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960s Korea

검색결과 897건 처리시간 0.028초

1960-70년대 아파트 선분양시스템에 관한 연구 - 서울 아파트 분양공고 분석을 통해 - (A Study on the Pre-sale in Lots System of Apartment in the 1960s and 1970s -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dvertisements for Apartment Sale in Seoul -)

  • 신운경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6권3호
    • /
    • pp.91-102
    • /
    • 2020
  • This study examined the apartment sale in lots system from 1960s to 1970s in Seoul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with the focus on the concept and changes of pre-sale in lots system. By tracing back historical context and application of the system in that perio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dvertisements for apartment sale, we found out the hidden side of the apartment pre-sale in lots system from the public's point of view, and its impact and meaning on the formation of our current residential culture. In the 1960s and 1970s, the apartment sale in lots system based on the pre-sale in lots system formed strong seller's market and it has been the main reason for imposing the wrong residential awareness that led the public to recognize housing as a means of property growth. Even now, the current apartment sale in lots system remains to be a supplier-oriented one, and lots of people tend to regard housing as investment method. That is, this mechanism is not only still working but one of the fundamental causes of impoverishing our residential culture.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pre-sale in lots system and the apartment sale in lots system in relation to the public of housing.

한국의 출산력 감소: 40년 동안의 정책과 출산행위간의 대화 (Fertility Decline in South Korea: Forty Years of Policy-Behavior Dialogue)

  • 최민자;박경애
    • 한국인구학
    • /
    • 제29권2호
    • /
    • pp.1-26
    • /
    • 2006
  • 1960-2000년 동안 한국의 사회경제적 상황, 인구정책, 출산력 감소간의 상호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연령별 출산율에 기반한 전통적 합계출산율이 혼인연령과 출산연령의 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기 때문에 센서스 2% 표본 자료를 활용하여 기간출생진도비(PPPR)를 계산하고, 가족의 크기 분포도를 살펴보았다. PPPR에 의거한 합계출산율은 1960년 5.21, 1980년 2.76, 2000년 1.69로 감소하였다. 가족계획사업은 1960년대와 1970년대에 걸쳐 원하는 자녀 수 이외의 출산을 예방하는데 성공했다. 1980년대에는 지속적인 출산억제정책으로 대체출산수준에 도달했고, 출생성비의 불균형 현상이 나타났다. 1990년대의 인구정책은 1자녀 장려정책 폐지와 함께, 출생성비균형, 인공유산 감소, 청소년을 위한 정책, 여성의 권한 증대 등 인구의 질과 복지에 초점을 두었다. 2000년대에는 한국의 출산력이 세계에서 가장 낮은 국가 중의 하나로 감소하였다. 2005년의 인구정책은 2010년까지 합계출산율 1.6 달성 목표를 채택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가임 기간 동안 자녀를 출산하지 않는 여성의 비중이 1995년 10%에서, 2000년 16%로 급증하였으며, 1997년 이후 그 비중이 다소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출산장려정책은 혼인과 첫째아 출산에 모아져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이를 위해, 여성의 직업과 가정의 양립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사회정책을 촉구하고 있다.

한국정부 수립 이후 행정체제의 변동과 국가기록관리체제의 개편(1948년~64년) (The Reform of the National Records Management System and Change of Administrative System in Korean Government from 1948 to 1964)

  • 이상훈
    • 기록학연구
    • /
    • 제21호
    • /
    • pp.169-246
    • /
    • 2009
  • 본 논문은 한국행정체제의 변동과 국가기록관리체제의 개편에 관한 연구로 정부수립부터 1960년대 초반 새롭게 국가기록 관리체제가 구축될 때까지를 그 범위로 다루었다. 여기서 1960년대 초반이란 당시 국가기록관리체제를 규정한 "정부공문서규정(1961.9.13)", "정부공문서분류표(1963.1.1)", "공문서보관 보존규정(1963.12.16)", "공문서보존기간종별책정기준에관한건(1964.4.22)" 등이 제정되기까지를 일컫는다. 또한 본 연구의 범위는 한국행정체제의 변동을 중심으로 하여 정부수립 초, 한국전쟁 이후, 군사정부가 등장하는 1960년대 초반 등의 시기로 나누었고, 각 시기별로 행정체제와의 상호관련 속에서 기록관리체제를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서 1960년대 초반에 구축된 국가기록관리체제의 근원과 그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정부수립 당시 한국정부의 행정체제는 조선총독부 행정체제의 틀로부터 벗어나지 못하였다. 그 이유는 무엇보다도 한국정부가 행정체제를 쇄신할 역량을 갖고 있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점은 당시 기록관리체제도 마찬가지였다. 즉 공문서의 서식 및 작성방법, 공문서관리프로세스, 분류 평가체계는 조선총독부의 기록관리체제를 그대로 원용하였다. 1960년대 초반 한국행정체제의 변동과 기록관리체제의 개편을 초래했던 주요 요인들은 195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한국사회에서 형성되고 있었다. 이는 한국육군, 공무원, 행정학도들이 각각 미국의 행정기법과 지식을 경험하면서 한국사회의 내재적 엘리트로 성장한 결과였다. 특히 한국전쟁 이후 한국육군에서 나타난 미 육군 사무관리제도와 십진파일링시스템의 도입은 한국기록관리제도사의 역사적 전개과정에 비추어 보았을 때 의미있는 변화였다. 이는 1960년대 초반 한국정부의 기록관리체제 개편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195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성장한 한국육군, 공무원, 행정학도들이 1960년대 초반 행정주체 및 행정개혁의 추진주체로 등장하면서 한국정부의 행정체제는 전면 재편되었고, 그 과정에서 추진된 문서행정의 현대화작업은 기록관리체제의 개편으로까지 이어졌다. 이때 개편방향은 과학적 관리법을 기반으로 한 기록물의 '효율적 능률적 통제'였으며, 이는 미국 사무관리제도와 십진파일링시스템을 한국 실정에 맞추는 작업을 통해 진행되었다. 그리하여 각종 공문서 서식과 규격 및 처리요령을 개선하고 표준화하였으며, 또한 업무기능에 기반을 둔 평가 분류체계를 전 정부차원에서 일원화하였다.

