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s of Stress and Coping Strategy in Families of Schizophrenic Patients after Brief Program of Family Education

정신분열병 환자 가족의 단기 가족교육 후 대처전략 및 스트레스 변화에 대한 연구

  • Seo, Seung-Woo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eoul Red Cross Hospital) ;
  • Yi, Ho-Taek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eoul Red Cross Hospital) ;
  • Paek, Ju-Hee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eoul Red Cross Hospital) ;
  • Lee, Sang-Yeon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eoul Red Cross Hospital)
  • 서승우 (서울적십자병원 신경정신과) ;
  • 이호택 (서울적십자병원 신경정신과) ;
  • 백주희 (서울적십자병원 신경정신과) ;
  • 이상연 (서울적십자병원 신경정신과)
  • Published : 2001.12.15

Abstract

Objectives :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stress and coping strategy in the families of schizophrenic patient, and changes of knowledge, stress and coping strategy after brief program of family education compared with control group Methods : The education group consisted of twenty four people who were families with schizophrenic patients and attended the brief program of family education.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twenty two people with schizophrenic inpatients. Self-report questionnaires such as Family Coping Questionnaire(FCQ), Patient Rejection Scale(PRS), Worry Questionnaire, Knowledge Questionnaire,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and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were administered to the education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wice at the pre-test and post-test. Results : 1) In the education group, scores of worry questionnaire, BDI and STAI-S at the post-test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at the pre-test. Social interests score of FCQ and knowledge questionnaire score at the post-tes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at the pre-test. In FCQ factors, social interests associated with avoidance strategy score at the post-tes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at the pre-test. However, i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questionnaires. 2) In the education group,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existed between calculated differences of worry questionnaire and STAI-S, and between worry questionnaire and STAI-T, wherea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existed between positive communication of FCQ and PRS, and between knowledge questionnaire and STAI-S. In the control group,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existed between information of FCQ and PRS, and between positive communication of FCQ and PRS. 3) In the education group,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existed between calculated differences of worry questionnaire and age of patient, wherea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existed between knowledge questionnaire and duration of illness. However, i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Conclusion : The brief program of family education was effective in increasing knowledge about schizophrenia, decreasing worry and anxiety about the patients in families with schizophrenic patient. In the education group as knowledge about schizophrenia increased, anxiety about schizophrenic patient decrease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in the control group. As relative's rejection feeling about schizophrenic patient decreased, positive communication strategy increased in both groups. However, the control group was more affected by rejection feeling than the education group.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정신분열병 환자의 가족이 겪는 각종 스트레스(불안, 우울, 거부감, 걱정 등)와 함께 가족의 대처 전략의 정도를 평가하고 단기가족교육 후 정신분열병에 대한 지식과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변화 정도를 대조군과 비교해 단기가족교육의 효과를 평가 하고자 하였다. 방법 : DSM-IV 진단기준에 따라서 분류된 정신분열병 환자의 가족 중에서 가족교육을 받은 24 명을 교육군으로 하고 동 질환으로 본과에 입원한 환자의 가족 중에서 22명을 선정하여 대조군으로 하였다. 교육군에게는 가족교육 전후에, 대조군에게는 환자 입원 시와 4주 이후에 두 번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사용된 설문지는 Family Coping Questionnaire(FCQ), Patient Rejection Scale(PRS), 걱정설문지, 지식설문지,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등이다. 결과 : 1) 교육군에서 걱정설문지, BDI, STAI-S는 사후평가 점수가 사전평가 점수보다 유의하게 낮았고 FCQ의 사회적 관심항목과 지식설문지는 사후평가 점수가 사전평가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FCQ요인에서는 회피와 관련된 사회적 관심의 전략이 사후평가 점수가 사전평가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반면에 대조군에서는 모든 설문지에서 사전평가 점수와 사후평가 점수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2) 교육군에서 걱정설문지의 점수 차와 STAI-S의 점수 차 사이, 걱정설문지의 점수 차와 STAI-T의 점수 차 사이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FCQ의 긍정적 상호작용항목의 점수 차와 PRS의 점수 차 사이, 지식설문지의 점수 차와 STAI-S의 점수 차 사이에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반면에 대조군에서는 FCQ의 정보항목의 점수 차와 PRS의 점수 차 사이, 긍정적 상호작용항목의 점수 차와 PRS의 점수 차 사이에만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3) 교육군에서는 걱정설문지의 점수 차와 환자의 나이 사이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지식설문지의 점수 차와 환자의 유병기간 사이에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지만 대조군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지 않았다. 결론 : 단기가족교육 후에 가족들의 지식이 증가하고 걱정과 불안감이 감소하였으며 환자에게서 벗어나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다. 한편, 교육군에서는 지식의 증가에 따라 불안감이 감소했지만 대조군에서는 상관 관계가 없었다. 또한 교육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지식의 변화와는 상관없이 거부감이 적어질수록 긍정적 의사소통의 대처전략을 많이 사용했고 대조군에서 거부감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