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eating Mosaic Image of the Korean Peninsula from CORONA Imagery

CORONA 영상을 이용한 한반도 지역 모자이크 영상 제작

  • 송영선 (연세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Published : 2005.12.30

Abstract

The urbanization of Korea has been rapidly progressed since 1960, but satellite imagery have provided the information only after 1975. Recently released CORONA imagery is one of the few source of satellite image which can provide 1960's topographic information of the Korean Peninsular. It can be applied to change detection in various fields such as urban, forest, and environmental planning. In this research mosaic image of past Korean Peninsular using CORONA imagery in the 1960s were generated. A polynomial equation and a modified collinearity equation were applied for geo-referencing and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In this research the 2nd polynomial equations were used for geo-referencing of CORONA imagery. After carrying out geo-referencing, mosaic image was generated using Erdas Imagine. It is assumed that this result image is very useful for various fields such as generation of thematic maps, urban planning, and change detection.

우리나라는 1960년대부터 급속한 도시화가 이루어졌으나, 현재까지 활용되어온 위성영상들은 1970년대 이후에 얻어진 영상들이기 때문에 과거 1960년대 한반도 지역의 지형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자료가 거의 없다. 최근에 일반인에게 공개된 CORONA 영상은 과거 1960년대의 한반도 지형정보를 고해상도 및 광역적 범위로 제공할 수 있는 영상으로써, 도시, 산림, 환경 등 여러 분야의 변화탐지 자료로 활용성이 크다. 본 연구에서는 1960년대의 CORONA 영상을 이용한 과거 한반도 지역 모자이크 영상의 제작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기하보정 방법으로 1차, 2차, 3차 다항식과 변형된 공선조건식에 대한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정확도를 평가한 결과 엄밀식의 정확도가 가장 높았으나 지상 기준점 취득의 문제로 인해 20개의 기준점을 사용한 2차 다항식으로 기하보정을 수행한 후 한반도 모자이크 영상을 제작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이를 바탕으로 1960년대 한반도 지역을 모두 포함하는 CORONA 모자이크 영상을 생성하였으며, 생성된 모자이크 영상은 도시계획이나 변화탐지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