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a]pyrimidine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3초

Identification of small molecules that inhibit the histone chaperone Asf1 and its chromatin function

  • Seol, Ja-Hwan;Song, Tae-Yang;Oh, Se Eun;Jo, Chanhee;Choi, Ahreum;Kim, Byungho;Park, Jinyoung;Hong, Suji;Song, Ilrang;Jung, Kwan Young;Yang, Jae-Hyun;Park, Hwangseo;Ahn, Jin-Hyun;Han, Jeung-Whan;Cho, Eun-Jung
    • BMB Reports
    • /
    • 제48권12호
    • /
    • pp.685-690
    • /
    • 2015
  • The eukaryotic genome is packed into chromatin, which is important for the genomic integrity and gene regulation. Chromatin structures are maintained through assembly and disassembly of nucleosomes catalyzed by histone chaperones. Asf1 (anti-silencing function 1) is a highly conserved histone chaperone that mediates histone transfer on/off DNA and promotes histone H3 lysine 56 acetylation at globular core domain of histone H3. To elucidate the role of Asf1 in the modulation of chromatin structure, we screened and identified small molecules that inhibit Asf1 and H3K56 acetylation without affecting other histone modifications. These pyrimidine-2,4,6-trione derivative molecules inhibited the nucleosome assembly mediated by Asf1 in vitro, and reduced the H3K56 acetylation in HeLa cells. Furthermore, production of HSV viral particles was reduced by these compounds. As Asf1 is implicated in genome integrity, cell proliferation, and cancer, current Asf1 inhibitor molecules may offer an opportunity for the therapeutic development for treatment of diseases.

제초제(除草劑) Bensulfuron methyl(DPX-F5384)의 작용특성(作用特性)에 관한 연구(硏究)- 제1보(第1報) 기계이앙답(機械移秧畓)에서의 약해(藥害) 및 약효(藥效) 변동요인(變動要因) (Studies on the Herbicidal Properties of Bensulfuron methyl(DPX-F5384) -1. Variation of Phytotoxicity and Weeding Effect Caused by Herbicide Treatment in Mechanically Transplanted Paddy Field)

  • 양환승;장익선;마상용;정수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34-145
    • /
    • 1986
  • 신규(新規) 제초제(除草劑) bensulfuron methyl(DPX-F5384)의 약해(藥害) 및 제초효과(除草效果) 변동요인(變動要因)을 구명(究明)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이앙묘(移秧苗)(3.5 엽묘(葉苗), 삼강(三綱)벼)에 대하여 bensulfuron methyl 3~6g a.i./10a의 처리약량수준(處理藥量水準)에서는 대체로 안전(安全)하고 그 이상(以上)으로 약량(藥量)이 증가(增加)되면서 약해(藥害)는 약간식(若干式) 증대(增大)되었으나, 12g q.i./10a 처리(處理)에서도 그 약해(藥害)는 경미(輕微)하였다. 처리시기(處理時期), 누수량(漏水量), 온도(溫度), 이앙심도(移秧深度), 토양특성(土壤特性)의 차이(差異)에 따른 약해변동(藥害變動)은 거의 없었다. 품종간(品種間)에는 인도형(印度型) ${\times}$ 일본형(日本型)(삼강(三綱)벼) 벼보다 일본형(日本型)(동진벼) 벼에서 약해(藥害)가 다소(多少) 증대(增大)되었다. 2. Bensulfuron methyl은 일년생잡초(一年生雜草) 대부분(大部分)과 다년생잡초(多年生雜草) 중(中) 너도방동사니, 가래에 대해서는 탁월한 방제효과(防除效果)가 있고 올미, 벗풀, 올방개에 대해서도 그 효과(效果)가 우수(優秀)하였다. 일년생잡초중(一年生雜草中) 피해 대해서는 만족(滿足)스런 효과(效果)를 기대(期待)할 수 없었다. 본제(本劑)의 최적처리시기(最適處理時期)는 이식(移植) 5일후처리(日後處理)고 생각되지만 그보다 처리시기(處理時期)가 다소(多少) 빠르거나 늦어져도(3-10DAT) 효과(效果)의 변동(變動)은 적었다. 또한 토양(土壤)의 특성차이(特性差異)에 따른 효과변동(效果變動)도 크지 아니하였다. 그러나 누수량(漏水量)이 증가(增加)될 때와 온도(溫度)가 낮을 때 초종(草種)에 따라서는 효과(效果)가 약간(若干) 감소(減少)되었다.

