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차 분열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31초

신항암제 개발을 위한 Cell Cycle 특이적 Inhibitor 검색 방법의 개발

  • 이승기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3년도 제2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56-56
    • /
    • 1993
  • 새로운 cell cycle 특이적 억제제의 스크리닝 방법의 확립과 이를 이용하여 cell cycle 억제제의 검색 및 세포분열 및 성장을 억제하는 작용의 분석과 이들의 항암작용 및 세포성장 및 분열 억제 작용의 signal transduction mechanism을 규명한다. 이상의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흰쥐 재생간 조직 및 흰쥐 일차 배양 간세포를 연구 모델로 하여 스크리닝 방법을 확립하고, 세포 분열 및 성장 억제제의 연구 대상 약물로는 기존의 천연물 및 미생물의 2차 대사 산물을 분리 정제한 물질등을 사용하여 그 작용 효능을 연구한다. 1) 흰쥐 부분 간 절제 수술 26시간 후 핵 단백질을 분리 2) MPF activity 측정 3) MPF 활성 저해제 생산 균주의 1차 탐색

  • PDF

비정상 난류 유동장에서 수직 분사 액주의 분열 및 기화에 관한 LES (LES of breakup and atomization of a liquid jet into cross turbulent flow)

  • 양승준;성홍계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9-102
    • /
    • 2009
  • 비정상 난류 유동장으로 분사되는 액체 제트의 액주 분열과 미립화 현상에 관한 LES를 수행하였다. 기체상태의 공기 유동 해석에 오일러리안 해법을 사용하고, 액적 추적을 위하여 라그랑지안 해법을 사용하여 기체-액체간 이상유동(two phase flow) 해석을 수행하였다. 액주의 1차 및 2차 분열이 관찰되었다. 일정한 속도로 유입되는 공기유동 중에 액체 분사 속도를 달리하여, 액체-기체 운동량 플럭스 비의 변화를 고려하여 액체 제트의 침투깊이를 조사하였으며 실험결과와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제트 후류에서 입자 평균직경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 PDF

Mastication에 의한 Polystyrene의 機械的分裂 (Mechanical Degradation of Polystyrene by Mastication)

  • 정기현;성좌경
    • 대한화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98-305
    • /
    • 1973
  • Roll을 사용한 mastication에 의한 polystyrene(단독시와 rubber와의 blend시)의 기계적 분열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Polystyrene 단독시의 기계적 분열속도는 Goto가 밝힌 중합도$(P_t-P_{\infty})$에 관하여 2차인 다음식에 적합함을 알았다. $-\frac{dP_t}{dt} = k_s(P_t-P_{\infty})^2$2 2)Polystyrene-rubber (SBR, BR) blend계에서 polystyrene성분의 분열은 단독시와 비스하게 일어났다. 3)본 실험 조건하에서 polystyrene-rubber (SBR, BR) blend계에서, polystyrene성분의 분열속도도 단독시와 같이 상기한 2차식에 근사적으로 적합됨을 알았다.

  • PDF

General Energy-Dependent Transport Equation with Fission

  • Lee, Un-Chul;Pac, Pong-Youl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권4호
    • /
    • pp.255-262
    • /
    • 1970
  • 원자로 내에서 핵 분열이 관계될 때, 일반적인 비 등방성 중성자 수송 방정식의 세부적이고 확장된 계산이 다루어지고 있다. 우리가 일반 비 등방성인 경우의 해의 완전성을 증명할 때 산란과 분열의 복합 연산자가 각각 산란 연산자와 분열 연산자로 분리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연산자가 실제 계산에 응용될 때, 해의 완전성에 필요한 측정되지 않은 새로운 항을 끌어낼 수 있고, 이로 말미암아 완전히 방정식을 풀 수 있다. 아울러, 2차 비등방성의 근의 수가 B$_1$와 B$_2$를 기지수로, Cs 미지수로 하여 자세히 분류되고 있다.

  • PDF

정신분열병에서 도파민 D4 수용체(DRD4) 유전자의 다형성 (Association of Dopamine D4 Receptor(DRD4) Gene Polymorphism with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 이홍석;이민수;한덕정;이헌정
    • 생물정신의학
    • /
    • 제7권2호
    • /
    • pp.152-158
    • /
    • 2000
  • 정신분열병과 DRD4 다형성이 연관이 없다는 보고들이 있어왔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결과로부터 정신분열병과 DRD4가 연관이 없다고 결론 내리는 것은 성급한 것일 수도 있다. 정신분열병의 유전적 취약성은 여러 유전자좌(locus)들이 같이 상호작용(interaction) 또는 공작용(coaction)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크다. 저자들은 DRD4 유전자의 exon III 48-염기쌍 다형성 [D4E3]과 exon I 12-염기쌍 다형성[D4E1]의 조합과 정신분열병의 연관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207명의 친척이 아닌 한국인 정신분열병 환자와 191명의 정상 대조군이 연구에 참여했다. DRD4 유전자형을 중합효소연쇄반응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정신분열병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의 유전자형과 대립유전자의 빈도간의 차이를 연구하였다. 두 군간에 다형성에 있어 통계적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모든 유전자형의 빈도는 Hardy-Weinberg equilibrium에서 예상되는 분포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정신분열병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에서 DRD4 유전자의 다형성을 조합하여, D4E1과 D4E3 다형성의 조합의 분포에 있어 비교하였을 때, $A1A2^*2/4$의 분포에 있어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이러한 소견은 D4E1과 D4E3 다형성의 조합중 하나인 $A1A2^*2/4$이 정신분열병의 취약성에 있어 방어적인 역할을 할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 PDF

