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2-방정식 난류모델

Search Result 123,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Towards Prediction of Unsteady Turbulent Flow over a Square Cylinder using Two-Equation Turbulence Models (2-방정식 난류모델을 이용한 정사각주 주위의 비정상 난류유동의 예측)

  • Lee Sangsan
    • Journal of computational fluids engineering
    • /
    • v.1 no.1
    • /
    • pp.47-54
    • /
    • 1996
  • 비유선형 물체 주위의 유동은 정체유동, 경계층 박리 및 재부착, 주기적 와열의 생성등의 복잡한 유동현상이 공존한다. 이와 같은 유동의 2-방정식 난류모델을 이용한 정확한 예측은 일반적으로 불가능 하다고 인식되어 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비교적 단순한 난류모델을 활용한 정사각주 주위의 비정상 난류유동의 예측 가능성을 체계적으로 규명하였다. 적절한 난류모델의 선정과 더불어 시간 정확도, 공간 정확도 및 대류항 처리법 등이 해석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보았다. 기존의 표준 κ-ε모델은 정체점 주위에서 난류생성항의 과도한 예측으로 말미암아 재부착 및 와열생성의 정확한 예측이 불가능 하였으나, RNG κ-ε 모델을 사용한 경우 이와 같은 현상을 제거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예측의 정확도가 시간 증분, 격자의 크기 및 대류항 처리법 등에 영향을 받았으며, 특별히 대류항 처리법에 따라 상당히 민감하게 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Turbulence Models for the Surface Discharge of Heated Water (표면온배수 난류모형)

  • 최흥식;이길성
    • Water for future
    • /
    • v.23 no.4
    • /
    • pp.445-457
    • /
    • 1990
  • In order to predict the dispersion of a thermal discharge with strong turbulent and buoyant effects, the development of a numerical model using turbulence model and its application a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is study, a 3-dimensional steady-state model for the surface discharge of heated water into quiescent water body is developed. For the model closure of turbulent terms the 4-equation turbulence model is used. For economic numerical simulation, the elliptic governing equations are transformed to the partially parabolic equations. In general, the simulated results by the present model agree well to the experimental results by Pande and Rajaratnam. The model characteristics are presented in comparison with the predicted results of the 2-equation turbulence model by McGuirk and Rodi. Applying the 4-equation turbulence model to the Korea nuclear unit 1 at Kori site, feasibility and efficiency of the present model are validated.

  • PDF

수치유체역학 관련 난류모델의 국내 연구현황

  • 최영돈
    • Journal of the KSME
    • /
    • v.29 no.4
    • /
    • pp.360-375
    • /
    • 1989
  • 이 논평에서는 수치해석에 관련된 국내의 난류모델의 연구현황을 살펴보았다. 국내에서 연구가 많이 되었던 혼합거리모델, R, .epsilon. 2차방정식모델, 대수응력모델의 연구현황을 주로 살펴 보았다. 국내에서는 아직 연구인력이 적기 때문에 꼭 필요한 부분이지만 연구가 되지 않은 부 분이 많았으며 현재 연구가 되고 있는 부분도 그 연구량이 적은 형편이다. 앞으로 전산유체역 학에 의해 열유체기계내의 복잡한 난류유동을 해석하여 기계설계와 운전을 개선하는데 활용하기 위해서는 더욱 많은 연구가 요구된다. 그 중에서 특히 더 관심을 갖고 연구될 분야를 열거 해 보면 (1) 벽면부근의 저 레이놀즈 R, .epsilon. 방정식모델과 대수응력모델에 관한 연구 (2) 복잡한 3차원유동을 정확히 해석할 난류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3) 복잡한 난류유동에서 열전 달모델에 관한 연구 (4) 레이놀즈응력모델에 관한 연구 (5) Large Eddy Simulation에 관한 연구를 들 수 있다. 이들 연구에서는 난류모델의 물리적 의미에 관한 이론적 연구와 이 모델들 을 여러 경우의 실제유동에 적용하여 검증하는 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Papers : Turbulent Flow Analysis Using CFDS Scheme (논문 : CFDS 기법을 이용한 난류 유동장 해석)

