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37Cs inventory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4초

'Hillslope Erosion Assessment using 137Cs radionuclide in Granite and Sedimentary rock basins in South Korea'

  • Orkhonselenge, A.;Tanaka, Y.;Kim, Song-Hyun;Kim, Yong-Kyun
    • 한국제4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제4기학회 2005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7-11
    • /
    • 2005
  • The soil erosion processes have estimated using spatial distribution of 137Cs radionuclide in Granite and Sedimentary Hillslopes in South Korea. The local variability of 137Cs inventory indicates that was related positively to organic matter content, clay content and water content and negatively to hydraulic permeability and slope gradient for bulk samples in different landforms within Granite and Sedimentary rock basins. The vertical variability of 137Cs inventory shows that most of 137Cs concentration and organic matter were accumulated between 0 and 2cms and gradually decrease with soil depth in incremental samples in both basins. The vertical variability of 137Cs inventories shows that 137Csinventories increase as we go to toward downslope in both basins. Finally, the soil loss values indicate that hillslope erosion processes are more intensive in Granite rock basin than those in Sedimentary rock basin.

  • PDF

Radiation Monitoring i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ime Dependencies of Air Dose Rate and 137Cs Inventory

  • Yoshimura, Kazuya;Nakama, Shigeo;Fujiwara, Kenso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7권1호
    • /
    • pp.30-38
    • /
    • 2022
  • Background: Residential areas have some factors on the external exposure of residents, who usually spend a long time in these areas. Although various survey has been carried out by the government or the research institutions after the Fukushima Daiichi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the mechanism of radiocesium inventory in the terrestrial zone has not been cleared. To better evaluate the radiation environmen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emporal changes in air dose rate and 137Cs inventories (Bq/m2) in residential areas and agricultural fields. Materials and Methods: Air dose rate and 137Cs inventories were investigated in residential areas located in an evacuation zone at 5-8 km from the Fukushima Daiichi Nuclear Power Plant. From December 2014 to September 2018, the air dose rate distribution was investigated through a walking survey (backpack survey), which was conducted by operators carrying a γ-ray detector on their backs. Additionally, from December 2014 to January 2021, the 137Cs inventories on paved and permeable grounds were also measured using a portable γ-ray detector. Results and Discussion: In the areas where decontamination was not performed, the air dose rate decreased faster in residential areas than in agricultural fields. Moreover, the 137Cs inventory on paved surfaces decreased with time owing to the horizontal wash-off, while the 137Cs inventory on permeable surfaces decreased dramatically owing to the decontamination activities.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horizontal wash-off of 137Cs on paved surfaces facilitated the air dose rate decrease in residential areas to a greater extent compared with agricultural fields, in which the air dose rate decreased because of the vertical migration of 137Cs. Results of this study can explain the faster environmental restoration in a residential environment reported by previous studies.

산림유역 개발이 하천 출구의 토사 퇴적에 미치는 영향: 일본 쿠시로습지의 연구결과 (Influence of Land Use Change in the Forest Catchment on Sediment Accumulation at the Outlets of Rivers: Results of a Study in Kushiro Mire, Northern Japan)

  • 안영상;중촌태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6호
    • /
    • pp.669-675
    • /
    • 2009
  • 본 연구는 산림유역 개발이 하천 출구의 토사 퇴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토사 퇴적물에 함유된 세슘 농도를 분석하여 세슘총량과 토사 퇴적속도를 계산하였다. 세슘은 1954년 핵실험에 의해 최초 방출되었고, 토사의 입자에 흡착되어 퇴적하기 때문에 토사 퇴적물의 연대측정으로 이용되고 있다. 쿠시로습지유역의 대규모 산림은 1950년대 이후 농지로 개발되었고, 1954년 이후 하천 출구에서는 36~148 cm의 부유토사가 퇴적되었다. 세슘을 함유한 토사는 유역으로부터 유출되어 하천 출구에 퇴적하므로 하천 출구에서 세슘총량은 대조구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세슘총량은 토사 퇴적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지만, 쿠쪼로강과 쿠시로강의 출구에서 세슘총량은 완만하게 증가하였다. 왜냐하면 쿠쪼로강과 쿠시로강에서 유로침식으로 발생한 토사는 세슘을 거의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들 하천 출구에서 토사퇴적은 증가하고 있었지만 세슘총량은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한국토양에 존재하는 $^{137}Cs$ 방사능 분포 (Cumulative Deposition of $^{137}Cs$ in the Soil of Korea)

