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3-butanedione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2초

A Convenient Allylation of 1,n-Dicarbonyl Compounds Using Organoindium Reagents

  • 이필호;동서문;이구연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2권12호
    • /
    • pp.1380-1384
    • /
    • 2001
  • The chemoselective reactions of 1,n-dicarbonyl compounds with allyl halides using indium metal were investigated. $\alpha-Ketoesters$ such as ethyl pyruvate, ethyl 3-methyl-2-oxobutyrate and ethyl benzoylformate reacted with a variety of allyl halides i n the presence of indium to afford hydroxy unsaturated carbonyl compounds in good to excellent yields in MeOH/HCl at $25^{\circ}C.$ For the allyl bromide, the presence of various substituents at the $\alpha$ or $\gamma$ position exhibited little effects on both the reaction rates and yields. Ethyl acetoacetate or ethyl levulinate was treated with allylindium reagent to give hydroxy unsaturated carbonyl compounds in good yield. These results mean that both reactivity and selectivity are independent of the distance between carbonyl groups. 2,3-Butanedione or 1-phenyl-1,2-propanedione reacted with allylindium to produce monoallylation product as major compound.

8배위 12면체 Y(tpb)3(H2O)2착물의 합성과 구조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the Eight-Coordinated Dodecahedral Y(tpb)3(H2O)2)

  • 유종남;강성주
    • 대한화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40-243
    • /
    • 2007
  • 8배위 이트륨(III) 화합물 Y(tpb)3(H2O)2을 합성하였고 X-선 회절법으로 구조를 규명하였다. 이 화합물은 12 면체의 구조를 가지며, 두 면(Y-O2-O1-O5-O6 and Y-O4-O3-O8-O7)사이의 각은 89.59o이다. 또한, O1-O5과 O3-O8 의 거리는 2.965 and 2.995 A이며 O2-O6과 and O4-O7의 거리는 4.256 and 4.403 A이다.

연근 분말 첨가가 제빵의 적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otus root powder on the baking quality of white bread)

  • 김영숙;전순실;정승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13-425
    • /
    • 2002
  • 연근 분말 첨가가 제빵 적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품질의 특성을 파악하고 기능성과 영양적인 면을 고려한 최적의 배합비율을 알아보았다. 연근 첨가 식빵을 제조하였을 때 수분 함량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점점 증가하였다. 식빵의 crust 색도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밝기, 적색도, 황색도가 감소하였으며 crumb의 색도는 밝기만 감소하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증가하였다. 부피는 연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높이는 6%첨가에서 가장 높아 외관상 가장 좋았다. 유리아미노산은 연근을 첨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Glutamic acid, Alanine, Valine, Threonine, 등이 많이 검출되었다. 향기성분은 약 60개의 peak가 분리되었으며 고온에서 빵을 구울 때 아미노 카보닐 반응에 의해 생성된 2-Methylbutanal, 3-Methylbutanal은 빵 향기의 주된 성분이며, 2-Ethylfurn, 2,3- Butandione은 aldehyde류로 이스트의 발효에 의해 생성된 발효취이며, Ethyl acetate, vinyl acetate도 빵의 향기에 영향을 주는 에스테르류의 향기 성분이다. 조직감 측정시 경도와 부서짐성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탄력성은 큰 변화가 없었으며, 응집성, 점착성, 씸힘성은 감소하였다. 관능 검사 결과, 3%, 6% 첨가군은 대조군과 큰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기능성과 영양적인 면을 고려하여 연근 첨가 식빵을 제조하였을 때 6%첨가가 가장 적합하리라 사료된다.

Photochemical Cleavage of Dibenzoylmethane and Curcumin in the Presence of N,N-Dimethylaniline in Methanol

  • Kim, Sung-Sik;Mah, Yoon-Jung;Kim, Ae-Rhan;Cho, Kyung-Won
    • Journal of Photoscience
    • /
    • 제11권3호
    • /
    • pp.129-132
    • /
    • 2004
  • Photochemically stable dibenzoylmethane and curcumin were cleaved dramatically when they were irradiated in the presence of N,N-dimethylaniline in methanol with 300 nm UV light. Several products such as benzil, secondary product derived from 1,4-diphenyl-1,4-butanedione, and unidentified compound were observed from the photoreactions of dibenzoylmethane with N,N-dimethylaniline. It was also found that one of the primary fragments produced by irradiation of curcumin in methanol were coupled with N,N-dimethylaniline to give a new enone compound, i.e., 1-(4-dimethylaminophenyl)-4-(4-hydroxy-3-methoxyphenyl)-but-3-en-2-one, as the major product.