  • PDF

젓갈등속(等屬)의 정미성분(呈味成分)에 관(關)한 미생물학적(微生物學的) 및 효소학적(酵素學的) 연구(硏究) (Microbiological and Enzymological Studies on the Flavor Components of Sea Food Pickles)

  • 이계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1권
    • /
    • pp.1-27
    • /
    • 1969
  • 우리나라에서 알려진 젓갈 30여종(餘種)에서 그중(中) 대표적(代表的)인 것으로 알려진 조기젓. 조개젓(고식(高食) 염성(鹽性)인 20%내외(內外))과 굴젓, 오징어젓(저식염성(低食鹽性)인 10%내외(內外))의 4종(種)을 시료(試料)로하여 일반성분(一般成分) 분석(分析), microflora, 주요발효미생물(主要醱酵微生物)의 동정(同定) 및 효소(酵素)의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하는 동시(同時)에 숙성(熟成)에 관여(關與)하는 미생물(微生物)의 효소작용(酵素作用)이 정미성(呈味性) 5’-mononucleotide 및 amino 산(酸)의 생성(生成)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4종(種) 젓갈에 대(對)한 microflara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a) 젓갈담금 $1{\sim}2$개월(個月)의것은 생균수(生菌數) total counts가 $10^7$이었으며 담금후(後) 6개월(個月)의것은 $10^4$이였다. b) 젓 갈 담금 $1{\sim}2$개월(個月)의것은 Micrococcus 속(屬)이 $10{\sim}20%$, Brevibacterium 속(屬)이 $10{\sim}20%$, Sarcina 속(屬)이 $0{\sim}30%$, Leuconostoc 속(屬) $20{\sim}30%$, Bacillus 속(屬)이 30%내외(內外) Pseudomonas 속(屬)이 $0{\sim}10%$ Flavobacterium 속(屬)이 $0{\sim}10%$ Yeast가 $0{\sim}20%$인 분포상(分布相)을 나타냈다. c) 젓갈숙성(熟成)에 관여(關與)하는 미생물(微生物)로서 초기이후(初期以後)에는 주(主)로 내염성(耐鹽性) Bacillus subtilis, Leuconostoc mesenteroides, Pediococcus halophilus, Sarcina litoralis 등(等)임을 동정(同定)하였고 이들의 효소활성(酵素活性)이 젓갈숙성(熟成)을 지배(支配)하는 요소(要素)임을 알 수 있었다. d) 숙성(熟成)에 관여(關與)하는 세균중(細菌中)에 Sarcina litoralis 8­14 및 8-16. 양균주(兩菌株)는 영양요구성(榮養要求性)이 현저(顯著)하여 전자(前者)는 purine, pyrimidine base 및 cystine 후자(後者)는 purine, pyrimidine base 및 glutamic acid가 공존(共存)하여야 생육(生育)이 가능(可能)하였다. (2) 젓갈원료(原料) 및 젓갈에서 분리(分離)한 관여미생물(關與微生物)에 대(對)하여 효소특성(酵素特性)을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a) 젓갈원료중(原料中)에 protease는 소량(少量) 존재(存在)하나 식염농도(食鹽濃度) 7%에서 protease 활성(活性)이 현저(顯著)하게 조해(阻害)를 받아 그 효소활성(酵素活性)의 $30{\sim}60%$나 감소(減少)하였다. b) 내염성세균(耐鹽性細菌)인 Bacillus subtilis 7-6, 11-1, 3-6 9-4 등(等) 4 균주(菌株)는 complete media에서 생성(生成)한 protease 활성(活性)은 식염농도(食鹽濃度) 7%에서 약간 조해(阻害)를 받아 활성(活性)이 $10{\sim}30%$가 감소(減少)하였고 Sarcina litoralis 8-14 및 8­16 양균주(兩菌株)는 동배지(同培地)에서 생성(生成)한 protease 활성(活性)은 식염농도(食鹽濃度) 7%에서 그 발효활성(醱酵活性)의 $10{\sim}20%$가 감소(減少)하였다. c) 젓갈 원료중(原料中)의 단백질(蛋白質)은 자가효소(自家酵素)에 의한것보다 주(主)로 젓갈숙성중(熟成中) 관여미생물(關與微生物)의 protease에 의(依)한 가수분해(加水分解)로 유리(遊離) amino 산(酸)이 생성(生成)됨을 알 수 있었다. d) 젓갈원료(原料) 및 젓갈의 RNA-depolymerase는 젓갈중(中) RNA를 nucleoside 및 유리인산(遊離燐酸)까지 분해(分解)하므로 정미성(呈味性) 5'-mononucleotide로서 축적(蓄積)되기 어렵다 e) 조개젓에서 분리(分離)한 Bacillus subtilis 3-6 균주(菌株)가 