4.19 혁명과 5.16 군사정변기의 이데올로기와 복식 (Dress and Ideology during the period of 4.19 Revolution and the 5.16 Coup in the early 1960s Korea)

  • 이민정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706-718
    • /
    • 2014
  • Ideology which symbolizes the belief system about the order of human society represents itself in a concrete form through dress which reflects material and conceptual world. In the early 1960s Korea, where a civil revolution and a military coup took place, good examples of dress representing ideology could be foun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ress representing ideology of the period, and examines its manifestation and aspect of transition. Literature survey and case study were conduct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dress representing ideology was symbolically verifying its differences and was changing with the course of time. There were the flow going down from the government, and the flow going up from the movement of the civilian. Through this process, design elements of ideological dress were combined in a dialectic way to form a new representational dress such as Jaegunbok. Second, costly and luxurious clothes meant a tool to rule over people, and the opposition was uniform meaning equality. In 1960 Korea, black waves of school uniforms appeared to lead the social change. A year later, the military government seized power in a 5.16 coup and it enforced uniform upon every people to achieve equal austerity and modernized spirit. Lastly, cotton, which was originated from Gandhi's movement in India, was symbolizing nationalism till the early 1960s in Korea meaning the funding own development with own resources.

비키니 수영복에 관한 연구 -1946년에서 1960년대까지 미국을 중심으로- (Bikinis in the United States, from 1946 to the 1960s)

  • 이예영
    • 복식
    • /
    • 제56권7호
    • /
    • pp.142-151
    • /
    • 2006
  • Bikini, a brief two-piece bathing suit revealing the wearer's navel, was first introduced in Paris, in 1946. However, it was not until the late 1950s that Americans were ready to adopt bikinis. Therefore, I focused on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to understand the popularization process of bikinis in the United States, from 1946 to the 1960s: 1. Why were Americans initially hesitant to adopt the bikini? 2. What were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popularization of the bikini among Americans in the late 1950s? Primary sources including Bazaar. Madmoiselle, Vogue, The New York Times, and Life were reviewed. I referred to secondary sources on the history of fashion and American popular culture to interpret primary sources. According to the primary sources, Americans were hesitant to adopt the bikini, partly due to the excessive demand on the wearer's figure. However, the conservative social atmosphere during Cold War would not accept immorality and obscenity which would threaten America's future. Therefore, the campaigns against the sex industry, which developed prominently after WWII, predominated American society during the 1950s. Under this atmosphere, a small number of pictures and articles on bikinis appeared in the primary sources. Bikinis were only found in advertisements including sun lotions and hair removers. However, American society had to accept the change in sexual mores by the end of the 1930s. Body-revealing fashions including miniskirts, hot pants, and see-through material reflected the change in social convention. By the end of the 1950s, the number of pictures and articles on bikinis also began to increase in the primary sources. More Americans adopted bikinis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private pools and European trips. The vogue of sun-tanning and movies featuring bikinis further contributed to their popularity in the late 1930s and into the 1960s.

말띠여성 영화에서 나타나는 순응과 일탈 : 이형표 감독의 '말띠 삼부작'을 중심으로 (Adaptation and Deviation in the Films about Women Born in the Year of Horse)

  • 서곡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222-229
    • /
    • 2010
  • 본고는 <말띠여대생>, <말띠신부>, <말띠며느리>를 중심으로 강한 여성의 일탈이 가부장제와 어떻게 충돌하고 그것이 영화 속에서 어떻게 재현되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1960년대 <말띠여대생>은 강한 여성들 사이의 세대갈등과 나이든 사람의 패배를 다루고 있는데 시대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다. 그리고 1960년대 <말띠신부>는 전업주부 위상의 변화, 강인한 여성의 일탈과 회귀 그리고 현모양처화의 과정을 그리고 있다. 1970년대 <말띠며느리>는 적극적인 여성에 대한 거부와 가부장제 강화를 보여준다. 이러한 말띠영화들은 일탈을 포기하여 화해를 시도한다는 점에서 이 영화들은 가부장제에 순종하고 강한 여성을 처벌하는 내용이다. 하지만 이 영화들은 가부장제의 균열과 모순을 드러냄으로써 저항의 즐거움을 보여주기도 한다고 읽혀질 수 있다.