  • PDF

밀기울의 유산균 발효: 향기성분 및 유리아미노산 변화를 통한 제빵 소재로서의 가능성 (Fermentation of wheat bran through lactic acid bacteria: Changes in flavor components and free amino acids and potential applications in baking)

  • 나예림;박성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5호
    • /
    • pp.524-528
    • /
    • 2020
  • 밀기울을 유산균 종류에 따라 각각 발효물을 제조하고 그에 따른 향기성분을 SPME로 추출하여 GC-MS로 분석하였다. 총 19종류의 향기성분이 검출되었으며 이 중 알콜류가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컸으며 그 중에서도 1-hexanol이 21.05-29.06 ng/g으로 가장 다량으로 검출되었다. 이 중 유산균의 아미노산 대사에 의해 형성되는 알코올류인 3-methyl-1-butanol, phenethyl alcohol은 발효 후 증가하고, 아미노산 leucine, phenylalanine는 감소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케톤류 또한 발효에 의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는데 주로 유제품 유산균 발효에 의한 것으로 2,3-butanedione를 비롯한 buttery 풍미를 내는 케톤류들이 검출되었다. 이는 밀기울 유산균 발효 산물의 풍미를 증대시켜 식품 소재로서의 가치를 상승시킬 것이라 생각한다. 또한 알데하이드류는 감소하였는데, 알데하이드류는 주로 밀기울이 가지고 있는 이취 물질들으므로 유산균 발효를 통해 밀기울 소재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를 통해 사료나 폐기되는 제분 부산물을 유산균 발효를 통해 고부가가치 식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제과 및 제빵에 발효 밀기울을 응용, 적용함으로써 고 식이섬유 제품 및 풍미가 강화된 제품을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Penicillium verruculosum의 D-Xylanase와 $\beta$-Xylosidase의 활성부위 특성 (Properties of Active Sites of D-Xylanase and $\beta$-Xylosidase from Penicillium verruculosum)

  • 조남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7
    • /
    • 1994
  •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active sites of the D-xylanase and $\beta$-xylosidase purified from Penicillium verruculosum, effects of various chemicals on the enzyme activity were analyzed. The D-xylanase was activated by Cua), however it was inhibited by metal ions, Hg2+ and Mna+, by chemicals, N-bromosuccinimide, iodine, diethylpyrocarbonate, and 2,3-butanedion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D-xylanase from Penicillium verruculosum contained tyrosine, histidine, arginine and tryptophan at the active center. The $\beta$-xylosidase was inhibited by Hg2+, N-bromosuccinimide and sodium dodecyl sulfate, however it was not effected by Mn2+ and Cu2). It was suggested that the enzyme contained tryptophan at the active center.

  • PDF

전통 명태식해 저온숙성 중 휘발성 성분의 변화 (Changes of Volatile Components in Alaska Pollack Sik-hae during Low-Temperature Fermentation)

  • 차용준;정은정;김훈;이영미;조우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66-571
    • /
    • 2002
  • 명태식해의 산업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명태식해를 제조한 뒤 저온(5$^{\circ}C$)에서의 저장 중 휘발성 향기성분을 LLCE/GC/MS법으로 분석한 결과 총 65종의 화합물이 검출되었다. 이는 주로 함황화합물류(11종), 알콜류(13종), acid류(13종), 알데히드류(4종), 케톤류(4종), 테르펜류(6종), 방향족 화합물류(4종) 및 기타 화합물류(10종)로 구성되어 있었다. 한편 명태식해 숙성 중 함황화합물류(3-(methylthio)-1-propene, dimethyl disulfide, diallyl sulfide, methylallyl disulfide, methyl-(E)-propenyl disulfide, dimethyl trisulfide, 2 diallyl disulfide isomers, diallyl trisulfide), 산류(acetic acid, butanoic acid), 케톤류(2, 3-butanedione, 6-methyl-5-hepten-2-one) 및 기타 화합물류 중의 에스테르류(ethyl formate, ethyl acetate)가 저장기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었다(p<0.05). 특히 함황화합물류는 명태식해의 숙성과정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되었고, acid류, 케톤류 및 에스테르화합물류는 숙성 후반에 더 크게 관여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1-Transition Metal Complex Substituted-2,3,4,5-Tetraphenyl-1-Silacyclopentadienyl Complexes and Generation of Transition Metal Complex-Substituted Silylene

