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2차원 침수 해석 모형

Search Result 143,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A Study on Scenario-based Urban Flood Prediction using G2D Flood Analysis Model (G2D 침수해석 모형을 이용한 시나리오 기반 도시 침수예측 연구)

  • Hui-Seong Noh;Ki-Hong Park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27 no.4
    • /
    • pp.488-494
    • /
    • 2023
  • In this paper, scenario-based urban flood prediction for the entire Jinju city was performed, and a simulation domain was constructed using G2D as a 2-dimensional urban flood analysis model. The domain configuration is DEM, and the land cover map is used to set the roughness coefficient for each grid. The input data of the model are water level, water depth and flow rate. In the simulation of the built G2D model, virtual rainfall (3 mm/10 min rainfall given to all grids for 5 hours) and virtual flow were applied. And, a GPU acceleration technique was applied to determine whether to run the flood analysis model in the target area. As a result of the simul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resolution flood analysis time was significantly shortened and the flood depth for visual flood judgment could be created for each simulation time.

Computation of Criterion Rainfall for Urban Flood by Logistic Regression (로지스틱 회귀에 의한 도시 침수발생의 한계강우량 산정)

  • Kim, Hyun Il;Han, Kun Yeu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9 no.6
    • /
    • pp.713-723
    • /
    • 2019
  • Due to the climate change and various rainfall pattern, it is difficult to estimate a rainfall criterion which cause inundation for urban drainage district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result of inundation analysis by considering the detailed topography of the watershed, drainage system, and various rainfall scenarios. In this study, various rainfall scenarios were considered with the probabilistic rainfall and Huff's time distribution method in order to identify the rainfall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 inundation of the Hyoja drainage basin. Flood analysis was performed with SWMM and two-dimensional inundation analysis model and the parameters of SWMM were optimized with flood trace map and GA (Genetic Algorithm). By linking SWMM and two-dimensional flood analysis model, the fitness ratio between the existing flood trace and simulated inundation map turned out to be 73.6 %. The occurrence of inundation according to each rainfall scenario was identified, and the rainfall criterion could be estimated through the logistic regression method. By reflecting the results of one/two dimensional flood analysis, and AWS/ASOS data during 2010~2018, the rainfall criteria for inundation occurrence were estimated as 72.04 mm, 146.83 mm, 203.06 mm in 1, 2 and 3 hr of rainfall duration repectively. The rainfall criterion could be re-estimated through input of continuously observed rainfall data. The methodology present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 quantitative rainfall criterion for urban drainage area, and the basic data for flood warning and evacuation plan.

Analysis of Urban Inundation Considering Building Footprints Based on Dual-Drainage Scheme (건물의 영향을 고려한 이중배수체계기반 침수해석)

  • Lee, Jeong-Young;Jin, Gi-Ho;Ha, Sung-Ry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7 no.4
    • /
    • pp.40-51
    • /
    • 2014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urban inundation considering building footprints based on dual-drainage scheme. For this purpose, LiDAR data is cultivated to generate two original data set in terms of DEM with $1{\times}1$ meter and building layer of the study drainage area in Seoul and then the building layer is overlapped as vector polygon with the mesh data with the same size as DEM. Then, terrain data for modeling were re-sampled to reduce resolution as $10{\times}10$ meters. As results, the simulated depth without considering building footprints has a tendency to underestimate the inundation depth compared to observed data analized by CCTV imagery. Otherwise, the simulation result considering building footprints revealed definitely higher fitness. The difference of inundation depth came from the variation of inundation volume which was relevant to inundation extent. If the building footprints are enlarged, the possible inundation depth is increased, which results in being inundation depth higher because hydrological conditions such as rainfall depth are conservational. Otherwise, according to comparison of inundation exten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 case of considering building footprint was revealed slightly higher fitness. Thus, it is concluded that the considering building footprint for inundation analysis of urban watershed should be required to improve simulation accuracy synthetically.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Inundation Modeling with Urban Flooding Caused by the Surcharge of Storm Sewers (도시배수체계와 연계한 내수침수모형의 개발 및 검증)

  • Kim, Ji-Sung;Han, Kun-Yeun;Lee, Chang-He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9 no.12 s.173
    • /
    • pp.1013-1022
    • /
    • 2006
  • Urban flooding is usually caused by the surcharge of storm sewers. For this reason, previous studies on urban flooding are mainly concentrated on the simulation of urban drainage systems. However these approaches that find the pipes which have insufficient drainage capacity are very approximate and unreasonable ways in establishing both flood prevention and flood-loss reduction planning. In this study, a two-dimensional model linked the existing ILLUDAS model is developed to calculate the accurate and resonable solution about urban flood inundation and it is verified by using the simulation of July 2001 flood in Seoul. In the urban area with a small difference of ground elevations, the two-dimensional flood propagation phases must be considered to make a accurate analysis for inundated area and depth.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construct fundamental data for a flood control plan and establish a urban flood forecasting/warning system.