생성(生成)한 효소(酵素)는 RNA를 분해(分解)하여 5’-mononucleotide로 축적(蓄積)하므로 이 균주(菌株)가 생성(生成)한 RNA 분해효소(分解酵素)는 5’-phosphodiesterase임을 밝혔다. f) Bacillus subtilis 3-6 strain의 효소생성배지중(酵素生成培地中)에 corn steep liquor 0.5% 농도(濃度)로 첨가(添加)한 구(區)와 조개젓 0.5% 농도(濃度)로 첨가(添加)한 구(區)에서 5’-phosphodiesterase 생성증가(生成增加)를 보았으므로 corn steep liquor 및 조개젓 성분(成分)이 각각(各各) 5’-phosphodiesterase 생성증가제(生成增加劑)가 됨을 밝혔으며 또한 이 효소(酵素)는 10%의 식염농도(食鹽濃度)에서 활성조해(活性阻害)를 받아 $10{\sim}30%$에 해당(該當)되는 활성(活性)이 감소(減少)되었고 식염농도(食鹽濃度) 20%에서 이 효소활성(酵素活性)의 $40{\sim}60%$가 감소(減少)함을 나타냈다. 그리고 이 균주(菌株)의 5’­phosphodiesterase에 의(依)하여 젓갈중(中) 5’-mononucleotides가 생성(生成)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3) 젓갈의 유리(遊離) amino 산(酸)을 Autoanalyzer로 정량(定量)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a) 조개젓은 산성(酸性) amino 산(酸)인 glutamic acid, asp artic acid 함량(含量)이 다른 젓갈보다 $2{\sim}10$배(倍) 정도(程度)로 현저하게 많아서 조개젓의 구수한 맛이 발현(發現)되는 것이라고 생각(生覺)된다. b) 조기젓에는 basic amino acid인 arginine, histidine함량(含量)이 다른 젓갈보다 특이(特異)하게 많았다. c) 오징어젓은 함류황(含硫黃) amino산(酸)인 cystine함량(含量)이 다른 젓갈의 $17{\sim}130$배(倍), methionine함량(含量)이 $7{\sim}17$배정도(倍程度)로 현저하게 많았다. d) 굴젓에는 필수(必須) amino 산(酸)인 lysine, threonine iso leucine, leucine 함량(含量)이 다른 젓갈보다 현저하게 많을 뿐아니라 또한 감미성(甘味性) amino 산(酸)인 alanine 함량(含量)이 다른 젓갈들보다 4배(倍), glycine 함량(含量)이 $3{\sim}14$배정도(倍程度)로 함유(含有)하고 있어 이것이 굴젓 특유(特有)의 단맛을 발현(發現)하는 것이라 생각(生覺)된다. (4) 4종(種) 젓갈에 대(對)한 5'-mononucleotide를 ion exchange column chromatography로 측정(測定)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a) 조개젓에는 5'-adenylic acid, 3’-adenylic acid 가 많이 들어있고 5'-inosinic acid가 미량(微量)들어 있다. b) 굴젓에는 5'-adenylic acid와 3’-adenylic acid가 다른 mononucleotides보다 현저하게 많았다. c) 오징어젓에는 5'-adenylic 및 3'-adenylic acid만이 함유(含有)되어 있는데 이것은 패류(貝類)의 젓갈들과 같 이 무척추연체동물(無脊椎軟體動物)이며 이것들은 adenylic deaminase가 결여(缺如)되어 있어 mononucleotide중(中) adenylic acid의 함량(含量)이 높아 adenylic acid-type 임을 알았다. d) 조기젓 중(中)에는 5'-inosinic acid 함량(含量)이 다른젓갈보다 현저하게 많았으므로 이것은 다른 척추동물(脊椎動物)의 어육(魚肉)이나 수육(獸肉)과 같이 adenylic deaminase가 있어 5'-inosinic acid가 많은 inosinic acid-type임을 알았다. (5) 정미성(呈味性) amino 산(酸) 및 5'-mononucleotide의 조성(組成)과 함량(含量)으로 맛의 조화성(調和性)을 비교(比較)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a) 조기젓은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가 풍부(豊富)하고 소량(小量)의 5'-inosinic acid가 공존(共存)된 상태(狀態)이므로 정미성분조성(呈味成分組成)과 함량(含量)이 잘 조화(調和)되어 구수한 맛의 상승작용(相乘作用)이 적당(適當)하게 발현(發現)됨을 구명(究明)하였다. b) 조개젓의 맛은 정미성(呈味性) 5’-mononucleotides에서 유래(由來)되는것 보다는 현저하게 많이 들어있는 glutamic acid 및 aspartic acid에 기인됨을 알았다.