  • 이명호;최용호;신현상;김상복;이창우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3권2호
    • /
    • pp.97-102
    • /
    • 1998
  • 한국 토양에 존재하는 $^{137}Cs$ 방사능 분포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137}Cs$ 방사능 농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남한지역 17개 지점에 대하여 20cm 깊이로 토양을 채취한 후 감마스펙트로메타를 이용하여 $^{137}Cs$ 방사능 농도를 결정하였다. 야산지역과 숲속에 대한 $^{137}Cs$의 평균 농도는 각각 $1,058{\pm}322$ Bq $m^{-2}$$2,501{\pm}499$ Bq $m^{-2}$로, 숲속의 $^{137}Cs$의 농도가 야산지역보다 약 두배정도 높은 수치를 보였다. 인위적 교란이 없는 지역에서 토양깊이 변화에 따른 $^{137}Cs$ 분포는 토양깊이가 증가할수록 지수함수적으로 감소경향성을 나타내었다. $^{137}Cs$ 농도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인자를 조사한 결과 유기물 함량이 $^{137}Cs$의 토양 침적에 중요한 작용을 함을 알 수 있었고 강수량, 점토의 함량 및 pH과 같은 인자들은 $^{137}Cs$의 토양 침적과 상관관계가 거의 없슴을 발견 할 수 있었다.

  • PDF

토양 중 $^{137}Cs$$^{90}Sr$의 깊이별 분포특성 (Vertical distirbution of $^{137}Cs\;and\;^{90}Sr$ activities in the soils of Korea)

  • 차현주;박두원;박효국;강문자;이완로;최근식;조영현;정근호;이행필;신현상;이창우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9권3호
    • /
    • pp.197-204
    • /
    • 2004
  • 고리, 영광, 울진, 월성, 고성 및 제주의 6개 지역 토양에 대해 $^{137}Cs$ 방사능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중 고성 및 제주 지역 토양에 대해 $^{90}Sr$ 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지역은 지리적 위치, 환경조건 및 생성 모암이 각기 다른 특징을 갖고 있으며 $^{137}Cs$ 농도는 불검출 ${\sim}$ 185 Bq/kg의 범위를 보였으며 $^{90}Sr$은 2.79 - 8.n Bq/kg의 농도 범위를 보였다. $^{137}Cs$$^{90}Sr$ 농도는 지역별로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표층에서 가장 높고 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지역별 $^{137}Cs$ 농도분포는 강수량, 유기물함량 등의 요인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토양의 입도 및 점토함량과는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지역별로는 제주지역 토양의 $^{137}Cs$ 농도가 가장 높고 그 다음은 고성지역이었다. 제주지역의 $^{137}Cs$ 농도는 고성에 비해 2배 가량 높았으나, 토성의 차이로 인해 현존량은 두 지역이 비슷한 값을 보였다.

137Cs, 40K and 210Po in abiotic components of aquatic ecosystems two rivers in the Can Gio biosphere reserve, Vietnam

  • Ilya G. Sidorov ;Nataliya N. Tereshchenko ;Andrey A. Korotkov;Olga D. Chuzhikova-Proskurnina;Nguyen Trong Hiep ;Aleksandr V. Trapeznikov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4권11호
    • /
    • pp.4265-4271
    • /
    • 2022
  • Determination of 137Cs, 40K and 210Po in water, bottom sediments and suspended matter of river systems of the Can Gio Biosphere Reserve, Vietnam was carried out. The average activity concentration of 137Cs in waters of Ca Gau and Long Tau was 0.89 ± 0.14 and 1.08 ± 0.15 Bq m-3 and was comparable to the levels of this radioisotope in waters of the East Sea. The activity concentration of 137Cs in bottom sediments was 2.23 ± 0.81 and 3.63 ± 1.24 Bq kg-1. The activity concentration of 137Cs in water and bottom sediments could be characterized as low. So, the water areas of the Ca Gau and Long Tau rivers could be attributed to areas with insignificant pollution by technogenic radionuclides. The 210Po activity concentration in bottom sediments of the Ca Gau and Long Tau rivers ranged from 9.2 ± 1.2 to 25.5 ± 2.1 Bq kg-1, which is typical for river bottom sediments. Such values indicate the absence of anthropogenic enhancement of the entry of this radionuclide into the Can Gio river systems. The 40K activity concentration varied within 467 ± 42-651 ± 39 Bq kg-1 and represented typical values of potassium content in the bottom sediments of coastal water bodies, subject to a significant influence of the lithogenic component of suspended matter.