Development of Flood Risk Map Using Two-Dimensional Unstructured Grid-Based Analysis (2차원 비정형 격자기법을 통한 홍수위험지도의 개발)

  • Han, Kun-Yeun;Ahn, Ki-Hong;Cho, Wan-Hee;Kim, D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357-361
    • /
    • 2008
  • 홍수는 인간이 지구상에 생존하기 전부터 발생하여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홍수 규모가 대형화되었고, 그 발생빈도도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지구온난화가 가속화 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높은 강도의 기상이변들이 속출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어서 지난 100년 동안 기온이 약 $1.5^{\circ}C$ 가량 상승하였고, 집중호우나 태풍과 같은 극단적인 기상현상들로 인한 피해가 날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이러한 이상기후에 따른 태풍, 집중호우 등의 대규모 호우로 인해 댐 및 제방 붕괴와 같은 비상상황이 초래될 수 있다. 잇따른 피해들을 통해 홍수침수 범위의 예측 분석을 통한 홍수위험 및 다양한 홍수위험지도 작성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홍수위험지도의 개발을 위해 금호강과 태화강을 대상유역으로 선정하고, 1차원 분석(하천흐름)에는 미국 기상청의 FLDWAV 모형을 적용하였고 2차원 분석(범람흐름)에는 2차원 비정형 격자기법 침수해석 모형을 적용하였다. 1차원 및 2차원 수치해석 모형을 대상유역에 적용한 모의를 통하여 실제 홍수에 대한 제방의 붕괴 및 월류에 따른 유량을 산정하였고, '침수심 지도'와 '홍수유속 지도'를 작성하였으며, 또한 홍수위험 강도를 표현하기 위해 유속과 수심을 이용하여 홍수위험에 대한 '홍수위험강도 지도'를 작성하였다. 다양한 홍수위험지도는 홍수방어대책에 대한 평가와 개발, 또한 개발지역에 대한 선택에 이용될 수 있으며, 실제 홍수시 홍수위험지도에 나타난 긴급대피지역의 모든 주민들에 대해서 피난경고를 미리 발령하는 등의 방법으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arallel Flood Inundation Analysis using MPI Technique (MPI 기법을 이용한 병렬 홍수침수해석)

  • Park, Jae H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7 no.11
    • /
    • pp.1051-1060
    • /
    • 2014
  • This study is attempted to realize an improved computation performance by combining the MPI (Message Passing Interface) Technique, a standard model of the parallel programming in the distributed memory environment, with the DHM(Diffusion Hydrodynamic Model), a inundation analysis model. With parallelizing inundation model, it compared with the existing calculation method about the results of applications to complicate and required long computing time problems. In addition, it attempted to prove the capability to estimate inundation extent, depth and speed-up computing time due to the flooding in protected lowlands and to validate the applicability of the parallel model to the actual flooding analysis by simulating based on various inundation scenarios. To verify the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it was applied to a hypothetical two-dimensional protected land and a real flooding case, and then actually verified the applicability of this model. As a result of this application, this model shows that the improvement effectiveness of calculation time is better up to the maximum of about 41% to 48% in using multi cores than a single core based on the same accuracy. The flood analysis model using the parallel technique in this study can be used for calculating flooding water depth, flooding areas, propagation speed of flooding waves, etc. with a shorter runtime with applying multi cores, and is expected to be actually used for promptly predicting real time flood forecasting and for drawing flood risk maps etc.

2-D Inundation Analysis According to Post-Spacing Density of DEMs from LiDAR Using GIS (GIS를 활용한 LiDAR 자료의 밀도에 따른 2차원 침수해석)

  • Ha, Chang-Yong;Han, Kun-Yeun;Cho, Wan-H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3 no.1
    • /
    • pp.74-88
    • /
    • 2010
  • In this study, the points of LiDAR were modified in order to generate various DEM resolutions by applying LiDAR data in Ulsan. Since the LiDAR data have points with 1m intervals, the number of points for each resolution was modified to the size of 1, 5, 10, 30, 50, 100m by uniformly eliminating the points. A runoff analysis was performed on Taehwa river and its tributary, Dongcheon, with 200 year rainfall exceedance probability. 2-dimensional inundation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the density of LiDAR data using FLUMEN, which was used to establish domestic flood risk map. Once DEM data obtained from LiDAR survey are used,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results can be used as data in determining optimal grid spacing, which is economical, effective and accurate in establishing flood defence plans including the creation of flood risk map.