  • PDF

광반응과 광촉매 반응을 이용한 Diazinon 농약의 분해 기전과 독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gradation Mechanism of Diazinon and the Acute Toxicity Assessment in Photolysis and Photocatalysis)

  • 오지윤;김문경;손현석;조경덕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11호
    • /
    • pp.1087-1094
    • /
    • 2008
  • Diazinon은 전 세계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유기인계 살충제이며 특히 한국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반응과 광촉매 반응을 이용하여 diazinon의 분해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실험의 결과, diazinon은 인공 자외선의 경우 광반응과 광촉매 반응에서 모두 효과적으로 분해되었고, 특히 광촉매 반응시 광반응보다 더 빠른 분해 효율을 보였으나, TOC는 잘 제거되지 않았다. Diazinon의 광촉매 반응에서 발생한 이온 부산물은 질소의 경우 약 40%가 NO$_3^-$로 회수되었고, 인의 경우는 5% 정도만이 PO$_4{^{3-}}$로 회수되었다. 이에 반해, SO$_4{^{2-}}$이온은 광반응의 경우는 50%, 광촉매 반응의 경우 100%의 회수율을 보였다. 광반응이나 광촉매 반응에 의해서 diazinon의 이온성 부산물의 회수율과 TOC의 분해율이 낮은 이유는 반응에 의한 유기부산물의 생성을 의미한다. 이의 확인을 위한 GC/MS와 LC/MS의 분석 결과 diazinon의 광반응 및 광촉매 반응에 의한 부산물로 diazoxon과 2-isopropyl-4-methyl-6-hydroxy pyrimidine (IMP)이 유기 부산물로 확인되었다. 광촉매 반응에 의하여 처리된 용액의 잔류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D. magna를 이용하여 처리수의 급성 독성을 알아본 결과, 초기 diazinon의 EC$_{50}$값은 69.6%, 광촉매 반응에 의한 180분 후의 처리수에서는 13.2%로 오히려 독성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최종 처리수인 360분 후의 처리수에서는 독성이 감지되지 않았다. 이는, 광촉매를 통한 처리시, 독성이 diazinon보다 큰 유기부산이 생성 되었다가 계속 반응이 진행되면서 이들 부산물도 분해되거나 무기화됨을 의미한다.

