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urvey on Cold-induced Sterility of Rice at High Land of Kangweon Province in 1988

1988년도 강원도 산간 지대의 벼 장해형랭해 실태조사

  • Published : 1990.12.01

Abstract

A survey was carried out on the cold-induced sterility of paddy rice in 1988 in the alpine area of Kangweon province when cold spell occurred during late July to early August, During this period minimum temperature as low as 8.5$^{\circ}C$ and 5.7$^{\circ}C$ was recorded at Dunnae and Jinbu, respectively. The rice cultivars, which encountered this cold spe]J at meiotic stage of microspore, were damaged by sterility in most alpine areas of higher than 300m in altitude. To secure spilkelet fertility higher than 80% it was estimated that the minimum and average air temperature accumulated during 13 days of meiotic stage should be higher than 2$25^{\circ}C$ and 285$^{\circ}C$, respectively and/or the duration of lower than 17$^{\circ}C$ in minimum temperature should not exceed fivedays during that period.

1988년도 강원도내 산간고랭지 등 국지적으로 발생한 랭해피해양상을 조사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저온 경과시기는 지역간 차이는 있으나 7월 23일부터 8월 2일 사이로 감수분열기에 해당된 벼가 장해형 랭해를 유발하였다. 이때 최저극기온 횡성군 둔내면은 8.5$^{\circ}C$, 평창군 진부면은 5.7$^{\circ}C$였다. 2. 저온피해지역은 표고 300m 이상 산간고랭지가 대부분 해당되는 지역이었다. 3. 랭해피해지역의 임실비율이 80% 이상 되려면 감수분열기 13일간 평균기온 적산온도 285$^{\circ}C$, 최저기온 적산온도 2$25^{\circ}C$ 이상, 17$^{\circ}C$이하 지속일수 5일 이하로 경과하여야 함을 추정할 수 있었다. 4. 감수분열기 저온피해정도별 수량은 총재배면적 $\times$ 총피해품종면적/총면적 $\times$ 감수 분열제 피해면적/총피해품종면적 $\times$ 총예상수량 $\times$ 임실장해율로 산출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