Kim;Young Ho Kim;Dong Woon Lee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40권2호
    • /
    • pp.171-191
    • /
    • 2024
  • Identification of Helicotylenchus species is very challenging due to phenotypic plasticity and existence of cryptic species complexes. Recently, the use of rDNA barcodes has proven to be useful for identification of Helicotylenchus. Molecular markers are a quick diagnostic tool and are crucial for discriminating related species and resolving cryptic species complexes within this speciose genus. However, DNA barcoding is not an error-free approach. The public databases appear to be marred by incorrect sequences, arising from sequencing errors, mislabeling, and misidentifications. Herein, we provide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newly obtained, and published DNA sequences of Helicotylenchus, revealing the potential faults in the available DNA barcodes. A total of 97 sequences (25 nearly full-length 18S-rRNA, 12 partial 28S-rRNA, 16 partial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rRNA, and 44 part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COI] gene sequences) were newly obtained in the present study. Phylogenetic relationships between species are given as inferred from the analyses of 103 sequences of 18S-rRNA, 469 sequences of 28S-rRNA, 183 sequences of ITS-rRNA, and 63 sequences of COI. Remarks on suggested corrections of published accessions in GenBank database are given. Additionally, COI gene sequences of H. dihystera, H. asiaticus and the contentious H. microlobus are provided herein for the first time. Similar to rDNA gene analyses, the COI sequences support the genetic distinctness and validity of H. microlobus. DNA barcodes from type material are needed for resolving the taxonomic status of the unresolved taxonomic groups within the genus.

대장균에서 t6 A tRNA의 생합성에 관여하는 필수 단백질 YrdC의 온도 민감형 돌연변이 분리 (Isolation of Temperature-sensitive Mutant Escherichia coli YrdC Involved in Universal t6 A tRNA Synthesis)

  • 황지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57-264
    • /
    • 2018
  • YrdC 수퍼 패밀리는 지금까지 유전 서열이 알려진 거의 모든 생명체에서 매우 잘 보존 된 단백질 중 하나이다. Escherichia coli의 YrdC는 리보솜 생합성, 번역 종결, 저온 적응, tRNA에서 threonylcarbamoyl adenosine의 형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제안되었다. 이 연구에서, yrdC 유전자가 대장균에서 필수적이라는 것을 명확하게 증명하기 위해, 대장균에서 두 개의 yrdC 결손 돌연변이 균주를 만들고 그 표현형을 조사하였다. 특히 온도에 민감한 yrdC 돌연변이 균주는 $42^{\circ}C$ 온도 조건 하에서 거의 즉시 세포 성장을 멈추었으며 30S 리보솜 단위체의 상당한 축적없이 16S rRNA 전구체를 축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효모와 인간의 yrdC 유전자를 클로닝하여 이들이 대장균 yrdC 결손 균주의 성장억제를 회복 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이밖에도 여러 돌연변이 연구에 의해, 우리는 YrdC 단백질의 중간에 위치한 오목한 표면이 대장균, 효모 및 인간의 YrdC 단백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따라서, 두 개의 yrdC 결손 균주를 비교하여, yrdC 유전자가 대장균에서 생존력에 필수적이며, 효모 및 인간 동족체의 기능이 대장균 YrdC의 기능과 중복된다는 것을 규명하였고, 이 균주를 이용하여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은 대장균 YrdC 단백질이 tRNA 형성에 관여한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는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