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910s

검색결과 326건 처리시간 0.026초

$1910{sim}1965$ 건조물문화재 보수공사의 시공특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culiarity of Construction Work for Architectural Properties during $1910{sim}1965$)

  • 김재국
    • 건축역사연구
    • /
    • 제15권1호
    • /
    • pp.77-99
    • /
    • 2006
  • This study is on the construction work of Preservation for Korean architectural properties during the period of japan invader. Korea lost their preservation ability of architectural properties when went through specific background from 1910 to 1945, which was the period of japan invader. Through this situation japan had to face the preservation of architectural properties for japan and korea. After 1945, korea has preserved the architectural properties over 50's years and which accomplishment every yew. Also, there are some architectural properties which registered in world heritages. However, the study of this period is not studied enough. Especially a construction work for architectural properties during this period is not become know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three. First is to analyze construction work data(a specifications and etc.) for accessing originality of korea architectural properties. Second is to understand about the construction works of preservation for the korean architectural properties. and the last is to compare the peculiarities of construction work of Preservation for korean architectural properties between during 1910-1945 and 1945-1965.

  • PDF

한국 근대소설에 표현된 여자복식 -1910년∼1945년을 중심으로 (A study on Woman Costume presented in the Korean Modern Novel -focused on the period from 1910 to 1945-)

  • 김새봄;이은숙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47-55
    • /
    • 2003
  • This study was aimed at analyzing the woman costume presented in the korean modern novel by continuity, mixture, and discontinuity. For the costume analysis, the korean modern novel written from 1910 to 1945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Continuity: It doesn't mean discontinuity from the past but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the past, which explains about the costume culture for the period from 1910 to 1919. During this period, people tended to wear korean traditional costume in an effort to maintain their national identity. 2. Mixture: It means the effort to synthesize and develop past, present and future, which explains about the apparel for the period from 1920 to 1937. During this period, western culture was introduced much into korea to be established as part of our people's life. The new generation of women who studied abroad introduced the western costume throughout the cities, while the convenient western costume served to improve korean traditional costume. 3. Discontinuity: It means a conscious departure from the past as well as a critical reaction to the past, which explains about the costume culture for the period from 1938 to 1945. For this period, western costume was popular among new generation of women, while it was more diversified with increasing population wearing them. Many country men and women proceeded to wear the western costume.

  • PDF

1916년 <조선총독부건축표준>의 제정 배경과 계획적 적용 (The Context of Enactment and the Application to the Design of in 1916)

  • 주상훈
    • 건축역사연구
    • /
    • 제28권6호
    • /
    • pp.67-76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ntext of enactment and the application to the design of in 1916.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ion are as follows; First, One-third are general rules of common application, Second, regulations related to cold resistance are set up separately, last, each of the 21 articles was equally divided for schools, hospitals and prisons. The standard reflect the times of the mid-1910s. The Trend of using of the Western Building System in the 1910s, The need for building construction against cold weather, and Actual conditions of renovation, extension and new plans by facility. Furthermore, the fact that various regulations concerning standard design were enacted and used in various Japanese institutions around the 1910s may have influenced the establishment of the standard. Meanwhile, after checking the status of the reflection of the standard on the planning drawings of the government facilities around 1916, it was also found that the plan was carried out in compliance with the provisions of the standard, and that the items already applied before the enactment had been organized into architectural standards.

개화기 한국가정생활: 매일신보 사설을 중심으로 (Korean Family life in Early 20th Century: Editorial of Maeil-Shinbo, 1910~1945)

  • 임정빈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3권1호
    • /
    • pp.95-104
    • /
    • 1999
  •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family life and its changing process in the early twenty’s century. It is explored through the editorial of the Maeil-Shinho during 1910∼1945. It is valuable work to explore of family life in the Maeil-Shinbo newspapers because it was continuously published from 1910 to 1945. The author attempted to study family life in five major such as food and nutrition, clothing, resource management, family, and child care. And of the articles food and nutrition parts ranks the highest order and clothing care was the second highest. In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many of articles were about to family life but decreased its amount by 1940. Of the editorials, most articles had dealt with the educational context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family life.

