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8-03

검색결과 1,931건 처리시간 0.024초

OMC-1의 12 CO, 13CO, C18O의 관측 (12 CO, 13CO, AND C18 OBSERVATIONS TOWARD OMC-1)

  • 천문석;송혜정;손영종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9권1호
    • /
    • pp.7-18
    • /
    • 2002
  • 대덕전파천문대의 구경 13.7m 전파망원경으로 오리온 분자운 OMc-1에 대한 CO 동위원소 관측을 실시하였다. 관측 중심은 적경 (1950) $5^{h}32^{m}47^{s}$, 적위 $-5^{circ}24'23"$이고, 이 지역을 중심으로 전체 $11'{\times}11'$ 영역에 대한 mapping을 수행하였다. 관측 결과 각 지점에서의 속도, 정점 온도, 적분 온도 등을 얻었고 이 값들을 이용하여 $^{13}CO\;와\;C^{18}O$의 광학적 깊이와 기둥밀도를 계산하였다. $^{13}CO$의 광학적 두께는 0.1~0.4, $C^{18}O$의 경우 0.01~0.03의 값을 나타내었다. 계산 된 $^{13}CO$$C^{18}O$의 기둥밀도로부터 $^{12}C$$^{13}C$의 존재비를 결정하여 약 2~60사이의 값을 가짐을 알 수 있었고, OMC-1 내에서$^{13}C/^{13}C$의 중심거리에 대한 변화는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음을 볼 수 있었다수 있었다

Glass 첨가량에 따른 ZnO 바리스터의 전기적 특성 (Electrical Properties of ZnO Varistors with Variation of Glass Addition)

  • 조현무;이종덕;박상만;이성갑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815-820
    • /
    • 2005
  • ZnO varistor ceramics were fabricated with variation of addition of glass-frit amount and the sintering temperature was $1100^{\circ}C$. The average grain sizes were showed increased from $8.6{\mu}m\;to\;10{\mu}m$, and varistor voltages were decreased from 506V to 460V by added amount of glass-frit. Nonlinear coefficient $\alpha$, of all were with increasing the amount of glass-frit more than 70, in case of added on $0.03wt\%$ glass-frit was 83. And leakage current were less than $1{\mu}A$ with applied at $82\%$ of varistor voltage. The clamping voltage ratio of the specimens added $0.03wt\%$ glass-frit was 1.41 at applied 25A $[8/20\;{\mu}s]$. In the specimen added $0.03wt\%$ glass-frit, endurance of surge current and deviation of varistor voltage were $6200A/cm^2,\;\Delta-1.67\%$, respectively and clamping voltage ratio was 2.33. In the Specimen added $0.03wt\%$ glass-frit were superior to any other compositions on High Temperature Load Test(HTLT) for 1000 hr at $85^{\circ}C$, and deviation of the varistor voltage were $\Delta-1.29\%$.

남해지역 마늘종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arlic (Allium sativum L.) shoots from different areas in Namhae)

  • 윤환식;강민정;황초롱;심혜진;김경민;신정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21-327
    • /
    • 2014
  • 마늘종의 주요 성분 함량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마늘의 주산지인 남해군 8개 지역에서 마늘종을 수거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수분은 $80.15{\pm}0.37{\sim}83.87{\pm}0.15g/100g$, 조단백 및 조지방은 각각 $1.59{\pm}0.02{\sim}2.25{\pm}0.09g/100g$$0.35{\pm}0.01{\sim}0.48{\pm}0.03g/100g$이었으며 회분은 $0.65{\pm}0.03{\sim}0.71{\pm}0.03g/100g$이었다. 총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33.02{\pm}1.78{\sim}58.41{\pm}1.08mg/100g$$11.60{\pm}3.36{\sim}23.95{\pm}2.04mg/100g$이었다. 총 클로로필 함량은 이동면 지역의 마늘종에서 $170.58{\pm}1.04{\mu}g/g$으로 가장 높았고 창선면 지역의 마늘종은 $116.65{\pm}0.00{\mu}g/g$으로 가장 낮았다. 무기물은 총 8종이 검출되었으며, 검출된 무기물 중 칼륨($7257.0{\pm}87.9{\sim}10070.0{\pm}9.7mg/kg$)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총량은 이동면과 남해읍 지역의 마늘종이 각각 21,163.7 mg/kg과 20,608.3 mg/kg으로 타 지역산에 비해 높은 함량이었다. 알리신 함량은 $78.03{\pm}6.15{\sim}203.43{\pm}18.47mg/kg$으로 재배지역에 따라 함량 차이가 컸으며, 함황화합물 5종을 분석한 결과 diallyl trisulfide가 약 70%로 가장 함유 비율이 높았는데, 이동면 지역 마늘종에서 $427.03{\pm}27.72mg/k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지리적 환경이 유사한 남해군내 8개 지역에서 재배된 마늘종의 성분간 함량 차이는 시비량, 일조량 등의 재배 환경과 재배품종 및 재배기술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며, 마늘종 재배지역간의 함량차이는 있으나 마늘의 유효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식품소재로서 활용 가치가 우수할 것으로 판단된다.

