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cell embryo

검색결과 938건 처리시간 0.031초

IVF, ICSI 또는 TESE-ICSI에서 수정을 유도한 난자의 배아 발생능력 및 임신율 (Embryonic Developmental Capacity and Pregnancy Rates of Fertilized Oocytes in IVF, ICSI and TESE-ICSI Cycles)

  • 박기상;박윤규;송해범;이택후;전상식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1권3호
    • /
    • pp.169-176
    • /
    • 2004
  •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and compare the embryonic developmental capacity and pregnancy rates in conventional in vitro fertilization (IVF) and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ICSI) with ejaculated sperm or testicular sperm cycles. Materials and Methods: Fertilization was examined in the following morning after IVF (group I), ICSI (group II) or TESE-ICSI cycles (group III). Fertilized oocytes were co-cultured with Vero cells until embryo transfer (ET). On day 2 and $5{\sim}7$, grades of embryos (<4- or $\geq$4-cell) and blastocysts (BG1, 2, 3 or early) were evaluated. Clinical pregnancy rate was determined by detecting G-sac with transvaginal ultrasonogram. We analyzed the results by $X^2$ and Student's t-test and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P value was less than 0.05. Results: Fertilization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group I ($79.0{\pm}21.2%$) than in group II and III ($56.8{\pm}21.6%$ and $36.7{\pm}25.3%$). Cleavage and blastulation rate of group I ($95.8{\pm}13.8%$ and $59.5{\pm}25.3%$)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ose of group III ($83.4{\pm}18.6%$ and $40.4{\pm}36.5%$). Clinical pregnancy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group I and II (40.7% and 41.7%) than that in group III (12.5%).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rates of multiple pregnancy and abortion among three groups. Embryonic implantation rate was higher in group I ($15.1{\pm}20.2%$, p<0.05) and II ($14.7{\pm}20.6%$, NS) than that in group III ($5.1{\pm}15.6%$). However, embryonic implantation rate was increased in ET with blastocyst(s) among three groups. Conclusions: Fertilized oocytes obtained from TESE-ICSI were harder to be successfully cultured to blastocyst stage for 5$\sim$7 days than that from IVF cycles. However, all blastocyst(s) ET increased the embryonic implantation rate equally in IVF, ICSI and TESE-ICSI cycles.

WSF(Water Soluble Fraction) 가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Ino, 1952) 의 유생 및 치패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water soluble fraction of crude oil on th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Ino, 1952) early life stage)

  • 진영국;정춘구;오봉세;전제천;신윤경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57-163
    • /
    • 2010
  • 원유의 WSF가 북방전복의 유생 및 치패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발생소요시간, 발생률 및 부착률, 생존율, 유생 및 부착치패의 각성장 그리고 수온에 따른 치패의 생존율 및 아가미의 조직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발생 소요시간은 대조구에 비해 노출구에서 느리게 나타났다. 발생률 및 부착률은 0.4 mg/L 이상의 농도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P < 0.05). 북방전복 유생의 생존율은 0.4 mg/L 이상에서, 부착치패는 2.4 mg/L 이상에서 유의적인 감소가 나타났다 (P < 0.05). 각성장은 2.4 mg/L 이상의 농도에서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였다 (P < 0.05). 수온에 따른 치패의 생존율은 $17^{\circ}C$$25^{\circ}C$ 모두 노출농도에서 감소하였으며, 특히 고수온에서 전체적인 생존율이 낮게 나타났다. 또한 아가미에서 나타난 조직학적 변화는 주로 새엽 상피세포 핵의 위축 및 상피세포의 공포화 그리고 상피층의 괴사를 동반한 붕괴 등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17^{\circ}C$에 노출된 개체들 보다는 고수온인 $25^{\circ}C$에 노출된 개체들에서 심하게 나타났다.