A Study on the Flood and Inundation Prediction using Forecasted Rainfall of the WRF Model (WRF 예측강우를 활용한 홍수 및 침수예측에 관한 연구)

  • Yoon, Seong-Sim;Phuong, Tran Anh;Bae, Deq-Hy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263-267
    • /
    • 2010
  • 최근 지구온난화, 엘니뇨 및 라니냐 등 지구환경 변화에 따른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지구상의 많은 지역에서 집중호우가 발생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예외 없이 매년 되풀이되고 있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홍수피해를 경감하기 위해서 홍수조절용 다목적 댐 건설과 같은 구조적 대책과 홍수를 사전에 예측할 수 있는 홍수예경보 시스템 구축과 같은 비구조적 대책의 마련이 필요하다. 일반적인 홍수예경보 시스템은 강우 관측치를 강우-유출 모형 및 수리해석 모형의 입력 자료로 하여 홍수량 및 홍수위를 계산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운영된다. 그러나 집중호우와 같은 악기상 조건에서는 관측강우자료를 이용한 유출해석 결과로 홍수예경보 시스템을 운영 할 경우 예방 대응시간의 부족으로 인해 방재 효율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미래에 발생할 강우를 사전에 예측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유출 모형과 연계하여 홍수발생 이전에 홍수발생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홍수 모의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중규모 수치예보모형인 WRF 모형(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model)으로 모의된 2007년 태풍 '나리' 사상의 예측강우를 이용하여 유역평균강우를 산정하였으며, 산정된 예측강우를 도시유역유출모형인 SWMM과 2차원 침수모의가 가능하도록 개선한 CASC2D 모형에 활용하여 침수현상을 모의하였다. 실제 침수흔적과 모의된 결과의 비교를 통해 예측강우를 이용한 침수예측 및 홍수예보의 가능성을 평가한 결과, 과소추정된 예측강우의 영향으로 인해 모의된 침수심이 실제보다 작게 발생하였으나 침수발생 위치는 대체적으로 정확하게 모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evelopment of Inundation Hazard Map for River Levee Failure (하천제방 붕괴로 인한 침수위험도 작성)

  • Park, Jae-Hong;Song, Jun-Ho;Kim, Mi-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546-55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홍수시 제내지 침수로 인한 큰 인명 및 재산 피해의 가장 큰 원인이 되는 제방 붕괴과정을 제방의 침식 및 세굴이론 등 물리적 이론에 근거하여 해석하고 이를 토대로 하천제방 붕괴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을 이용하여 하천제방 붕괴 모의를 수행하여 제내지의 2차원 침수양상을 분석하고 이를 이용하여 침수위험도를 작성하였다. 작성된 침수위험도는 제내지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효율적으로 제방붕괴에 대한 대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방붕괴로 인한 홍수재해보험 보험요율 산정시 침수위험도에 근거한 합리적 산정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모형의 적용 결과 홍수로 인한 제내지 침수위험도 산정을 위해 하천흐름-제방붕괴-제내지 침수해석을 연계하여 일관성 있게 모의할 수 있는 수치모형을 개발하여 실제 유역에 적용한 결과 제내지에서의 침수심, 침수면적, 하천 홍수위, 제방붕괴 폭 등이 합리적으로 계산됨을 알 수 있었다. 시간에 따른 제방 붕괴폭은 기존의 모형에서 사용하고 있는 순간적, 선형적인 붕괴가 아니라 포물선형의 붕괴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시간에 따라 붕괴폭도 합리적으로 계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내지의 침수심을 토대로 제내지 홍수시 침수위험도 산정기법을 개발하여 위험도를 산정한 결과 하천변에 위치한 지역이 위험도가 무조건적으로 높은 것은 아니라 지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 PDF

Application of Flood Inundation Analysis Model for Analysis of Sinchon Area (신촌지역 침수해석을 위한 범람해석모형의 적용)

  • Tak, Yong Hun;Jeong, Dong Wook;Kim, Young Do;Kang, Boo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12-412
    • /
    • 2015
  • 최근 기후변화 및 이상기후의 발생으로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강우가 발생하는 국지적인 기습강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급격히 발전하는 도시지역은 토지이용에 따라 불투수지역이 대부분이며, 유출량이 증가하고 도달시간이 줄어들어 내수침수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도시유역의 배수능력은 우수관거 말단부와 연결된 외수에 영향을 받기 쉽고, 복잡하고 긴 형태를 가진 도시유역의 관망분포에 따라 통수능 부족 및 외수에 의한 내수배제의 불량으로 인한 침수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도시유역에서 우수의 유출현상은 대부분 표면 흐름이나 우수관거를 통하여 흐르게 된다. 불투수층이 대부분인 도시유역의 강우에 의한 내수배제는 우수관거에 의존도가 높으며, 도시유역의 침수현상은 인간의 생활 및 사회기반시설 등에 직접적으로 피해를 입혀 막대한 재산피해와 인명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경우 큰 하천주변으로 많은 도시들이 위치하고 있어 내수배제 불량에 의한 침수피해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대비하기 위해 강우-유출 해석을 통하여 침수위험지역을 예측하고 홍수 저감을 위한 계획 수립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도시유역의 침수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관거의 통수능과 월류수 및 지표수의 흐름을 고려한 2차원 해석이 함께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 침수가 발생하였던 신촌지역에 대하여 침수해석을 위해 범람해석 모형을 적용하였다. 현재 도시유출모의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SWMM 모형을 이용하여 우수관거의 관망해석을 실시하고 관거의 용량을 초과하여 범람한 유량은 범람해석 모형인 FLUMEN 모형을 이용하여 침수 분석을 통해 노면수의 흐름을 분석하여 도시유역의 침수모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