60년대부터의 수도권 시정 변화 특성연구 (Visibility Tren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ince 1960s)

  • 박한석;김경원;김영준;방소영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93-294
    • /
    • 2003
  • 국내의 시정측정은 목측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기상청에서는 1940년대부터 목측을 통해서 시정의 변화를 관측해 왔으며,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인천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의 시정 변화를 상대습도의 영향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초기(1940년- 1964년)의 목측은 숙련된 사람이 매일 03, 09, 15시의 3번을 관측하였고, 65년부터 82년 4월까지는 03, 09, 15, 21시의 4번 관측을 하였으며, 82년 5월부터는 3시간 간격으로 매일 8번(03, 06, 09, 12, 15, 18, 21, 24)의 관측이 이루어졌다. 야간시정은 주간과 같은 밝기로 가정하여 목표물을 확인하거나, 집광되지 않은 백색의 전등빛을 이용하는 식별법이다. (중략)

  • PDF

Evaluation of absorbed dose in monkey and mouse using 18F-FDG PET and CT density information

  • Kim, Wook;Lee, Yong Jin;Park, Yong Sung;Cho, Doo-Wan;Lee, Hong-Soo;Han, Su-Cheol;Kang, Joo Hyun;Woo, Sang-Keun
    • 대한방사성의약품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8-24
    • /
    • 2017
  • Patient-specific image-based internal dosimetry involves using the patient's individual anatomy and spatial distribution of radioactivity over time to obtain an absorbed dose calculation. Individual absorbed dose was calculated by accumulated activity multiply S-value of each orga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alculate the S-values using Monte Carlo simulation in monkey and mouse and evaluation of absorbed dose in each organ. Self-irradiation S-value of monkey heart self-irradiation was 3.15E-03 mGy-g/MBq-s, lung self-irradiation was 8.94E-04 mGy-g/MBq-s and liver self-irradiation S-value was 2.23E-03 mGy-g/MBq-s. Mouse heart self-irradiation S-value was 1.95E-01 mGy-g/MBq-s, lung was 9.59E-02 mGy-g/MBq-s, and liver was 1.40E-03 mGy-g/MBq-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calculation protocol of image based individual absorbed dose of each organ using Monte Carlo simulation. Therefore, this study may be applied to calculate human specific absorbed dose.

Efficacy of Half Dose House Dust Mites-Specific Immunotherapy on Canine Atopic Dermatitis

  • Park, Jeong-Ho;Lee, Wang-Hui;Park, Seong-Jun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8-22
    • /
    • 201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e that the hypothesis of half dose (HD) allergen-specific immunotherapy (ASIT) in the treatment of canine atopic dermatitis (CAD) would result in a similar success rate compared to the standard dose (SD) ASIT. Clinical signs were evaluated using a third version of the Canine Atopic Dermatitis Extent and Severity Index (CADESI-03) prior to ASIT (day 0), at the end of induction (day 43), and at three month afterwards (day 90). Of the 18 atopic dogs, 12 dogs (SD group: 6; HD group: 6) had a good - excellent response to the house dust mites-specific immunotherapy. The efficacies of ASIT were 66.6% in both groups. The grades of reduction rate CADESI-03 were not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Therefore, half dose protocol of house dust mites-specific immunotherapy is an effective and efficient method to treat CAD.

식물유(植物油)의 Triglyceride조성(組成)에 관한 연구(硏究) -제3보(第3報) : 올리브기름의 Triglyceride조성(組成)- (Studies on the Triglyceride Composition of some Vegetable Oils -III. Triglyceride Composition of Olive Oil-)