우리나라 주변해역 주요 인공방사성 핵종 분포 특성 (I: 황해)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dissolved artificial radionuclides in the adjacent seas of Korea(I : Yellow Sea))

  • 정창수;김영일;문덕수;김석현;박준건;서승모;홍기훈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13
    • /
    • 2001
  • 황해의 주요 인공방사성 핵종인 /sup 137/Cs, /sup 239.240/Pu, /sup 238/Pu, /sup 90/Sr의 분포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동계 및 춘계의 해양 관측을 실시하여 시료를 채집하였다. 표층 시료 (100리터)는 양수 펌프를 이용하였고, 10m 이하 수심에서는 대용량 해수채수기를 이용하였다. 표층수의 인공방사성 핵종들의 농도 범위는 /sup 137/Cs이 1.78~3.38 mBq kg/sup -l/, /sup 239.240/Pu은 2.17~13.35 μBq kg/sup -l/, /sup 90/Sr이 1.97~3.96 mBq kg/sup -1/이었다. /sup 239.240/Pu의 경우 양자강 하구 인접 해역 (61~83 μBq kg/sup -1/)에 비해서 약 1/10 수준으로 낮았다. 표ㆍ저층수간에 수직별 /sup 239.240/Pu 농도는 3.0 μBq kg/sup -1/ 이내로 작다. 이것은 수심이 얕고, 입자성부유물질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황해의 경우 /sup 239.240/Pu이 스카벤징에 의해 가라앉아 해저퇴적물에 빨리 축적되기 때문이다. 대기낙진 형태로 입력된 /sup 239.240/Pu중 약 0.7~0.9 % 정도만 해수에 머무른다. 인공방사성 핵종 비는 /sup 239.240/Pu//sup 137/Cs 및 /sup 137/Cs//sup 90/Sr 비는 각각 0.001-0.005, 0.79~l.65 범위로서, 대기경로가 인공방사성핵종의 유일한 공급원인 대양과 유사함으로서, 환해 해수의 인공방사성 핵종 기원은 대기 낙진이 우세함을 가리킨다.

  • PDF

국내 원자력발전소 잡고체폐기물의 예측방사능량과 실측방사능량의 비교분석 (Comparison of Radionuclide Inventory Between Predicted and Measured Activity of Dry Active Waste From Korea Nuclear Power Plant)

  • 정강일;김진형;정노겸;박진백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81-299
    • /
    • 2017
  • 핵종재고량 관리는 처분시설의 안전한 관리를 위해서는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원자력발전소의 잡고체폐기물에 대하여 기존 발생된 폐기물 자료를 반영한 예측방사능량과 실제 처분시설을 운영하면서 인수되어 처분검사까지 완료된 실제방사능량을 비교분석하였다. 극저준위방사성폐기물에서는 $^{137}CS$, $^{90}Sr$, $^{99}Tc$ 그리고 $^{129}I$ 핵종이 예측방사능량보다 실제방사능량이 높게 평가되었으며, 저준위방사성폐기물에서는 모든 핵종에서 예측방사능량이 실제 방사능량보다 높게 평가되었다. 또한 척도인자에 의한 예측방사능량의 민감도 분석을 통해 준위별 수량 및 총방사능량의 변화추이를 분석하였다. 향후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의 안전한 운영과 Safety Case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Radiochemical Analysis of Filters Used During the Decommissioning of Research Reactors for Disposal

  • Kyungwon Suh;Jung Bo Yoo;Kwang-Soon Choi;Gi Yong Kim;Simon Oh;Kanghyun Yoo;Kwang Eun Lee;Shinkyoung Lee;Young Sang Lee;Hyeju Lee;Junhyuck Kim;Kyunghun Jung;Sora Choi;Tae-Hong Park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89-500
    • /
    • 2022
  • The decommissioning of nuclear facilities produces various types of radiologically contaminated waste. In addition, dismantlement activities, including cutting, packing, and clean-up at the facility site, result in secondary radioactive waste such as filters, resin, plastic, and clothing. Determining of the radionuclide content of this waste is an important step for the determination of a suitable management strategy including classification and disposal. In this work, we radiochemically characterized the radionuclide activities of filters used during the decommissioning of Korea Research Reactors (KRRs) 1 and 2.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filter samples contained mainly 3H (500-3,600 Bq·g-1), 14C (7.5-29 Bq·g-1), 55Fe (1.1- 7.1 Bq·g-1), 59Ni (0.60-1.0 Bq·g-1), 60Co (0.74-70 Bq·g-1), 63Ni (0.60-94 Bq·g-1), 90Sr (0.25-5.0 Bq·g-1), 137Cs (0.64-8.7 Bq·g-1), and 152Eu (0.19-2.9) Bq·g-1. In addition, the gross alpha radioactivity of the samples was measured to be between 0.32-1.1 Bq·g-1. The radionuclide concentrations were below the concentration limit stated in the low- and intermediatelevel waste acceptance criteria of the Nuclear Safety and Security Commission, and used for the disposal of the KRRs waste drums to a repositor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