  • Mun, Seong-Mok;Kim, Jong-Am;No, O-Hyeon;Hong, Seung-Gy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0 no.3
    • /
    • pp.105-114
    • /
    • 2002
  • 효율적인 난류 유동장 해석을 위해 CFDS 기법에 1개의 대수적 난류 모델과 2개의 1-방정식 난류 모델이 적용되었다. 대수적 난류 모델인 Baldwin-Lomax 난류모델과 1-방정식 난류 모델인 Baldwin-Barth, Spa lart-Allmaras 난류 모델을 비교하기 위해 2차원 유동에 대해서 2가지 경우, 3차원 유동에 대해서는 3가지 경우에 대해 해석하였다. CFDS 기법의 수치적 결과의 타당성은 실험치와의 비교를 통하여 입증하였다.

A Comparative Study of Two-Dimensional Numerical Models for Surface Discharge of Heated Water into Crossflow Field (가로흐름 수역으로 방출되는 2차원 표면온배수 수치모형 비교연구)

  • 이남주;최흥식;이길성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6 no.1
    • /
    • pp.40-50
    • /
    • 1994
  • For an accurate prediction of the temperature field induced by heated water discharged into a shallow crossflow, a two-dimensional near-field numerical model is developed. It is based on a 4-equation turbulence model in which the transport equations for mean of the temperature fluctuation squared and its dissipation rate are added to those of a 2-equation turbulence model which cannot give the information of the thermal time scale ratio. Vertical diffusion is also considered by including buoyancy production and turbulence heat flux terms. The developed model is applied to a steady flow in an open channel with simple geometry and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existing experimental data and those of the already established 2-equation turbulence model. Numerical results of the model agree with the experimental data better than those of the 2-equation model. The present model also simulates quite adequately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rmal discharge in the jet entrainment and stable regions.

  • PDF

Model Development for the Surface Discharge of Heated Water using Turbulence Model (난류모델을 이용한 표면 온배수 확산모형의 개발)

  • 최흥식;이길성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1989.07a
    • /
    • pp.113-114
    • /
    • 1989
  • 원자력, 화력발전소, 제철소 등의 다양한 임해 공업시설로부터 방출되는 냉각용 온배수는 연안일대 해수의 열균형을 파괴시켜 생태계의 보존 및 환경관리에 좋지 못한 영향을 야기케 된다. 이러한 영향은 해안 또는 만내의 수중온도를 전반적으로 높일뿐 아니라 가동중단시 갑자기 수온을 떨어뜨려 해양생물상에 피해를 줄수도 있다. 또한 온배수에 의하여 온도가 상승된 해수가 취수구를 통하여 재순환되어 냉각기능의 부진을 초래하게되면 발전효율 또는 기계가동율을 저하시키게 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온배수의 확산에 대한 정성, 정량적인 예측은 환경영향평가, 취.배수구 설계조건의 산정 등에 매우 중요한 문제라 하겠다. 본 연구는 정지수역으로 유입하는 3차원 정상류 표면온배수 해석모형의 개발로서 개발된 모형의 수치실험을 통하여 온배수 확산의 물리적 특성을 규명한다. 지배방정식에 나타나는 Reynolds 응력항($)과 온도유동 프럭스항($)의 해석에서 필요한 난류모델은 k-$\varepsilon$ 모형에 난류 평균자승 온도유동($) 및 그 감쇄방정식을 추가한 4-방정식 모델로서 구성하였다. 아울러 3차원 정상류 모형에서 야기되는 타원형 방정식을 포물형 방정식의 형태로 전환하여 효과적으로 해석할 수 있도록 모델의 특성을 정리하였다. 본 모델의 검증을 위하여 Lal 및 Rajaratnam(1977)의 물리적 실험값과 비교해본 결과 온배수 거동의 물리적현상이 잘 일치하였다. 또한 McGuirk 및 Rodi(1979)에 의해 개발된 2-방정식 k-$\varepsilon$ 난류모형의 해석결과에 대하여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 PDF