Cross-currents of Change and Continuity: Korean National Literature and Korean National Cinema

  • Kim, Daniel H.
    • 인문언어
    • /
    • 제7집
    • /
    • pp.247-269
    • /
    • 2005
  • The decade of the 1960s in Korea is normally regarded as a transitional period, but this transition has been consistently viewed in either economic or political terms. In this paper I examine the 1960s and the 1970s as a period of cultural transition―from a neo-Confucian emphasis on "high" art to a broader, more inclusive acceptance of "popular" forms of cultural expression. Although these two realms of cultural production are often viewed as fundamentally antithetical, I argue that there is actually significant continuity in terms of both artistic expression and cultural engagement. In particular, I look at the trajectories of Korean national literature and cinema and their areas of confluence. I examine the career of Kim $S{\breve{u}ng-ok$, who in the 1960s was the preeminent literary voice of a new generation and who in the 1970s was the screenwriter for some of the most popular films of that era, and I show how Kim's career changes track parallel changes in both literature and cinema. Artistically, Kim continued his literary expressions of a new sensibility in his screenplays, bringing to cinema a new infusion of seriousness and respectability. Culturally, Kim continued his explorations of the ways in which rapid changes in Korean politics and the booming economy led to miscommunication and chaos in society. By consistently exploring processes of national identity formation and re-formation, Kim's 1960s literature can be seen as crucial instances of Korean national literature (minjok munhak). In the same manner, Kim's 1970s screenplays can be seen as foundational moments in a Korean national cinema.

  • PDF

범람원과 삼각주 (Floodplain and Delta)

  • 이의한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5-23
    • /
    • 2011
  • 한국의 범람원에 관한 최초의 논문은 1960년대 후반에 발표되었다. 1970년대와 1980년대의 한국의 범람원과 삼각주에 관한 연구는 권혁재(고려대학교 명예교수)와 조화룡(경북대학교 명예교수)에 의해 주도되었다. 권혁재는 그러한 연구의 기초를 확립하였고, 조화룡은 충적지형을 미시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1990년대 이후, 범람원과 삼각주에 관한 연구는 정체 상태로 접어들었다.

<똘이 장군>에 반영된 반공적 이데올로기 이미지 표현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Expressing the Image of Anticommunistic Ideology Reflected in )

  • 장연이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15호
    • /
    • pp.109-122
    • /
    • 2009
  • 이념 정책의 한 방편으로 나타났던 문화 정책은 영화와 애니메이션에 많은 변화를 주었다. 1970년대 전후반, 반공 이데올로기 작품들의 등장은 한 때 만화영화로 불리며 아이들의 전유물로 인식되었던 한국 애니메이션에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데올로기라는 주제를 내세운 애니메이션의 등장은 비단 우리나라만의 특이성은 아니었지만 한국전과 전쟁 이후 분단이라는 특수성은 사회, 교육과 문화 전반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1960년대와 1970년대에 걸친 영화법의 개정은 영화 및 애니메이션에 큰 영향을 주었고 반공에 대한 의식을 다지는 수단이 되었다. 특히, 1978년 상영된 김청기 감독의 작품 <똘이 장군 - 제 3땅굴편>은 반공을 주제로 한 첫 극장용 장편애니메이션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본 논문에서는 반공 애니메이션에 표현된 반공 이데올로기와 <똘이 장군>에 반영된 이데올로기 이미지 표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우선, 1960년-1970년 대 영화관련 문화정책과 사회 문화적 배경이 반공 애니메이션의 등장에 끼친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이러한 배경 하에 제작된 <똘이 장군>에 나타난 반공 이데올로기의 전달을 위해 표현된 애니메이션 이미지가 갖는 특성의 연구를 통해 반공 애니메이션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1890년${\sim}$1960년대 여자 저고리 감정 (The Appraisal of Female Jackets from the Period of $1890s{\sim}1960s$)

  • 최은수
    • 복식
    • /
    • 제58권5호
    • /
    • pp.178-197
    • /
    • 2008
  • Due to the inflow of the western culture since the 19th century, female skirts and jackets have been changed considerably in detail though their basic composition was maintained. The analysis on female jackets from the start of the modern period to 1960s has been undertaken with artefacts as well as reports and research dissertations related to them. For period appraisal, analysis was divided into several periods which are from 1890s to 1910s, and every 10 years afterwards. As a result, aspects for the appraisal in each period was found. Aspects for period appraisal in modern jackets can be a change in total length and side length, a change in shape of the sleeves (from straight to round), a change in width, and a difference in closed shape of the collars. Material and color can be another aspect which shows fashionable material or new materials (man-made textile or nylon) of each period, color combination of surface and lining material as well as other parts of the jacket, use of a stiffener made with net or sheer textiles. Research using books and archives is important for the appraisal of the garment artifact. However, most of all, one should have the attitude of examining the artifacts frequently in order to achieve deeper understanding and an eye for accurate apprai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