  • PDF

전(前)자본주의 분배체계의 해체 - 환곡을 중심으로 1910년 강제병탄까지 - (The Dissolution of Pre-capitalistic Distributional System - From 1876 to 1910 -)

  • 윤홍식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8권2호
    • /
    • pp.79-105
    • /
    • 2016
  • 본 연구는 1876년 개항을 전후한 시기부터 1910년까지의 분배체계를 검토하면서 전자본주의 사회의 분배체계를 정치와 경제의 연관성 하에서 이해하려고 했다. 너무나 당연한 결론이지만 분배체계는 한 사회의 정치적 경제적 특성과 변화를 반영하고 있다는 명제가 전자본주의 사회에서도 여전히 통용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경제적 변화에 조응하지 못하는 분배체계는 그 시대를 사는 사람들에게 "축복이 아니라 재앙"이라는 사실을 환곡이 세금으로 변화되는 과정을 통해서 확인했다. 이를 통해 이 연구는 몇 가지 중요한 함의와 질문을 도출해 냈다. 하나는 일제강점기 이전 조선사회의 분배체계에 대한 새로운 서술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다른 하나는 대부분의 사회복지 문헌들에서 근대이전의 조선의 분배제도로 '계'와 '향약' 등 민간에서 이루어진 자조적 제도를 언급하지만 이는 조선사회의 분배체계, 특히 조선후기 분배체계의 특성을 적확(的確)하게 설명한 것이라고 보기 어렵다. 제도가 진공상태에서 만들어지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하면 조선이 자본주의 세계체계에 편입된 개항을 전후한 조선후기의 분배체계에 대한 이해 현재 한국사회의 분배체계(복지체제)를 이해하는 출발점으로 다시 복원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 PDF

신문에 반영된 사회환경과 세제 변화 (Transition of Social environment and Detergent Based on Newspapers: Focusing on Mail, Dong-a and Cho-seun ilbo from 1910`s to 1998`s)

  • 신상숙
    • 복식문화연구
    • /
    • 제7권1호
    • /
    • pp.165-176
    • /
    • 199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news on the detergent to know transition of the detergent and the social environment in the Korean daily newspaper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nvironment and detergent were analyzed articles of Mail, Dong-a and Cho-seunilbo from 1910\`s to 1998\`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imes of ancient detergent had been existed natural cleaners. Times of hard-type detergent was happened problems th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he safty of the human body. Times of soft -type detergent needed development new detergents for decrease of environmental pollution. Times of detergent on the affinity environment were used the refill products, mark of environmental protection for decrease the pollution of the environment.

  • PDF

GIS/LIS와 수치지도용 국가평면좌표계에 관한 연구 (The National Grid Systems for Digital Mapping and GIS/LIS)

  • 이영진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99-309
    • /
    • 1998
  • 국가평면좌표계는 GIS/LIS의 구축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며 위치정보를 나타내는데 기준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국가기본도에서는 1910년대에 동경원점을 기준으로 하는 3개의 평면좌표계를 채택하고 Gauss-Schreiber 투영법을 적용한 바 있으며 그 후 Gauss-Kruger 투영법으로 변경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토지조사사업에서 구축된 기존의 지도좌표계의 계산체계와 투영법에 있어서 불명확함으로 인하여 내재되어 있는 구조적인 문제점을 분석하고 10.405"에 대한 처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GIS/LIS에서 공간데이터의 관리와 GPS의 활용에 적합한 새로운 수치지도 좌표계의 도입을 위하여 외국의 사례를 분석하고 검토하였다. 새로운 지도좌표계는 한반도 전역을 포괄할 수 있도록 경도 $127^\circ\;30'$ 을 중앙자오선으로 하고 TM 투영법에 의한 단일좌표계로 설정하는 방안이 제시되었으며, 지구중심좌표계에 의한 GRS80타원체를 채택할 것을 제안하였다.안하였다.