  • 최수안;박영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6-69
    • /
    • 1983
  • 올리브기름의 트리-글리세리드조성(組成)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시료유(試料油)를 TLC에 의하여, 트리-글리세리드를 분리(分離)하고, 분리(分離)한 트리-글리세리드 HPLC에 의하여 PN별(別)로 4군(群)으로 분획(分劃)하였으며, 각 획분(劃分)을 분취(分取)하여 GLC에 의하여 acyl탄소수별(炭素數別)로 분획(分劃)하였다. 또 PN별(別) 획분(劃分)은 GLC로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을 분석(分析)하였다. 올리브기름에 있어서 주(主)로 PN48에 acyl탄소(炭素) C-52 및 C-54가 높은 비율(比率)로 함유되어 있으며, 지방산(脂肪酸)은 C18 : 1 및 C18 : 2가 주요성분(主要成分)으로 구성(構成)되여 있었다. 시료유(試料油)의 주요(主要) 트리-글리세리드를 들면 다음과 같다. $(3{\times}C18:1;50.46%),\;(1{\times}C16:0,\;2{\times}C18:1;23.51%)$ $(2{\times}C18:1,\;1{\times}C18:2;5.48%),\;(1{\times}C18:0,\;2{\times}C18:1;4.55%)$ $(1{\times}C16:0,\;1{\times}C18:1,\;1{\times}C18:2;2.94%)\;(2{\times}C16:0,\;1{\times}C18:1;2.35%)$ $(1{\times}C16:1,\;2{\times}C18:1;2.21%),\;(1{\times}C18:1,\;2{\times}C18:2;1.06%)$, 및 $(1{\times}C14:0,\;2{\times}C18:1;1.03%)$이였다.

  • PDF

Streptomyces sp. DMCJ-49 균주가 생산하는 Alpha-Amylase 저해제 MB4-03의 분리와 구조분석 (Isolation and Structural Analysis of MB4-03, an $\alpha$-Amylase Inhibitor Produced by Streptomyces sp. DMCJ-49)

  • 염대현;최응철;김병각;김진웅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38-343
    • /
    • 1990
  • Streptomyces sp. DMCJ-49 균주의 배양액으로부터 분리된 $\alpha$-amylase 저해물질 MB4-03은 구조상 질소원자와 methyl기를 포함하는 일종의 직선형 Alpha(1-4) 결합으로 연결된 glucose의 변형된 oligomer 형태로서 구성 단당류는 12 정도로 추정된다.

  • PDF

자동렌즈미터를 이용한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굴절력 측정 방법에 관한 신뢰도 (Reliability of Measurements of Back Vertex Power for Soft Contact Lenses Using an Auto-Lensmeter)

  • 김건규;이욱진;이선행;곽호원;유동식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9-46
    • /
    • 2010
  • 목적: 자동렌즈미터를 이용한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굴절력 측정에서 dry blotting과 wet cell 방법에 따른 신뢰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측정에 사용한 소프트렌즈는 현재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렌즈 5종류, 4개의 굴절력(-1.50D, -3.00D, -6.00D, -9.00D)을 이용하였고, 두 검사자가 자동렌즈미터로 측정하여 반복성과 재현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Dry blotting방법으로 측정한 굴절력의 평균 차이는 0.03~0.18D였으며,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에서 0.10~0.18D, 하이드로겔 렌즈에서 0.03~0.08D로 나타났다. 두 검사 간의 평균 차이는 0.10D이하로 측정자 간의 재현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Wet cell방법으로 측정한 굴절력의 평균 차이는 0.09~0.69D였으며, 두 검사자 간에 평균 차이는 0.02~0.59D로 나타났으며, 소재에 따른 측정의 신뢰도와 검사자 간의 재현성은 낮았다. 결론: 모든 재질에 대해 dry blotting 방법이 wet cell방법보다 신뢰도가 좋았으며, 두 방법 모두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에서는 낮은 신뢰도를 보였다. 자동렌즈미터를 이용하여 신속히 후면 정점굴절력을 확인할 필요가 있는 실무 현장에서 dry blotting방법이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연안 표층퇴적물중의 유기물함량 분포특성 (On the Distribution of Organic Matter in the Nearshore Surface Sediment of Korea)

  • 강창근;이필용;박주석;김평중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557-566
    • /
    • 1993
  • 한국연안해역 표층퇴적물중의 유기물함량 분포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1993년 2월에 총117개 정점에서 중력식 corer로 채취한 표층퇴적물 시료에 대해서 유기탄소와 질소함량, 강열감량, 화학적산소요구량, phaeopigment 및 총황화물량을 측정하였다. 표층퇴적물중 유기 탄소 및 질소함량은 각각 $0.03{\sim}5.41\%$(평균 $1.08\%$), $0.01{\sim}0.44\%$(평균 $0.18\%$) 범위였는데 진주만에서 부산항사이의 남해동부연안역에서 각각 평균 $2.18\%$$0.23\%$로서 한반도 주변해역중 가장 높았고 금강에서 동진강에 이르는 군산연안 해역이 각각 평균 $0.17\%$$0.03\%$로 가장 낮은 분포였다. 주요인 분석의 결과는 조사해역의 표층퇴적물중 유기물함량 분포특징을 잘 나타냈는데 유기물 함량 즉 부영양화의 정도에 따라 서해와 남해동부해역이 뚜렷이 구분되며 부산항과 마산만 입구에서의 높은 C/N비는 이 수역이 인근 도시의 생활하수나 산업폐수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마산만내의 표층퇴적물은 높은 황화물량을 보여 다른 해역과 뚜렷이 구분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