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Appraisal of Female Jackets from the Period of $1890s{\sim}1960s$  

Choi, Eun-Soo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58, no.5, 2008 , pp. 178-19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Due to the inflow of the western culture since the 19th century, female skirts and jackets have been changed considerably in detail though their basic composition was maintained. The analysis on female jackets from the start of the modern period to 1960s has been undertaken with artefacts as well as reports and research dissertations related to them. For period appraisal, analysis was divided into several periods which are from 1890s to 1910s, and every 10 years afterwards. As a result, aspects for the appraisal in each period was found. Aspects for period appraisal in modern jackets can be a change in total length and side length, a change in shape of the sleeves (from straight to round), a change in width, and a difference in closed shape of the collars. Material and color can be another aspect which shows fashionable material or new materials (man-made textile or nylon) of each period, color combination of surface and lining material as well as other parts of the jacket, use of a stiffener made with net or sheer textiles. Research using books and archives is important for the appraisal of the garment artifact. However, most of all, one should have the attitude of examining the artifacts frequently in order to achieve deeper understanding and an eye for accurate appraisal.
Keywords
jacket; period appraisal; shape of the sleeves; samwhaejang; silk; muslin;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찬주 외 (2001). 20세기 초와 20세기 말의 전통한복 착용 비교. 대한가정학회지, 39(4)
2 김영자 (1984). 조선시대 여자 저고리 소매에 관한 연구. 여성문제연구, 13
3 이경자 (1985). 저고리의 역사. 한국복식사론. 서울: 일지사
4 충북대학교 박물관 (1987). 우리나라 1900년대 전반기 복식의 실증적 고찰. 출토유의 및 근대복식논고. 충북대학교박물관, pp. 159-164
5 충북대학교 박물관. 우리나라 1900년대 전반기 복식의 실증적 고찰. 출토유의 및 근대복식논고. 충북대학교박물관, pp. 161-162
6 이경자(1985). 한국복식사론, 서울: 일지사, pp. 72-74
7 황의숙 (1995). 한국여성전통복식의 양식변화에 관한 연구-개화기 이후의 복식을 중심으로. 복식, 26, p.296
8 남윤숙. 한국현대여성복식제도의 변천과정 연구.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9, p. 155
9 충북대학교 박물관. 우리나라 1900년대 전반기 복식의 실증적 고찰. 출토유의 및 근대복식논고. 충북대학교박물관, pp. 162-164
10 황의숙 (1995). 한국여성전통복식의 양식변화에 관한 연구-개화기 이후의 복식을 중심으로. 복식, 26, p.298
11 조효숙, 송미경 (2007). 저고리의 역사적 변천. 그리운 저고리. 서울: 경운박물관, p.186
12 이호정, 조우현 (2008). 근대 이후 여자저고리 유물의 색조에 관한 연구. 생활과학, 11, p.71-80
13 이경자 (1985). 한국복식사론, 서울: 일지사, pp. 63-68
14 이경자(1985). 한국복식사론, 서울: 일지사, pp. 68-70
15 충북대학교 박물관 (1987). 우리나라 1900년대 전반기 복식의 실증적 고찰. 출토유의 및 근대복식논고. 충북대학교박물관, pp. 159
16 김문자(1981). 조선시대 저고리 깃에 대한 연구. 복식, 5, p. 195
17 경운박물관. 그리운 저고리. 서울: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도록 p. 9
18 경운박물관. 그리운 저고리. 서울: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도록 경운 6-경운 25
19 충북대학교 박물관 (1987). 우리나라 1900년대 전반기 복식의 실증적 고찰. 출토유의 및 근대복식논고. 충북대학교박물관, pp. 159-161
20 박규미, 유송옥 (1997). 유물실측을 통한 여자저고리의 치수연구-조선시대를 중심으로. 복식, 32(19)
21 경운박물관. 그리운 저고리. 서울: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도록, p.82
22 황의숙 (1995). 한국여성전통복식의 양식변화에 관한 연구-개화기 이후의 복식을 중심으로. 복식, 26, p.301
23 이호정, 조우현 (2008). 근대 이후 여자저고리 유물의 색조에 관한 연구. 생활과학, 11
24 이경자(1985). 한국복식사론, 서울: 일지사, pp. 63-80
25 충북대학교 박물관. 우리나라 1900년대 전반기 복식의 실증적 고찰. 출토유의 및 근대복식논고. 충북대학교박물관, pp. 162-163
26 경운박물관. 그리운 저고리. 서울: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도록, p.85-87
27 경운박물관 (2007). 그리운 저고리. 서울: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도록
28 박규미, 유송옥 (1997). 유물실측을 통한 여자저고리의 치수연구-조선시대를 중심으로. 복식, 32(19)
29 조효순, 김경희 (1997) 한국 개화기 여성복식의 변천요인-집단복식을 중심으로-. 복식, 32
30 경운박물관. 그리운 저고리. 서울: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도록, p.51
31 경운박물관. 그리운 저고리. 서울: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도록, 경운72-경운120
32 경운박물관. 그리운 저고리. 서울: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도록 p. 8
33 경운박물관. 그리운 저고리. 서울: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도록 pp. 35
34 황효영 (1969). 한국여자 저고리 형태의 역사적 변천. 대한가정학회지, 7
35 조효숙, 송미경 (2007). 저고리의 역사적 변천. 그리운 저고리. 서울: 경운박물관
36 경운박물관. 그리운 저고리. 서울: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도록 pp. 12-13
37 박경자(1983). 한국복식논고. 서울: 신구문화사. pp. 229-231
38 박경자 (1983). 한국복식논고. 서울: 신구문화사. p. 231
39 이경자(1985). 한국복식사론, 서울: 일지사, pp. 73-74
40 이태옥 (2005). 19세기 이후 여자 저고리 변천에 관한 실증적 연구.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1 김영자 (1984). 조선시대 여자 저고리 소매에 관한 연구. 여성문제연구, 13, pp. 318-323
42 김문자 (1981). 조선시대 저고리 깃에 대한 연구. 복식, 5
43 경운박물관. 그리운 저고리. 서울: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도록 p. 12
44 경운박물관. 그리운 저고리. 서울: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도록 p. 20
45 황의숙 (1995). 한국여성전통복식의 양식변화에 관한 연구-개화기 이후의 복식을 중심으로. 복식, 26
46 박경자 (1983). 한국복식논고. 서울: 신구문화사. p. 231
47 이경자(1985). 한국복식사론, 서울: 일지사, pp. 74-75
48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그리운 저고리. 2007년 10월 19일-12월 15일까지 개최
49 김문자 (1981). 조선시대 저고리 깃에 대한 연구. 복식, 5, p. 194
50 경운박물관. 그리운 저고리. 서울: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도록 경운 26-경운46
51 숙명여자대학교박물관 (1993). 박물관 도록. 서울: 숙명여자대학교박물관
52 황효영 (1969). 한국여자 저고리 형태의 역사적 변천. 대한가정학회지, 7, p. 31
53 박경자 (1983). 한국복식논고. 서울: 신구문화사. p. 229-231
54 경운박물관. 그리운 저고리. 서울: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도록, 경운121-경운210
55 임숙자 외 (1994). 개화기 이후 여성복식의 100년 변천사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