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pyrrolidone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27초

수처리용 정밀여과 멤브레인의 제조 및 특성 연구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icrofiltration Membranes for Water Treatment)

  • 정보람;김노원
    • 멤브레인
    • /
    • 제24권1호
    • /
    • pp.50-62
    • /
    • 2014
  • 상 전이 공정을 이용하여 polysulfone계 비대칭 정밀 여과막을 제조하였다. Polysulfone/N-methyl-2-pyrrolidone/polyvinylpyrrolidone/phosphoric acid계로 이루어진 casting 용액을 사용하였으며 응고조로는 물을 사용하였다. 멤브레인 제조공정에 적용된 상 전이 공정으로 증기 유도 상 전이 공정을 적용하였으며 상대습도 74%에서 캐스팅 판의 온도와 노출 시간을 조절한 결과 기공의 크기와 구조에 있어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제조된 멤브레인의 구조는 SEM과 microflow permporometer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Phosphoric acid의 첨가는 조밀한 스펀지 형태의 멤브레인을 느슨한 스펀지 형태의 멤브레인으로 변화시켰으며 촉매량의 Phosphoric acid 첨가로도 평균 기공크기는 거의 $0.2{\mu}m$ 정도 커지고 유량도 약 3,000 LMH가 증가하였다. 캐스팅 판의 온도와 노출 시간의 변화는 표면층의 구조, 기공의 크기 및 공극률에 큰 변화를 가져옴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폐동분으로부터 화학환원법에 의한 Cu 미립자 제조 (Preparation of Copper Fine Particles from Waste Copper by Chemical Reduction Method)

  • 김윤도;송기창;송종혁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5권6호
    • /
    • pp.560-565
    • /
    • 2007
  • 화학환원법을 이용하여 폐동분 수용액에 환원제인 hydrazine을 첨가하여 $0.11{\sim}0.64{\mu}m$ 크기의 Cu 미립자를 제조하였으며, 이 과정 중 hydrazine의 첨가량이 얻어진 분말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분말합성 과정 중 분산제인 polyvinyl alcohol(PVA) 또는 polyvinyl pyrrolidone(PVP) 첨가가 분말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도 조사하였다. 1 M 농도의 폐동분 수용액에 hydrazine이 0.8 mol, 1.0 mol 첨가된 경우에는 Cu와 $Cu_2O$의 혼합물을 나타내어 순수한 Cu 분말을 생성하지 못했다. 반면 적당량의 hydrazine(1.2 mol)이 첨가된 경우에는 순수한 Cu 분말이 생성되었다. 또한 얻어진 Cu 분말의 평균크기는 hydrazine과 분산제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한편 분말의 응집을 억제하는 분산제로서 PVA의 사용이 PVP 보다 더욱 효과적이었다.

HEMA를 포함한 친수성 폴리머 중합 및 산소 투과율 측정 방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olymerization of Hydrogel Polymer Containing HEMA and Measurement Method of Oxygen Transmissibility)

  • 김태훈;성아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53권6호
    • /
    • pp.749-754
    • /
    • 2009
  • HEMA (2-hydroxyethyl methacrylate)는 친수성 안 의료용 소재로써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소프트 콘택트렌즈 제조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재료중의 하나이다. 또한 산소투과율(Dk/t)은 콘택트렌즈 재료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물리적 특성 중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HEMA (2-hydroxyethyl methacrylate), MMA (methylmethacrylate), NVP (N-vinyl-pyrrolidone), 교차결합제인 EGDMA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를사용하여 공중합 하였으며, 일반 콘택트렌즈와 칼라 콘택트렌즈를 제조하여 중심부와 주변부의 산소투과율을 polarographic method로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polarographic method로 측정한 콘택트렌즈 주변부의 산소투과율 감소량은 40.77%에서 49.13%의 분포로 나타났으며, 칼라 콘택트렌즈는 염료에 기인된 영향으로 산소투과율의 감소량이 더 크게 측정되었다.