보온절충(保溫折衷)못자리에서 해독제(解毒劑) Fenclorim이 벼에 대한 제초제(除草劑)의 약해경감(藥害輕減)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Fenelorim on Reducing Herbicide Injury of Rice Plaints in Vinyl-covered Subirrigated Seedbed)

  • 이현룡;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37-243
    • /
    • 1988
  • 벼의 보온절쇠(保溫折衰)못자리에서 약해(藥害)가 발생(發生)되기 쉬운 제초제(除草劑)에 대한 약해경감(藥害輕減) 가능성을 검토하기 의하여 해독제(解毒劑) fenclorim을 공시(供試)하여 benthiocarb, butachlor 및 pretilachlor에 대한 약해경감효과(藥害輕減效果)를 보온절쇠(保溫折衰)못자리 조건(條件)에서 조사(調査)하였다. 1. Benthiocarb 210, 315g ai/10a, pretilachlor 60, 90g ai/10a와 fenclorim 10g ai/10a 이상의 혼합처리(混合處理)에서, 그리고 butachlor 180, 270 g ai/10a와 fenclorim 20g ai/10a 이상의 혼합처리(混合處理)에 의해서 약해(藥害)가 경감(輕減)되어 입묘율(立苗率)이 증가되었다. 2. Benthiocarb 210g ai/10a에 fenclorim 10 g ai/10a 이상을 혼합처리(混合處理)함에 따라, 그리고 benthiocarb 315g ai/10a, butachlor 180, 270 g ai/10a 혹은 pretilachlor 60, 90g ai/10a에 fenclorim 30g ai/10a 를 혼합처리(混合處理)함에 따라 약해(藥害)가 경감(輕減)되어 분벽수(分蘗數가 증가되었다. 3. Benthiocarb 210g ai/10a, butachlor 180, 270g ai/10a에 fenclorim 20g ai/10a의 혼합처리(混合處理)에서, 그리고 benthiocarb 315g ai/10a, pretilachlor 60, 90g ai/10a와 fenclorim 30g ai/10a 이상의 혼합처리(混合處理)에 의해서 약해(藥害)가 경감(輕減)되어 초장(草長)이 증가 되었다. 4. Benthiocarb 210, 315g ai/10a, butachlor 180, 270g ai/10a와 fenclorim 10g ai/10a 이상의 혼합처리(混合處理)에 의해서, 그리고 pretilachlor 60, 90 g ai/10와 fenclorim 30g ai/10a 이상의 혼합처리(混合處理)에 의해서 약해(藥害)가 경감(輕減)되어 건물중(乾物重)이 증가되었다. 5. 본(本) 실험(實驗)의 결과(結果), benthiocarb, butachlor 및 pretilachlor에 대한 해독제(解毒劑) fenclorim의 약해경감효과(藥害輕減效果)가 안정됨에 따라 fenclorim의 약해경감효과(藥害輕減效果)는 보온절쇠(保溫折衰)못자리에서 실용화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해독제(害毒劑) Fenclorim이 담수직파(湛水直播) 재배조건(栽培條件)에서 벼의 제초제약해(除草劑藥害) 경감(輕減)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Fenclorim on Reducing Herbicidal Injury in Direct-seeded Rice)

  • 이현용;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14-220
    • /
    • 1989
  • 벼의 담수직파(湛水直播) 재배조건(栽培條件)에서 약해(藥害)가 발생(發生)되기 쉬운 제초제(除草劑)에 대한 약해경감(藥害輕減)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해독제(害毒劑) fenclorim을 공시(供試)하여 benthiocarb, butachlor 및 pretilachlor에 대한 약해경감효과(藥害輕減效果)를 담수직파(湛水直播) 재배조건(栽培條件)에서 조사(調査)하였다. 1. Benthiocarb 210g/10a, butachlor 180, 270g/10a, pretilachlor 60g/10a와 fenclorim 10g/10a 이상의 혼합처리(混合處理), 그리고 benthiocarb 315g/10a, pretilachlor 90g/10a와 fenclorim 20g/10a 이상의 혼합처리(混合處理)에 의해서 약해(藥害)가 경감(輕減)되어 입모율(立毛率)이 증가되었다. 2. Benthiocarb 210, 315g/10a 와 fenclorim 20g/10a 이상의 혼합처리(混合處理)에서, 그리고 butachlor 180, 270g/10a, pretilachlor 60, 90g/10a 와 fenclorim 10g/10a 이상의 혼합처리(混合處理)에 의해서 약해(藥害)가 경감(輕減)되어 초장(草長)이 증가되었다. 3. Benthiocarb 210, 315g/10a, pretilachlor 60, 90g/10a와 fenclorim 10g/10a 이상의 홈합처리(混合處理)에서, 그리고 butachlor 180, 270g/10a는 fenclorim 20g/10a 이상의 혼합처리(混合處理)에서 약해(藥害)가 경감(輕減)되어 건물중(乾物重)이 증가되었다. 4. 본(本) 실험(實驗)의 결과(結果) benthiocarb, butachlor 및 pretilachlor에 대한 해독제(害毒劑) fenclorim의 약해경감효과(藥害輕減效果)가 안정됨에 따라 fenclorim은 벼의 담수직파(湛水直播) 재배조건(栽培條件)에서 실용화(實用化)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Biosynthesis of Isoprenoids: Characterization of a Functionally Active Recombinant 2-C-methyl-D-erythritol 4-phosphate Cytidyltransferase (IspD) from Mycobacterium tuberculosis H37Rv

