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960s Korea

검색결과 896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의 근대적 대기업 및 기업집단 형성사 - 정부 개입(1960년대와 70년대)을 중심으로 (Historical Essay on the Growth of Modern Big Business Corporations and the Formation of Business Groups in Korea - With the Focus on the Government Intervention)

  • 백광기
    • 산학경영연구
    • /
    • 제17권
    • /
    • pp.27-52
    • /
    • 2004
  • 1960년대와 1970년대에 걸친 한국경제의 성공적 도약과 이에 따른 기업의 성장은 정부의 적극적 개입에 의한 것이다. 이러한 정부주도의 경제성장이 우리나라에서 성공하게 된 이유는 박정희 정권이 효과적인 관료제를 확립하였을 뿐 아니라 수출실적 등과 같은 객관적 기구에 의하여 시장기구 못지않은 기율을 기업들에 실시한데 있다. 1960년대의 기업성장 및 기업집단 형성의 요인들로는 경제개발과정에서의 정부정책사업 및 수출 진흥정책에의 편승에 의한 특혜, 차관도입을 위시한 금융특혜, 공기업의 민영화 및 부실차관기업의 정리, 그리고 월남특수 등을 들 수 있다. 1970년대에는 8.3 사채동결조치, 중화학공업화, 중동건설특수, 종합무역상사제도의 도입 그리고 60년대 정부의 금융지배이후 계속되어오는 금융 및 자본시장에서의 경제적 지대를 기업성장 및 기업집단형성의 요인들로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혜에 의한 성장은 기업의 비관련 다각화를 촉진시켰고, 간접금융에 의존하는 악성 기업재무구조를 유도하였고, 재벌중심의 독과점산업구조를 형성시켰다.

  • PDF

1960년$\sim$2007년 수도권 아파트단지의 공동생활공간 변화 과정 (A Study on the Changing Trends of Community Spaces in Apartment Complexes in the National Capital from 1960s to 2007)

  • 이남식;서귀숙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95-104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ystematically to examine the changes that have taken place to the community spaces of apartment complexes in the national capital region of Korea. The methodology used in this study entails analyzing existing research and case studies carried out on this subject matter. Prior to these case studies, an existing study had been made of the chronological changes in policy,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in Korea since the 1960s. This case study presents the component ratio and systematized present situation of community spaces in twenty-two apartment complexes. An analysis of the researching process has revealed the following important factors related to the changes that have occurred in community spaces in apartment complexes. (1) Apartment complexes were originally developed in the 1960s to ease the housing shortage. Because the priority was to solve the housing shortage, community spaces were not widely considered or developed. (2) The standard of community spaces was established as mandatory by law in the 1970s, resulting in the emergence of various facilities that provided community spaces. (3) In the 1980s, various design competitions for apartment complexes were conducted as an attempt to improve residential environments. This process resulted in the development of new characteristic of subsidiary facilities. (4) During the period when housing problems were being addressed in the 1990s, the Community Service Center was added to the welfare facilities for residents. (5) Recently, during the 2000s, an improvement in residential environments has evolved due to the expansion of housing supply and economic growth. The quality of community spaces has therefore improved from the 1960s onward. This study revealed that policy and related laws regarding community space in Korea have been developing in a suitable direction and that the addition of various facilities to community spaces has improved the quality of living environments.

1960년대 한국단편애니메이션 연구 - 국립영화제작소 문화영화 중 애니메이션에 관하여 (A Study of Korean Short Animation Films in 1960s - On Animation from Culture Movies of the National Film Production Center of Korea)