한국인 정신분열병 환자와 Catalase 유전자 다형성의 연합 (The Association between Korean Schizophrenics and Catalase Gene Polymorphism)

  • 박진경;이희제;반건호;박종득;정주호;장환일
    • 생물정신의학
    • /
    • 제9권1호
    • /
    • pp.62-67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정신분열병과 antioxidant defense system사이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항산화 효소(antioxidant enzyme)중의 하나인 CAT의 유전자 다형성을 한국인 정신분열병 환자군과 대조군 사이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환자군과 대조군의 HinfI 다형성에 따른 CAT유전자형과 대립유전자형의 빈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여성 정신분열병 환자군과 여성 대조군 사이의 유전자형 빈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연구결과 CAT유전자가 여성 정신분열병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시된다.

  • PDF

정신분열병 환자 가족의 단기 가족교육 후 대처전략 및 스트레스 변화에 대한 연구 (Changes of Stress and Coping Strategy in Families of Schizophrenic Patients after Brief Program of Family Education)

  • 서승우;이호택;백주희;이상연
    • 정신신체의학
    • /
    • 제9권1호
    • /
    • pp.16-27
    • /
    • 2001
  •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정신분열병 환자의 가족이 겪는 각종 스트레스(불안, 우울, 거부감, 걱정 등)와 함께 가족의 대처 전략의 정도를 평가하고 단기가족교육 후 정신분열병에 대한 지식과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변화 정도를 대조군과 비교해 단기가족교육의 효과를 평가 하고자 하였다. 방법 : DSM-IV 진단기준에 따라서 분류된 정신분열병 환자의 가족 중에서 가족교육을 받은 24 명을 교육군으로 하고 동 질환으로 본과에 입원한 환자의 가족 중에서 22명을 선정하여 대조군으로 하였다. 교육군에게는 가족교육 전후에, 대조군에게는 환자 입원 시와 4주 이후에 두 번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사용된 설문지는 Family Coping Questionnaire(FCQ), Patient Rejection Scale(PRS), 걱정설문지, 지식설문지,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등이다. 결과 : 1) 교육군에서 걱정설문지, BDI, STAI-S는 사후평가 점수가 사전평가 점수보다 유의하게 낮았고 FCQ의 사회적 관심항목과 지식설문지는 사후평가 점수가 사전평가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FCQ요인에서는 회피와 관련된 사회적 관심의 전략이 사후평가 점수가 사전평가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반면에 대조군에서는 모든 설문지에서 사전평가 점수와 사후평가 점수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2) 교육군에서 걱정설문지의 점수 차와 STAI-S의 점수 차 사이, 걱정설문지의 점수 차와 STAI-T의 점수 차 사이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FCQ의 긍정적 상호작용항목의 점수 차와 PRS의 점수 차 사이, 지식설문지의 점수 차와 STAI-S의 점수 차 사이에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반면에 대조군에서는 FCQ의 정보항목의 점수 차와 PRS의 점수 차 사이, 긍정적 상호작용항목의 점수 차와 PRS의 점수 차 사이에만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3) 교육군에서는 걱정설문지의 점수 차와 환자의 나이 사이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지식설문지의 점수 차와 환자의 유병기간 사이에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지만 대조군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지 않았다. 결론 : 단기가족교육 후에 가족들의 지식이 증가하고 걱정과 불안감이 감소하였으며 환자에게서 벗어나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다. 한편, 교육군에서는 지식의 증가에 따라 불안감이 감소했지만 대조군에서는 상관 관계가 없었다. 또한 교육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지식의 변화와는 상관없이 거부감이 적어질수록 긍정적 의사소통의 대처전략을 많이 사용했고 대조군에서 거부감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

  • PDF

정신분열병에서 연성 신경학적 징후의 가족내 전달에 관한 연구 (The Study About Intra-Familial Transmission of the Neurological Soft Signs in Schizophrenia)