  • Shi, Wenjun;Feng, Jianfang;Zhang, Min;Lai, Xuhui;Xu, Shengfeng;Zhang, Xuelian;Wang, Honghai
    • BMB Reports
    • /
    • 제40권6호
    • /
    • pp.911-920
    • /
    • 2007
  • Tuberculosis, caused by Mycobacterium tuberculosis, continues to be one of the leading infectious diseases to humans. It is urgent to discover novel drug targets for the development of antitubercular agents. The 2-C-methyl-Derythritol-4-phosphate (MEP) pathway for isoprenoid biosynthesis has been considered as an attractive target for the discovery of novel antibiotics for its essentiality in bacteria and absence in mammals. MEP cytidyltransferase (IspD), the third-step enzyme of the pathway, catalyzes MEP and CTP to form 4-diphosphocytidyl-2-C-methylerythritol (CDP-ME) and PPi. In the work, ispD gene from M. tuberculosis H37Rv (MtIspD) was cloned and expressed. With N-terminal fusion of a histidine-tagged sequence, MtIspD could be purified to homogeneity by one-step nickel affinity chromatography. MtIspD exists as a homodimer with an apparent molecular mass of 52 kDa. Enzyme property analysis revealed that MtIspD has high specificity for pyrimidine bases and narrow divalent cation requirements, with maximal activity found in the presence of CTP and $Mg^{2+}$. The turnover number of MtIspD is $3.4 s^{-1}$. The Km for MEP and CTP are 43 and $92{\mu}M$, respectively. Furthermore, MtIspD shows thermal instable above $50^{\circ}C$. Circular dichroism spectra revealed that the alteration of tertiary conformation is closely related with sharp loss of enzyme activity at higher temperature.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better understand the features of IspD and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novel antibiotics to treat M. tuberculosis.

Bacillus stearothermophilus 의 내열성 시티딘/디옥시시티딘 디아미나제를 코드하는 cdd 유전자의 클로닝 (Molecular Cloning of Bacillus stearothermophilus cdd Gene Encoding Thermostable Cytidine/Deoxycytidine Deaminase)

  • Soo, Chang-Jong;Song, Bang-Ho;Kim, Jong-Guk;Hong, Soon-Duck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34-342
    • /
    • 1989
  • Bacillus stearothermophilus의 cytidine deaminase (cytidine/2'-deoxycytidine aminohydrolase:EC 3.5.4.5)를 코딩하는 cdd 유전자를 E. coli cdd$^-$ 결손변이주를 cloning host로 하여 3-10Kbp의 B. stearothermophilus DNA 단편으로부터 shot gun 법으로 클로닝하였다. 고 복제수 플라스미드 pBR322 의 PstI 부위에 3.0Kb의 B. stearothermophilus DNA 단편을 함유한 pJSC101이 cdd$^+$와 tetracy-line 내성으로서 cloning되었으며, 이어서, 결실 및 subcloning을 연속 수행한 결과 약 1.35kbp의 Eco RI$_1$/PstI$_2$단편이 동일 부위의 pBR322에 삽입된 cdd 양성의 pJSC201을 얻었다. Mini 세포 실험결과, 이 단편에서 합성되는 polypeptide는 약 33 KDa이었기에 이 polypeptide가 cytidine deaminase 로 추정되었다. 또한 이 단편에 함유한 550bp의 EcoRI/AvaI 부분을 lacZ 프로모터 영역에 삽입한 경우 프로모터 활성을 나타내었기에 이 단편의 Eco RI 부위에서 PstI부위로 cdd 유전자가 전사됨을 알 수 있었다. B. subilis와 E. coli에서 발현이 가능한 shuttle vector에 cdd가 함유된 단편을 삽입한 후 이를 양세포에서 동시 발현시켰을 때 B. subtilis에서 발현시킨 경우가 E. coli에서 보다높은 cytidine deaminase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 유전자는 B. subtilis 에서도 E. coli에서와 같이 안정하게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Bacillus subtilis의 cdd 유전자에 의해 코드되는 Cytidine Deaminase의 효소학적 성질 (Enzymatic Properties of Cytidine Deaminase Encoded by cdd Gene in Bacillus subtilis)