알긴산에 의한 콘택트렌즈의 습윤성과 단백질 흡착 효과 (The Effect of Wettability and Protein Adsorption of Contact Lens by Alginic Acid)

  • 고나영;이경문;이현미
    • 대한화학회지
    • /
    • 제61권6호
    • /
    • pp.352-358
    • /
    • 2017
  •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의 습윤성 향상과 단백질 흡착량 감소을 위해 천연다당류인 알긴산을 첨가하였다.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는 2-Methacryloyloxyethyl phosphorylcholine(MPC)와 NVP(N-Vinyl-2-pyrrolidone)와 같은 다양한 단량체를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알긴산 첨가방법은 초기 혼합 방법과 IPN (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 방법을 사용하였다. 콘택트렌즈의 특성 평가를 위해 접촉각, 산소 투과도 및 단백질 흡착 량 등을 측정하였다. 산소 투과도와 습윤성 등 물리적 특성이 알긴산으로 IPN으로 처리 한 시료가 IPN으로 처리하지 않은 시료보다 높았다. 단백질 흡착은 알긴산의 첨가에 의해 감소되었고 IPN처리를 통해 더욱 감소되었다. 특히, MPC 및 NVP를 함유한 콘택트렌즈는 단백질 흡착을 상당히 감소시켰다. 따라서 알긴산이 콘택트렌즈의 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 하였다.

Racemic and enantiomeric effect of tartaric acid on the hydrophilicity of polysulfone membrane

  • Sharma, Nilay;Purkait, Mihir Kumar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7권3호
    • /
    • pp.257-275
    • /
    • 2016
  • The enantiomeric and racemic effects of tartaric acid (TA) on the properties of polysulfone (PSn) ultrafiltration membranes were studied in terms of morphology and hydrophilicity (HPCT) of membrane. Asymmetric membranes were prepared by direct blending of polyvinyl pyrrolidone (PVP) with D-TA and DL-TA in membrane casting solution. FTIR analysis was done for the confirmation of the reaction of PVP and TA in blended membranes and plain PSn membranes.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ESEM) and atomic force microscopy (AFM) were used for analyzing the morphology and structure of the resulting membranes. The membranes were characterized in terms of pure water flux (PWF), hydraulic permeability and HPCT. PWF increased from $52L/m^2h$ to $79.9L/m^2h$ for plain and D-TA containing PSn membrane, respectively. Water contact angle also found to be decreased from $68^{\circ}$ to $55^{\circ}$. In Additionally, permeation and rejection behavior of prepared membranes was studied by bovine serum albumin (BSA) solution. A considerable increase in BSA flux (from $19.1L/m^2h$ for plain membrane to $32.1L/m^2h$ for D-TA containing membrane) was observed. FESEM images affirm that the pore size of the membranes decreases and the membrane permeability increases from 0.16 to 0.32 by the addition of D-TA in the membrane. D-TA increases the HPCT whereas; DL-TA decreases the HPCT of PSn membrane. PVP (average molecular weight of 40000 Da) with D-TA (1 wt%) gave best performance among all the membranes for each parameter.

용매와 분산제의 종류에 따른 그래핀의 분산 거동 (Dispersion Behavior of Graphene with Different Solvents and Surfactants)

  • ;이향무;정인우
    • 접착 및 계면
    • /
    • 제20권2호
    • /
    • pp.53-60
    • /
    • 2019
  • 여러 종류의 용매와 상용화되어 있는 비공유결합성 분산제들을 이용하여 안정한 그래핀 분산액을 제조 하였다. 분산액은 3시간의 초음파 처리를 통하여 제조 되었으며, NMP 용매에서는 Tween 계열과 Span 계열과 Pluronic 계열의 분산제가 안정한 그래핀 분산액을 형성하였다. 또한 에탄올 용매에서는 질소를 포함한 분산제 종류가 안정한 분산액을 형성하였으며, 물과 dichloromethane에서는 모든 분산제에 대하여 대체로 불안정하였지만 poly(4-vinyl pyridine)과 sodium dodecyl sulfonate를 사용한 경우 일부 안정한 분산액을 형성 하였다. 또한 Poly(4-vinyl pyridine), poly(vinyl pyrrolidone), poly(2-(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를 이용하여 더 큰 용량의 그래핀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본 연구는 그래핀의 분산을 위한 여러 용매 및 분산제에 대한 기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ellulomonas속 원형질체 재생과 종간 융합조건 (Protoplast Regeneration and Interspecific Fusion of the Genus Cellulomonas)