거대배아미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및 항변이원성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s from Giant Embroynic Rices)

  • 강미영;이연리;고희종;남석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1호
    • /
    • pp.61-66
    • /
    • 2004
  • 신선찰거대배아미, 화청거대배아미 및 남풍거대배아미 등 거대배 돌연변이 계통 쌀 3종류 및 일반미의 70%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여, 이들의 항산화 활성 및 항변이원성을 비교 검정하였다. 거대배아미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DPPH radical 및 Fenton 반응에 의해서 유도되는 hydroxy radical의 소거활성, hypoxanthine/xanthine oxidase system에서 생성되는 활성산소종인 superoxide radical의 소거활성, linoleic acid자동산화에 대한 지질 과산화 억제활성 및 토끼 적혈구 막지질의 과산화 억제활성 둥으로써 검정하였으며, 항변이원성은 E. coli PQ 37 균주를 사용하여 화학적 변이원 mitomycin C에 대한 변이원성 억제효과를 SOS chromotest에 의해서 검정하였다. 일반미 품종에 비해서 거대배아미 품종의 항산화 활성 및 항변이원성이 모두 높았으며, 거대배아미 품종 중에서는 남풍거대배아미가 가장 효과적인 경향이 있었다. 남풍거대배아미의 DPPH radical, superoxide radical과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 그리고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은 일반미보다 각각 2.3배, 3.3배, 1.7배 및 2.5배 정도까지 더 높았다.

Nitric Oxide 화합물 첨가가 돼지 체외수정란의 체외발육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nitric Oxide Compounds on the Development of Porcine IVM/IVF Embryos)

  • 박기은;박춘근;김정익;정희태;박동헌;양부근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63-69
    • /
    • 2001
  • 본 연구는 돼지 미성숙 난포란을 체외에서 성숙, 수정시킨 후, 체외배양액내에 NO Scavenger인 hemoglobin과 억제제인 L-NAME의 첨가 배양이 돼지 체외수정란의 체외발육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였다. 체외배양 44시간에 NCSU 배양액에 hemoglobin을 각각 0, 1 및 5$\mu\textrm{g}$/$m\ell$가 첨가된 처리구에서 상실배기 이상 발육된 수정란의 체외 발육율은 각각 52.4%, 57.6% 및 57.4%로써 hemoglobin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다소 높은 발육성적을 나타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P〉0.05). 체외배양 96시간에 NCSU23 배양액에 hemoglobin을 0, 1 및 5$\mu\textrm{g}$/$m\ell$ 첨가한 처리구에서 상실배이상 발육된 체외 발육성적은 각각 66.2%, 70.8% 및 62.8%로 1$\mu\textrm{g}$/$m\ell$ hemoglobin을 첨가한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P〉0.05). 체외배양 44시간에 NCSU23 배양액에 L-NAME를 각각 0, 10, 50 및 100mM을 첨가한 처리구에서 상실배기 이상 발육된 체외발육율은 각각 65.2%, 73.5%, 70.1% 및 58.8%로 L-NAME를 10mM첨가한 처리구와 50mM 첨가한 구가 무 첨가구와 100mM 첨가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성적을 얻었다 (P<0.05). 각 처리구에서 생산된 배반포기수정란의 세포수에는 커다란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 PDF

돼지 난모 세포의 Ethanol 처리에 의한 단위 발생에 있어서 극체 방출란과 분할란 선별에 따른 배발달율 비교 (Prediction of Parthenogenetic Developmental Potential by Polar Body Extrusion and First Cleavage on In Vitro Maturation and Development of Porcine Follicular Oocytes)