  • PDF

New records of three monogonont and seven bdelloid rotifers from Korea

  • Song, Min Ok;Lee, Chang-Ho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0권4호
    • /
    • pp.392-404
    • /
    • 2021
  • Rotifers collected from mosses, leaf litter, soil, and wetland at six different locations in Korea were investigated. Ten species belonging to six genera in four families of monogonont and bdelloid rotifers were new to Korea: Habrotrocha scepanotrochoides De Koning, 1947, H. tripus (Murray, 1907), Lecane opias (Harring and Myers, 1926), L. perpusilla (Hauer, 1929), Macrotrachela decora (Bryce, 1912), Otostephanos auriculatus auriculatus(Murray, 1911), O. torquatus amoenus Milne, 1916, Scepanotrocha corniculata Bryce, 1910, S. simplex De Koning, 1947, and Testudinella brevicaudata Yamamoto, 1951. Among these 10 Korean new records, Habrotrocha scepanotrochoides, H. tripus, Macrotrachela decora, Otostephanos auriculatus auriculatus, O. torquatus amoenus, Scepanotrocha corniculata, and S. simplex were new to Asia as well. The present study is the first report of the genus Scepanotrocha Bryce, 1910 from Korea. Here, diagnostic characteristics and photomicrographs are provided for each Korean new record. In addition, a partial sequence of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1 gene (mtCOX1) for S. simplex is presented.

식민지 '미디어 효과론'의 구성 대중 통제 기술로서 미디어 '영향 담론' ('Media Influence' Discourses Articulated for Crowd Control in Colonial Korea)

  • 유선영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77권
    • /
    • pp.137-163
    • /
    • 2016
  • 사진, 환등, 영화는 20세기 전반기의 경이롭고 마술적인 시각 기술, 1910년대 중반 상업적 가능성을 확인시킨 시기를 거쳐, 1920~1930년대 내내 문화적 패권을 향유한 유일한 미디어였다. 처음부터 근대적 오락으로 소비된 시각 미디어들에 대한 담론은 1920년대 초반까지 영화보다는 관객이 집합하는 공간인 극장 통제, 즉 군중 통제에 역점을 두고 구성되었다. 그러다 영화 자체가 현대적 문화와 미학의 표준이 된 1920년대 중반 이후 무성영화시대에는 당대의 지배적 학문 분야들인 심리학, 사회학, 대중 심리학의 개념과 이론을 적용하여 영화가 대중에게 미치는 강력한 도덕, 심리, 정신면의 부정적 영향을 강조하게 된다. 이데올로기 도구이자 동시에 근대 리얼리즘의 재현 매체로서 가능성을 지닌 시각 기술과 그것의 정점에 있는 영화의 영향을 부정적으로 규정해 간 것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식민적 미디어 영향 담론'이 처음부터 통치의 문제였으며 상업적 소비대중과 저항적 군중 통제를 위한 담론이었음을 주장하였다. 주목해야 할 사실은 이를 통해 일제의 식민지 통치성이 부단히 세계적, 보편적 사유와 지적흐름을 수용하면서 구성되어 갔지만 식민지 대중의 동의를 얻는 데는 실패한 담론이었다는 점이다.

  • PDF

근대 교육기(1876 ${\sim}$ 1910) 학회지를 통한 과학교육의 전개 (Development of Science Education through Academic Journal of Educational Associations during the Modern Educational Period (1876${\sim}$ 1910) in Korea)

  • 이면우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75-88
    • /
    • 2001
  • 근대교육기(1876${\sim}$1910) 중 1905년부터 1910년 사이는 우리 나라 교육에 대한 일제의 간섭이 가장 극심했던 시기였다. 이에 대응하여 우리 민족은 전국 단위나 지방 단위로 학회를 세웠고, 학회를 통하여 근대 교육을 실천하려는 의지를 보였다. 이 연구에서는 근대교육기에 국내에서 출판된 학회지 9종 132권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근대교육기에 발간된 학회지의 주요 내용은 민족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역사나 지리 등의 내용과 계몽적인 차원에서 서구의 정치나 경제 체제를 소개하는 글과 더불어 자연과학에 관한 논술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했다는 점이다. 둘째, 과학 관련 논술을 분야별로 분석해보면 생리${\cdot}$ 위생을 포함한 생물학 분야와 지구과학 분야가 비교적 많았다. 반면에 물리학이나 화학 분야는 아주 적었다는 특징이 나타난다. 셋째, 학회지에 게재된 지구과학 관련 논술만 분석하더라도, 대부분 같은 저자에 의해 교과서적인 기초 내용을 연재한 논술이 많이 보인다. 이러한 의미에서 학술지에 게재된 과학 관련 논술은 근대 교육기에 우리 나름의 과학 교육을 확립하기 위한 노력으로 평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