Application of the V2-F Turbulence Model for Flow Analysis of Turbomachinery (V2-F 난류 모델의 터보기계 유동 해석 적용)

  • Park, Jae Hyeon;Sohn, Dong Kyung;Kim, Chang Hyun;Baek, Je Hyu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40 no.2
    • /
    • pp.75-83
    • /
    • 2016
  • Since a turbomachine has complex flow characteristics, which are caused by adverse pressure gradient and high speed motion, an elaborate turbulence model is needed to accurately predict the flow. Some turbulence models such as an algebraic or a two-equation eddy viscosity model have been used for in-house RANS-code, but it is difficult to obtain good result for several complex flows. In this study, Durbin's V2-F turbulence model, which has been known for better prediction for severe flow separation, is applied to T-Flow. It was validated for simple cases such as channel and compressor cascade, and its applicability to turbomachinery was shown by analyzing internal flow of a single rotor. As a result, the V2-F turbulence model shows better blade surface pressure distribution than the one-and-two equation turbulence model.

COMPARISON OF COUPLING METHODS FOR NAVIER-STOKES EQUATIONS AND TURBULENCE MODEL EQUATIONS (Navier-Stokes 방정식과 난류모델 방정식의 연계방법 비교)

  • Lee, Seung-Soo;Ryu, Se-Hyun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0a
    • /
    • pp.111-116
    • /
    • 2005
  • Two coupling methods for the Navier-Stokes equations and a two-equation turbulence model equations are compared. They are the strongly coupled method and the loosely coupled method. The strongly coupled method solves the Navier-Stokes equations and the two-equation turbulence model equations simultaneously, while the loosely coupled method solves the Navier-Stokes equation with the turbulence viscosity fixed and subsequently solves the turbulence model equations with all the flow quantities fixed. In this paper, performances of two coupling methods are compared for two and three-dimensional problems.

  • PDF

Prediction of Turbulent Jet in a Crossflow by a Quasi Three Dimensional Model (준 3차원 모델에 의한 주유동에 분사되는 난류제트 유동 해석)

  • 맹주성;이종신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5 no.3
    • /
    • pp.954-962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횡 방향으로 속도구배를 타내는 a=.part.W/.part.z에 대한 방정식을 3차원 운동량 방정식으로 부터 유도한 준 3차원 수학적 모델을 성정하여 해석하였다. 또한 수치 해석을 위하여 Chen에 의하여 고안된 유한 해석법과 2-방정식 저 레이놀즈 K-.epsilon. 난류모델, 그리고 Maeng에 의해 제시된 경계 공정 좌표계를 사용하였다. 그리 고 프로그램의 검증을 위하여 G.Ber geles가 수행한 실험치와 비교하여 그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The Structure of Axisymmeric Turbulent Diffusion Flame(II) (재순환 영역이 있는 축대칭 난류 확산화염의 구조 (II))

  • 이병무;신현동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0 no.1
    • /
    • pp.70-77
    • /
    • 1986
  • Turbulent mixing field with recirculating flow which is formed by injecting gaseous fuel on the main air stream is solved numerically by a finite difference method. The turbulence model for obtaining transport properties was k-.epsilon. model, which was obtained from turbulent kinetic energy and its dissipation rate. Considering the effects of streamline curvature, modified k-.epsilon model was used. Generally, Modified k-.epsilon. model makes better predictions than standard model, and from this result, it is recognized that standard model has deficiency when applied to turbulent recirculating flows, and that modified k-.epsilon. model takes into account of streamline curvature effects properly. Meanwhile, A more study will be necessary to find the reason why large differences between predicted and experimental turbulent kinetic energy ex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