  • 김현종;조상래;최창용;최선호;한만희;손동수;이승수;상병돈;류일선;김인철;김성재;김일화;김상근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21-126
    • /
    • 2007
  • 본 연구에서 돼지 난포란에서 채취된 난모 세포들을 체외성숙 후 형태적으로 선별하거나 극체 방출란을 선별하여 활성화 처리 후 48시간째에 분할란을 선별할 때 배발달율이 어느정도 향상되는지를 검토하였다. 난모 세포를 48시간 성숙 배양 후 형태적 선별과 극체의 방출 유무를 검사하고, 선별된 난모 세포들을 $16{\sim}18$시간 추가 배양한 후 7% ethanol로 활성화시키고 $5{\mu}g/ml$ cytochalasin B에 5시간 노출 후 PZM-5 배 양액으로 7일간 배양하였으며, 배양 중 4일째 5% FBS를 추가하였다. 48시간 성숙 후 형태적으로 선별하였을 때, 21.9%가 제거되고 78.1%가 선별되었으며, 극체 방출란을 선별하였을 때, 32.1%가 제거되고, 67.9%가 선별되었다. 형태적으로 선별한 난자를 활성화 처리하여 48시간째에 분할율을 검사하였을 때, 15.8%가 분할하지 않았으며, 52.6%가 정상 분할하였고, 31.6%가 과분할하였으며, 극체 방출란을 선별하여 활성화 처리 후 분할율을 검사하였을 때 7.1%가 분할하지 않았으며, 73.1%가 정상 분할하였고, 19.8%가 과분할하였다. 체외 성숙된 난모세포를 형태적으로 선별하고 활성화 처리 후 분할란을 선별하지 않았을 때, 16.7%가 배반포기로 발달하였고, 형태적으로 선별하고 분할란을 추가로 선별해 배양했을 때 31.7%가 배반포기로 발달하였으며, 극체 방출란만을 선별하여 활성화 처리 후 분할란을 선별하지 않았을 때 39.0%가 배반포기로 발달하였고, 극체 선별과 분할란 선별을 하였을 때 배반포기 발달율이 49.0%에 이르렀다. 48시간째 미분할 난자와 정상 분할 난자, 과분할 난자를 배양하였을 때 48시간째 미분할 난자는 배반포기로 발달하지 못했으며, 정상 분할 난자는 42.5%, 과분할 난자는 4.5%가 배반포기로 발달하였다. 분할하는 시기를 활성화처리 후 12시간 간격으로 조사하였을 때 $0{\sim}12$시간 사이에 4.1%가 분할하였고, $12{\sim}24$시간 사이에 68.6%, $24{\sim}36$ 시간 사이에 19.1%, $36{\sim}48$시간 사이에 2.3%, 48시간까지 미분할 난자가 5.9%였으며, $0{\sim}12$시간 사이에 분할한 난자나 $36{\sim}48$시간 사이에 분할한 난자에서 배반포기로 발달한 난자는 없었으며, $12{\sim}24$시간 사이에 분할한 난자의 39.1%, $24{\sim}36$시간 사이에 분할한 난자의 9.5%가 배반포기로 발달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극체 방출란만을 선별하여 $12{\sim}36$시간 사이에 분할하는 난자들만을 선별하여 배양한다면 배발생능을 가진 난자들의 비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클라인펠터 증후군 환자에서 착상전 유전진단의 결과 (Outcome of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in Patients with Klinefelter Syndrome)

  • 김진영;임천규;전진현;박소연;서주태;차선화;궁미경;강인수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1권4호
    • /
    • pp.253-260
    • /
    • 2004
  • Objectives: Klinefelter syndrome is the most common genetic cause of male infertility and presents with 47, XXY mainly or 46, XX/47, XXY mosaicism. It is characterized by hypogonadism and azoospermia due to testicular failure, however, sporadic cases of natural pregnancies have been reported. With the development of testicular sperm extraction (TESE) and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ICSI), sperm can be retrieved successfully and ART is applied in these patients for pregnancy.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risk of chromosome aneuploidy for both sex chromosome and autosome is increased in the sperms from 47, XXY germ cells. Considering the risk for chromosomal aneuploidy in the offspring,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PGD) could be applied as a safe and more effective treatment option in Klinefelter syndrom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outcome of PGD cycles by using FISH for sex chromosome and autosome in patients with Klinefelter syndrome.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 2001 to Dec. 2003, PGD was attempted in 8 cases of Klinefelter syndrome but TESE was failed to retrieve sperm in the 3 cases, therefore PGD was performed in 8 cycles of 5 cases (four 47, XXY and one 46, XY/47, XXY mosaicism). In one case, ejaculated sperm was used and in 4 cases, TESE sperm was used for ICSI. After fertilization, blastomere biopsy was performed in $6{\sim}7$ cell stage embryo and the chromosome aneuploidy was diagnosed by using FISH with CEP probes for chromosome X, Y and 17 or 18. Results: A total of 127 oocytes were retrieved and ICSI was performed in 113 mature oocytes. The fertilization rate was $65.3{\pm}6.0%$ (mean$\pm$SEM) and 76 embryos were obtained. Blastomere biopsy was performed in 61 developing embryos and FISH analysis was successful in 95.1% of the biopsied blastomeres (58/61). The rate of balanced embryos for chromosome X, Y and 17 or 18 was $39.7{\pm}6.9%$. The rate of aneuploidy for sex chromosome (X and Y) was $45.9{\pm}5.3%$ and $43.2{\pm}5.8%$ for chromosome 17 or 18, respectively. Embryo transfer was performed in all 8 cycles and mean number of transferred embryos was $2.5{\pm}0.5$. In 2 cases, clinical pregnancies were obtained and normal 46, XX and 46, XY karyotypes were confirmed by amniocentesis, respectively. Healthy male and female babies were delivered uneventfully at term. Conclusion: The patients with Klinefelter syndrome can benefit from ART with TESE and ICSI. Considering the risk of aneuploidy for both sex chromosome and autosome in the sperms and embryos of Klinefelter syndrome, PGD could be offered as safe and more effective treatment option.