  • 배무;조보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03-309
    • /
    • 1988
  • Cellulose를 이용할 수 있는 Cellulomonas속 균주의 종간 세포의 융합방법을 확립하기 위해 원형질체 재생 및 융합조건에 대해 검토하였다. Cellulomonas속 균주의 원형질체는 osmotic stabilizer를 포함하는 재생배지에서 유동성 한천배지로 중층하여 재생시켰고 재생 확인은 주사전자현미경으로 하였다. 원형질체 융합은 항생물질 내성과 영양요구성 돌연변이주의 유전자 표지에 확인하였다. Lysozyme을 처리하여 형성된 C. flavigena 원형 질체의 세포벽 재생은 osmotic stabilizer로 0.4M sorbitol을 포함하는 재생배지에서 약 15% 수준이었으며 여기에 Polyvinyl Pyrrolidone(PVP) 3% 첨가로 재생율을 약 3배정도 증가시킬 수 있었다. Cellulomonas속 균주의 변이주간의 원형질체 융합은 융합유도제로 PEG 6000을 취하여 최적농도 40% (w/v), 치적 처리시간 15분, Ca농도 25mM에서 약 2.0$\times$$10^{-4}$ - 4.0$\times$$10^{-4}$의 융합빈도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상분리 조절에 의한 PVDF막의 구조 변화 (Structural Changes of PVDF Membranes by Phase Separation Control)

  • 이세민;김성수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4권1호
    • /
    • pp.57-63
    • /
    • 2016
  •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평막 제조를 위하여 PVDF의 용매와 희석제로서 n-methyl-2-pyrrolidone (NMP)와 dibutyl-phthlate (DBP)를 각각 사용하여 열유도 상분리(thermally induced phase separation, TIPS)와 비용매유도 상분리(nonsolvent induced phase separation, NIPS)를 동시에 유도하였다. NMP와 DBP를 PVDF와 용융 혼합할 경우 TIPS 공정에서의 결정화 온도가 낮아졌고 NIPS 공정에서의 불안정 영역이 확대되었다. 용매와 희석제의 비율에 따라 상분리 메카니즘이 변화하였고 이에 따라 다양한 구조의 막이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dope 용액과 비용매의 접촉여부에 따라 지배적인 상분리 거동이 결정되었다. 열전달이 물질전달에 비하여 빠르게 이루어지므로 막의 표면은 NIPS에 의하여 지배를 받고 막의 내부는 TIPS에 의한 구조가 형성되었다. 또한 dope 용액의 급냉온도에 따라 상분리 메카니즘 및 상분리 속도가 변화하여 다양한 구조를 형성하였다.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수처리용 막 제조 조건 최적화 연구 (A Study on Optimization of Manufacture Conditions for Water Treatment Membrane by Using Electrospinning Method)

  • 이상현;최성열;장순웅;김성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9권8호
    • /
    • pp.456-46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전기방사를 통해 제조되는 dope solution의 원료인 다양한 Polymer [PAN (Polyacrylonitrile), PU (Polyuretane), PSU (Polysulfone)]와 용매[NMP (N-methyl-2 pyrrolidone), DMF (Dimethylformamide)]를 이용하여 다양한 물성의 나노섬유 물질을 구현하고, 이의 flux 특성과 SS (Suspended Solids) 분리 성능을 평가하여 제조된 섬유의 수처리 분리막으로서의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SEM 분석을 통해 제조된 소재의 표면 분석을 수행하여, 섬유의 직경, 균일성 및 직진성 확인을 통해 flux, SS 분리 성능의 원인을 확인하였다. 추후 나노섬유 수처리 분리막 제조공정에서의 첨가제 투입을 통해 막 파울링, 기계적 강도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촉매 기능이 첨가된 수처리용 분리막 제조를 위한 기초 인자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은 및 백금 나노 입자의 함량에 따른 안 의료용 소재의 물성 변화 (Physical Properties Variation of Ophthalmic Material in Content of Silver and Platinum Nanoparticle)

  • 예기훈;성아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310-316
    • /
    • 2010
  • 항균성을 포함한 나노 입자는 높은 활용성으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HEMA (2-hydroxyethylmethacrylate), NVP (N-vinyl pyrrolidone), MMA (methylmethacrylate)에 나노 은 및 백금을 첨가한 후 농도조건을 다양화 하여 $70^{\circ}C$에서 약 40분, $80^{\circ}C$에서 약 40분 마지막으로 $100^{\circ}C$에서 약 40분 동안의 열처리 공정을 거쳐 공중합 하였다. 사용된 나노 은과 백금 입자의 크기는 각각 10 ~ 20 nm를 나타내었다. 중합 후 생성된 고분자를 사용하여 물리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함수율 34.29 ~ 39.00%, 굴절률 1.422 ~ 1.430을 나타내었으며, 가시광선 투과율 78.8 ~ 92.5% 그리고 인장강도 값은 0.149 ~ 0.179 Kgf을 나타내었다. 나노 은과 백금 입자를 사용한 안 의료용 렌즈 재료는 콘택트렌즈 적용에 요구되는 기본적인 물성을 만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