  • 김종옥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0호
    • /
    • pp.1-31
    • /
    • 2015
  • 서구 유럽 및 일본애니메이션에 비해 짧은 역사를 지닌 한국 애니메이션은 1950년대 후반 광고애니메이션과 문화영화의 일환으로 제작된 비상업용 단편애니메이션으로 출발하였다. 1960년대 영화법과 문화정책이 투영된 문화영화 애니메이션은 한국애니메이션의 역사에서 거의 언급되지 않고 있지만, 극장용 장편애니메이션 이전에 제작된 귀중한 문화 창작물이다. 특히 15초 내외의 짧은 CF애니메이션에 비해 4분에서 10분 내외의 단편애니메이션으로 그 당시 한국애니메이션의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사료적 가치가 있는 작품들이다. 1960년대에 20여편의 단편애니메이션이 제작 되었으며, 주로 근대화 정책추진과정에서 국민들을 계몽하기 위한 교육 내용을 담고 있다. 국립영화제작소에서 문화영화로 제작된 단편애니메이션은 셀을 활용한 카툰애니메이션 이외에도 페이퍼애니메이션, 퍼핏애니메이션도 제작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논문은 1960년대에 국립영화제작소에서 제작된 단편애니메이션에 주목해보고자 한다. CF 이외에 초기 단편애니메이션의 연구가 거의 없는 상태에서 작품의 발굴과 분석은 의미 있는 일이라 생각하며, 이 창작과정에 참여했던 박영일감독, 한성학감독, 정도빈감독, 신동헌감독, 넬슨신감독 등이 이후 극장용 애니메이션 감독으로 활동하였기에 그 작품에 대한 분석은 한국애니메이션을 이해하는 중요한 기반 연구가 될 것이라고 본다. 논문에서는 국립영화제작소 창설의 시대적 상황 및 1960년대 국립영화제작소에서 창작된 단편애니메이션 중 감독 등 참여인력을 확인할 수 있는 10편의 작품을 중심으로 서사적 의미와 조형적 특징을 연구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그간 한국애니메이션역사 연구에서 간과된 비상업적 단편애니메이션에 대한 고찰과 향후 한국애니메이션사에 대한 보다 풍부한 연구가 진행되는 단초를 마련해보고자 한다.

1960년대 한반도 모자이크 영상 제작 (Generation Mosaic Image of 1960's Satellite Photographs Covering the Korean Peninsula)

  • 손홍규;김기홍;이진화;곽은주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05-209
    • /
    • 2003
  • The urbanization of Korea has been rapidly progressed since 1960. Current available satellite images used in various fields are obtained after 1975. The CORONA Image data declassified in 1995, and are the only source of image which provide 1960's topographic inform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sense CORONA imagery can be readily applicable for change detection in various fields such as urban, forest and environmental planning. To generate CORONA mosaic image of Korea we undertook comparative analysis of the various geocoding methods. We also applied the linear regression method to perform the radiometric balance between the strips.

  • PDF

1960년대 이후 광택소재 이미지 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ing Image of Glossy Materials after 1960s)

  • 이유경;이희현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64-72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hanging fashion image of the glossy materials including metal, leather, vinyl, latex, plastic etc. from 1960's to the present. Glossy materials used in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showed a restricted image combined with a specific social circumstance. They expressed a reflection of young and future-oriented space period of 1960s. Many designers like Paco Rabanne and Andre Courreges were concerned with the fashion of space age and expressed that image with leather and synthetic materials including silver leather, metal chain armor, and plastic appeared as the keynote of fashion. In 1970's, glossy material was the symbol of avant-garde and rebellious attitude by the punk fashion. They maximized glamourous look of 1980s, and cyber look with an expectation for a new millenium of 1990s. On the other side, glossy materials seem to be used as a source of various inspiration of fashion designer in the 21st century. Also, some of the past images, for example space look and glamourous look, are revived in the 21 st century by the form of modified design.