  • Paek Cheolki;Ko Jaejung;Kong Youngkun;Kim, Chang Hwan;Lee Myong Euy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5권6호
    • /
    • pp.460-465
    • /
    • 1994
  • New silicon-monosubstituted (${\eta}^4$-2,3,4,5-tetraphenyl-l-silacyclopentadiene)transi tion metal complexes are described. (7-Alkyl-7-silanorbornadienyl)MLn(Alkyl=Methyl: MLn=CpRu$(CO)_2$: Alkyl=Methyl: MLn=CpNi(CO): Alkyl=Ethyl: MLn=CpNi(CO)) complexes were prepared from the corresponding silole-transition metal complexes with dimethylacetylenedicarboxylate. Cycloaddition products were obtained with 2,3-dimethyl-1,3-butadiene, 2,3-butanedione, and 1,4-benzoquinone through the ruthenium-substituted silylene. We have determined the crystal structure of (1-methyl-2,3,4,5-tetraphenyl-l-silacyclopentadien yl)cyclopentadienyldicarbonylruthenium by using graphite monochromated Mo-Ka radiation. The compound was crystallized in the monoclinic space group $P2_{1/c}$ with a = 9.838(l), b = 15.972(3), c = 18.327(3) ${\AA}$, and ${\beta}= 94.28(l)^{circ}$. The ruthenium moiety CpRu$(CO)_2$ on silicon is in an axial position.

AEDA법에 의한 한국한 젓갈류의 Aroma-Active 성분의 구명 2. 시판 새우젓의 Aroma-Active 성분 (Identification of Aroma-Active Compounds in Korean Salt-Fermented Fishes by Aroma Extract Dilution Analysis 2. Aroma-Active Components in Salt-Fermented Shrimp on the Market)

  • 차용준;김훈;장성민;박지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19-325
    • /
    • 1999
  •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Korean salt fermented shrimp on the market were analyzed by vacuum simultaneous distillation solvent extraction/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olfac tometry(V SDE/GC/MS/O) and aroma extract dilution anlaysis(AEDA). A total of 32 volatile com pounds were detected by GC/O analysis. Of these, 18 were positively identified, and composed of S containing compounds(5), aldehydes(4), ketones(3), N containing compounds(3), ester(1), alcohol(1) and aromatic hydrocarbon(1). Predominant odorants(Log3FD$\geq$4) in salt fermented shrimp were 2,3 butanedione(sour/buttery), 1 octen 3 one(earthy/mushroom like), dimethyl trisulfide(cooked cabbage /soy sauce like) and 2 acetylthiazole(grainy/nutty). Predominant free amino acids were aspartic acid, glutamic acid(sour and umami taste), arginine, methionine(bitter) and lysine(sweet and bitter) in evaluation of taste value.

  • PDF

고온반응기로 제조한 구운 불고기 반응향의 향미특성 (Aroma Characterization of Roasted Bulgogi Reaction Flavor Manufactured by a High-temperature Reaction Apparatus)

  • 서원호;김영권;장성호;백형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76-183
    • /
    • 2015
  • 고온반응기로 제조한 구운 불고기 반응향의 향미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휘발성 성분 및 향 활성 화합물을 동정하고 반응온도에 따른 향 활성 화합물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증기증류 및 용매 동시추출법(SDE)을 이용하여 휘발성 향기성분을 추출하고,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olfactometry (GC-MS-O)를 통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고온반응기로 제조한 구운 불고기 반응향에서는 105종의 휘발성 성분이 동정되었으며, 이 중 furfural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5-methyl furfural, phenylacetaldehyde 및 nonanal 등이 구운 불고기 반응향에 중요한 휘발성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GC-MS-O를 통해 향 활성 성분을 분석한 결과 33종이 동정되었으며, 2,3-butanedione과 furfural 이 중요한 향 활성 화합물로 밝혀졌다. Hexanal, octanal, nonanal, undecanal, phenylacetaldehyde, 5-methyl furfural, 2,6-dimethyl pyrazine 및 dimethyl trisulfide도 구운 불고기 반응향의 향미특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향 활성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반응온도에 따른 향 활성성분을 비교분석한 결과, 반응온도가 증가할수록 향 활성 성분도 증가하였으나, sulfide 화합물은 반응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