  • Song, Bang-Ho;Yoon, Mi-Sook;Kim, Kyung-Hwa;Yeo, Jeung-Sook;Jan Neuhard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468-475
    • /
    • 1988
  • 고초균 (Bacillus subtilis)의 cytidine/2'deoxycytidine deaminase (EC 3.5.4.5)를 로드하는 cdd 유전자를 cdd 결손변이주 B. subtilis ED4O에서 발현시켰다. 이 cdd 유전자는 Bacillus의 λD69 유전자은행으로부터 처음 클로닝된 것으로서 B. subtilis-Escherichia coli 의 shuttle vector pGB 215-110ΔB의 EcoRl/Pvul 부위에 삽입시켰다. 형질전환된 ED4O는 야생주에 비해 3700unit의 강한 cdd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 클론된 백터 pSO100 을 E. coli에서 발현시키면 B. subtilis 비해 2배의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겔 여과로 부분정제한 본 효소의 Km치는 1.88$\times$$10^{-4}$M이었으며 Vmax=11.1 $\mu$mol/min/mg 단백이었다. 이 효소는 0.1M mercaptoethanol과 수은에 의해 완전저해되었으며 p-chloromercurybenzoic acid에 대해 Ki=5$\mu$M로 나타났다. 본 효소의 활성상실은 monomer에 함유된 6개의 cysteine 잔기의 일부가 활성단으로 작용하는 과정이 저해되었거나 tetramer로서의 회합과정이 저해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되었다.

  • PDF

둥굴레속 식물의 18S rDNA 염기서열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18S rDNA in Polygonatum spp. Collections)

  • 윤종선;김익환;박재성;이철희;홍의연;윤태;정승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78-182
    • /
    • 2006
  • 둥굴레 유전자원의 유연관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둥굴레속 식물 수집종 10종에서 18S ribosomal RNA를 암호화하는 18S rDNA 영역의 염기서열을 결정하고 그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둥굴레속 10종의 18S rDNA 영역 전체의 길이는 $913{\sim}914bp$로 비슷하였으나, 총 8개 지점에서 염기의 치환 및 결실에 의한 변이가 발생하였다. 전위는 $T{\rightarrow}C$전위가 4개 지점에서 발생하였고, $A{\rightarrow}G$ 전위가 1개 지점에서 발생하였으며, 전좌는 $C{\rightarrow}A$ 전좌가 1개 지점에서 발생하여 전위가 전좌보다 5배 만큼 발생하였다. 결실은 2개 지점에서 발생하였다. 18S rDNA의 염기의 조성은 adenine $23.09{\sim}23.33%$, guanine $23.33{\sim}23.52%$, thymine $25.60{\sim}25.85%$, cytosine $27.38{\sim}27.79%$로 pyrimidine계가 purine계보다 많았다. 18S rDNA의 A + T 함량은 $48.80{\sim}49.18%$로 평균 48.99%였고, G+C 함량은 $50.82{\sim}51.20%$로 평균51.01%였다. 다중 정렬에 의해 염기서열을 비교한 결과 $99.7{\sim}100%$ 일치하여 종간에 차이가 적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