  • 류수정;최영락;이상익;신철진;김시경;손정우
    • 생물정신의학
    • /
    • 제15권2호
    • /
    • pp.83-91
    • /
    • 2008
  • 목 적 연성 신경학적 징후는 정신분열병의 유전과 관계되는 생물학적 표현형으로 여겨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연성 신경학적 징후가 유전적 하중과 관련해서 가족 내에서 연관성을 보이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정신분열병 환자로서 부모 중 한 명은 정신분열병의 가족력이 있고 나머지 한 명은 가족력이 없는 환자가(N=14) 모집되었다. 이들의 부모가 가진 가족력에 따라 유전적 하중을 정하였고 이를 위해 Family Interview for Genetic Studies(FIGS)로 직접 면담을 시행하였다. 환자의 부모에서 환자를 제외한 1차 혹은 2차 친척에서 정신분열병 환자가 있는 부모를 유전적 하중이 있는 '추정 보유자'(presumed carrier)(N=9)로, 그렇지 않은 부모를 '추정 비보유자' (presumed noncarrier)(N=11)로 구분하였다. 또한 정상 대조군은 1차 혹은 2차 친척에서 정신분열병의 가족력이 없는 일반인(N=12)이었다. 이들의 연성 신경학적 징후를 한국어판 신경학적 평가 척도(Neurological Evaluation Scale-Korean version)를 사용하여 평가하였으며 가족내 연관성에 대한 분석 방법으로 급내 상관계수법(Intra-Class Coefficients[ICC]) method)을 이용하였다. 결 과 연성 신경학적 징후의 하위 영역 중 운동 조정 영역에서 환자와 추정 보유자 간에 유의한 연관성이 존재하였고(ICC=.804, p=.016) 환자와 추정 비보유자와는 연관성이 존재하지 않았다. 운동 조정 영역 이외의 다른 하위 영역에서는 유전적 하중과 상관없이 가족내 연관성이 존재하지 않았다. 그러나,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의 운동 조정 영역의 점수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결 론 이번 연구에서는 연성 신경학적 징후들이 정신분열병의 유전적 하중과 같이 유전되는 생물학적 표현형일 가능성이 입증되지 못하였다. 향후 보다 많은 수를 대상으로 한 추시 연구가 필요하다.

  • PDF

濾胞液과 그의 分劃이 암소 濾胞卵子의 成熟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ffects of Follicular Fluid and its Fractions on the Cow Oocyte Maturation in Vitro)

  • Cho, Wan-Kyoo;Lim, Kwang-Ja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61-70
    • /
    • 1975
  • 여포액이 여포안에서는 난자의 성숙을 억제하지만 여포액을 일단 여포 밖으로 내어 배양액을 섞거나 혹은 여포액만으로 난자를 배양할 때 난자는 성숙분열을 일으키는 것을 보아 왔다. 저자들은 소의 여포액 내의 성분중 어떤 것 들이 난자 성숙에 유효한 가를 밝히기 위하여 본 실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포액을 투석하여 얻은 dialysable fraction을 이용하여 난자를 배양하였을 때 높은 성숙율을 얻었다. 반대로 non-dialysable fraction를 포함하는 기본배양액 내에서는 난자의 성숙율은 극히 낮았으며 퇴화하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paper chromatography 의 방법으로 dialysable fraction이 포함하는 free amino acid를 조사한 결과 8가지의 amino acid가 동정되었다. 이 amino acid를 기본배양액에 섞어 배양액으로 만들어 난자를 배양했을 때 난자성숙율이 90%이상이었고 제 2차 중기까지 도달한 난자는 30시간 이내에 10% 정도였다. 셋째, 상기의 amino acid가 들어있는 배양액에 다시 biotin를 첨가하여 배양하면 48시간내에 제 2차 분열 중기까지 도달하는 난자가 60%에 이르렀다. 위 결과로 보아 여포액은 in vitro인 경우 난자의 성숙을 유발하며 성숙을 유발하는 주요 성분은 여포액내에 포함되어 있는 몇가지 amino acid와 biotin과 같은 vitamine B가 될 것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 PDF

1988년도 강원도 산간 지대의 벼 장해형랭해 실태조사 (A Survey on Cold-induced Sterility of Rice at High Land of Kangweon Province in 1988)

  • 허범량;안명훈;김기식;김재록;사종구;김승경;장진선;김득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481-486
    • /
    • 1990
  • 1988년도 강원도내 산간고랭지 등 국지적으로 발생한 랭해피해양상을 조사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저온 경과시기는 지역간 차이는 있으나 7월 23일부터 8월 2일 사이로 감수분열기에 해당된 벼가 장해형 랭해를 유발하였다. 이때 최저극기온 횡성군 둔내면은 8.5$^{\circ}C$, 평창군 진부면은 5.7$^{\circ}C$였다. 2. 저온피해지역은 표고 300m 이상 산간고랭지가 대부분 해당되는 지역이었다. 3. 랭해피해지역의 임실비율이 80% 이상 되려면 감수분열기 13일간 평균기온 적산온도 285$^{\circ}C$, 최저기온 적산온도 2$25^{\circ}C$ 이상, 17$^{\circ}C$이하 지속일수 5일 이하로 경과하여야 함을 추정할 수 있었다. 4. 감수분열기 저온피해정도별 수량은 총재배면적 $\times$ 총피해품종면적/총면적 $\times$ 감수 분열제 피해면적/총피해품종면적 $\times$ 총예상수량 $\times$ 임실장해율로 산출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