소 체세포 핵이식기술의 효율 증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Improvement of Bovine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Technique)

  • 양윤희;최종엽;이상영;박춘근;양부근;김정익;정희태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33-240
    • /
    • 2003
  • 본 연구는 난자의 성숙시간, PHA-P 처리 또는 활성화 방법이 소 미수정란의 탈핵, 재구축란의 융합, 활성화 또는 체외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미수정란은 성숙 후 16∼24시간에 탈핵을 실시하고, PHA-P 처리 또는 무처리된 귀 피부세포를 이식 후 전기융합을 실시하였다. 후자의 경우는 융합 전에 PHA-P로 15분간 배양하였다. 융합란은 A23187과 CHXM 혹은 DMAP의 병용처리에 의해 활성화를 유기하고, 7∼9일간 체외배양하였다. 탈핵율은 성숙 후 16∼18시간에 실시한 경우(70.2∼92.3%)가 성숙 후 20∼24시간(44.3∼3.4%)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M-II기 염색체의 위치는 성숙배양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제 1 극체와의 간격이 멀어졌다. Donor 세포 혹은 재구축란에 PHA-P를 처리한 경우는 무처리구에 비하여 융합율이 향상되었다(P<0.05). 핵이식배의 분할율 및 배반포 발달율은 A23187+DMAP 처리구에서 78.6%와 32.9%로, A23187+CHXM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본 실험 결과는 성숙후 18시간에 탈핵을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donor세포 또는 융합 전 재구축란의 PHA-P 처리가 융합율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융합란을 A23187과 DMAP으로 병용처리 함으로써 난자의 활성화 및 배반포 발육율을 향상시켜, 결과적으로 핵이식기술의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태아 섬유아세포로 핵치환된 소 난자의 핵의 재구성과정과 체외 배발달 (Nuclear Remodeling and In Vitro Development of Bovine Oocytes Following Nuclear Transfer of Bovine Fetal Fibroblasts)

  • Um, J. H.;S. J. Uhm;Kim, N-H;Lee, H. T.;K. S. Chung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9-67
    • /
    • 2000
  • 본 연구는 핵이 제거된 소난자 내에 소의 태아 섬유아세포를 이식한 후 난자의 발달능력을 조사하였다. 소 태아 섬유아세포는 45일된 응성 태아로부터 분리한후 MitoTracker로 염색하고 세포 주기를 동기화시키지 않은 세포를 핵이 제거된 소난자의 위란강 내에 이식하였다. 섬유아세포와 소난자의 복합체는 전기 자극을 주어 융합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융합된 난자는 Calcium ionophore와 6-DMAP를 이용하여 난활성을 유도시킨 다음 CR1aa 에서 배양하였다. 핵치환 된 난자의 핵은 핵질 응축과정, 팽대과정, 전핵 형성과정이 일어났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재구성된 난자는 분열 과정을 거쳐 18∼26시간 사이에는 2-세포기로 발달하였다. 섬유아세포의 미토콘드리아는 핵치환시 난자 내로 이전되었는데 이것들은 난자 내에서 빠르게 사라지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핵융합 후 8시간째에는 섬유아세포의 미토콘드리아가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2-세포기로 분열된 난자의 21% 가 이식 가능한 단계인 배반포 단계까지 발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소의 태아 섬유아세포가 탈핵된 소난자 내에서 성공적으로 재분화과정을 거치며, 이렇게 재조합 된 수정란은 배반포 단계까지 발달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 PDF