  • PDF

CORONA 영상을 이용한 한반도 지역 모자이크 영상 제작 (Creating Mosaic Image of the Korean Peninsula from CORONA Imagery)

  • 송영선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67-73
    • /
    • 2005
  • 우리나라는 1960년대부터 급속한 도시화가 이루어졌으나, 현재까지 활용되어온 위성영상들은 1970년대 이후에 얻어진 영상들이기 때문에 과거 1960년대 한반도 지역의 지형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자료가 거의 없다. 최근에 일반인에게 공개된 CORONA 영상은 과거 1960년대의 한반도 지형정보를 고해상도 및 광역적 범위로 제공할 수 있는 영상으로써, 도시, 산림, 환경 등 여러 분야의 변화탐지 자료로 활용성이 크다. 본 연구에서는 1960년대의 CORONA 영상을 이용한 과거 한반도 지역 모자이크 영상의 제작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기하보정 방법으로 1차, 2차, 3차 다항식과 변형된 공선조건식에 대한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정확도를 평가한 결과 엄밀식의 정확도가 가장 높았으나 지상 기준점 취득의 문제로 인해 20개의 기준점을 사용한 2차 다항식으로 기하보정을 수행한 후 한반도 모자이크 영상을 제작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이를 바탕으로 1960년대 한반도 지역을 모두 포함하는 CORONA 모자이크 영상을 생성하였으며, 생성된 모자이크 영상은 도시계획이나 변화탐지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농촌여성의 농업노동 및 의사결정 참여의 변화 - 196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의 변화를 중심으로- (The Change of Agricultural Labor Participation and Decision-Making Involvement of Rural Women in Korea -from 1960s to 1990s-)

  • 조희금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0권1호
    • /
    • pp.75-86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change of agricultural labor participation and decision-making involvement of rural women in Korea from 1960s to 1990s. For analysis of these changes, I used the data surveyed and collected by different researchers during those times. During last 40 years, rural society and the mode of agricultural production rapidly chang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industry. Agricultural labor participation of rural women increased since the mid 1970s. Their agricultural labor expanded into full ranges of farming. Their decision-making involvement also expanded into all divisions of farming. However, they did not have decision making power as much as they contributed to farm labor The expansion of rural women's labor within the sphere of farm production has not substantially altered the decision-making power structure within the farm household.

대기 중 PCBs의 거동 및 환경 중 분포 (Atmospheric Concentration and Environmental Distribution of PCBs in Korea)

  • 여현구;최민규;천만영;조기철;선우영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1-42
    • /
    • 2003
  • 1960년 이전 대기 중 PCBs(polychlorinated biphenyls)의 유입은 여러 나라에서 다량으로 사용한 PCBs에 의해 많이 좌우되었다. 대기 중 PCBs의 최대 배출은 1960년대 후반이었으며 그 이후로 점점 감소하는 추세이다. 오늘날 이 화합물은 사용이 금지되었으며 대부분의 국가에서 법적인 근거를 마련하였다. 그러므로 최근 대기 중 PCBs의 발생원은 이전에 배출된 화합물이 재휘발(revolatilization)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에도 PCBs가 포함된 설비를 사용하고 있으며, PCBs가 함유된 쓰레기가 여전히 환경중으로 배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중략)

  • PDF

단게 겐조(丹下健三) 건축의 디자인방법론적 특성변화에 관한 연구 -기능주의적 경향과 구조주의적 경향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nge of Design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Architecture of Kenzo Tange -focused on the Change from Functionalism to Structuralist Approach-)

  • 권제중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91-201
    • /
    • 2018
  • 본 연구는 일본 건축가 단게 겐조(丹下健三)의 건축에서 1960년대를 기점으로 나타났던 중요한 변화에 대해 그 원인과 결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일본의 초기 현대건축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던 단게는 1960년 무렵부터 일본의 새로운 시대, 새로운 건축을 위해 자신이 추구했던 기존의 기능주의적 경향에서 벗어나 구조주의적 방법을 제시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단게가 1960년대 이후 지향했던 구조주의적 경향이 이전 시기의 기능주의적 경향으로부터 어떤 발전과 변화를 이루어 결과적으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또한 구조주의적 경향으로의 변화에 영향을 미친 원인들은 무엇인지 등에 대해 연구한다. 결론적으로 단게의 이론은 기존 기능주의의 개념을 부정하는 대안의 제시라기보다는 기능주의와 구조주의 모두를 포괄하는 것으로서 기능요소와 그 구조화를 통해 오히려 기존의 기능주의가 가졌던 단점을 보완하면서 효율적인 기능의 재정비를 이루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