헴프종자 자엽세포의 저장과립에 관한 형태학적 연구 (Morphological Study of Storage Granules of Cotyledon Cells in Cannabis sativa cv. Chungsam)

  • 이나영;김동민;김은수
    • Applied Microscopy
    • /
    • 제41권1호
    • /
    • pp.61-67
    • /
    • 2011
  • 헴프종자는 보통 길이 2~6 mm, 직경 2~4mm의 크기를 갖는 무배유종자로서 두껍고 단단한 외종피와 얇은 녹색의 내종피에 의해 둘러싸여 있었다. 외종피의 외부는 과피가 이를 전체적으로 둘러싸고 있었으며 과피의 표면은 부분적으로 목화된 각두가 덮고 있었다. 파편상의 각두는 과경의 부착흔적인 함몰된 기부쪽에서 합쳐있었다. 종피의 내부에는 2장의 자엽과 하배축-유근 주축으로 구성된 U자형의 구부러진 배가 발달하였다. 배의 표피조직은 크기가 다른 장방형 세포들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자엽을 이루는 세포는 $1.8{\sim}5.0{\mu}m$의 단백질과립과 $0.8{\sim}3.0{\mu}m$의 지질과립이 분포하였다. 단백질과립의 중심부에는 전자밀도가 높은 globoid crystal 구조가 형성되어 있었고, 내부는 격자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한편, 단백질과립의 가장자리는 전자밀도가 낮은 이질적인 matrix로 구성되어 있었다. Globoid의 단백질과립은 이후 주변부로부터 분해되는 양상이 나타났다. 단백질과립이 분해가 일어난 뒤 지질과립은 불규칙한 형태로 분해, 소실되었다. 이들은 이후 단백질 과립과 융합되어 큰 액포를 형성하였다.

Cryopreservation of in vitro matured oocytes after ex vivo oocyte retrieval from gynecologic cancer patients undergoing radical surgery

  • Park, Chan Woo;Lee, Sun Hee;Yang, Kwang Moon;Lee, In Ho;Lim, Kyung Teak;Lee, Ki Heon;Kim, Tae Jin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43권2호
    • /
    • pp.119-125
    • /
    • 2016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port a case series of in vitro matured (IVM) oocyte freezing in gynecologic cancer patients undergoing radical surgery under time constraints as an option for fertility preservation (FP). Methods: Case series report. University-based in vitro fertilization center. Six gynecologic cancer patients who were scheduled to undergo radical surgery the next day were referred for FP. The patients had endometrial (n=2), ovarian (n=3), and double primary endometrial and ovarian (n=1) cancer. Ex vivo retrieval of immature oocytes from macroscopically normal ovarian tissue was followed by mature oocyte freezing after IVM or embryo freezing with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Results: A total of 53 oocytes were retrieved from five patients, with a mean of 10.6 oocytes per patient. After IVM, a total of 36 mature oocytes were obtained, demonstrating a 67.9% maturation rate. With regard to the ovarian cancer patients, seven IVM oocytes were frozen from patient 3, who had stage IC cancer, whereas one IVM oocyte was frozen from patient 4, who had stage IV cancer despite being of a similar age. With regard to the endometrial cancer patients, 15 IVM oocytes from patient 1 were frozen. Five embryos were frozen after the fertilization of IVM oocytes from patient 6. Conclusion: Immature oocytes can be successfully retrieved ex vivo from macroscopically normal ovarian tissue before radical surgery. IVM oocyte freezing provides a possible FP option in patients with advanced-stage endometrial or ovarian cancer without the risk of cancer cell spillage or time del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