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00 ppb ozone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5초

잎의 가시적(可視的) 피해(被害)에 따른 오존에 대(對)한 미류나무(Populus deltoides) 클론간(間) 감수성(感受性) 비교(比較) (Comparing of Clonal Sensitivity of Populus deltoides to Atmospheric Ozone with Use of Visible Foliar Injury)

  • 이재천;김인식;여진기;구영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1호
    • /
    • pp.10-18
    • /
    • 2001
  • 오존 환경에 클론간 감수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미류나무(Populus deltoides Marsh.) 10클론을 walk-in type인 4개의 chamber에 대조구, 50ppb, 100ppb, 150ppb 등 4가지 처리로 하루 8시간씩 21일간 계속하여 노출한 후 조기 낙엽율과 잎의 가시적 피해율을 조사하였다. 조기 낙엽율은 처리전과 비교할 때 저농도에서 고농도 순으로 처리농도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150ppb 처리구에서는 50% 이상의 높은 낙엽율을 보였다. 잎의 가시적 피해는 대조구와 50ppb 처리구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100ppb 처리구에서는 피해잎 출현율(LA)은 17.3%, 피해면적(AA)은 6.5%로 본당 전체 피해율(LAA)은 1.6%로 나타났고, l50ppb 처리구에서는 피해잎 출현율 34.1%, 피해면적 17.5%로 전체 피해율 7.4%를 보였다. 잎의 가시적인 피해현상이 나타난 100ppb와 150ppb 처리구에서는 클론간에 피해의 차이를 보여 수종내 클론간의 감수성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고농도 오존일의 강우와 운량 (Precipitation and Cloud Cover on High Ozone Days)

  • 김영성;김영진;윤순창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747-755
    • /
    • 1999
  • Effects of precipitation and cloud cover on high ozone days are examined by investigating the precipitation and average cloud cover before the ozone peak time within a day. High ozone days above 100 ppb in the Greater Seoul Area(GSA) for the ozone season from May to September are chosen for the analyses in terms of the surface meteorological data during 1990~1997. The result shows that the effect of precipitation on the rise of ozone concentration is definitely negative so that ozone concentration could not rise above 100ppb immediately after precipitation. But, the effect of cloud cover is associated with the variations of other meteorological parameters. The number of high ozone days with "zero" cloud cover is rather less than that with cloud cover of 1 to 4 since temperature is usually lower in "zero" cloud cover days. Furthermore, ozone concentration can rise above 100ppb even with full cloud cover when the wind is weak and the temperature is high.temperature is high.

  • PDF

오존에 노출된 덩굴식물류, 쇠뜨기, 쑥의 광색소 함량과 SOD 활성 변화 (Photosynthetic Pigment Concentrations and Changes of SOD Activities on Liana, Equisetum Arvense and Artemisia Princeps Exposured to Ozone)

  • 박은희;김종갑;이재천;한심희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59-163
    • /
    • 2002
  • 덩굴식물 개머루, 계요등, 까마귀머루, 담쟁이덩굴, 댕댕이덩굴, 인동덩굴, 하늘타리 등 7수종과 덩굴식물이 아닌 쇠뜨기, 쑥 등 2수종을 이용하여 광색소 함량과 SOD활성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00 ppb 처리구에서 볼 때 엽록소 a, 엽록소 b, 총 엽록소 함량, 카로테노이드에서 담쟁이덩굴이 가장 많이 증가하였으며, 엽록소 b와 a의 비에서는 쇠뜨기, 카로테노이드와 총 엽록소의 비에서는 계요 등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덩굴식물과 덩굴식물이 아닌 쇠뜨기, 쑥의 비교에서는 엽록소 b와 엽록소 a의 비에서 확실한 차이를 보였다. 엽록소 a와 b의 비에서보면 엽록소 b보다 엽록소 a가 더 민감한 차이를 보였으며, 수종에서는 담쟁이덩굴, 덩굴식물과 덩굴식물이 아닌 쇠뜨기, 쑥의 비교에서는 덩굴식물이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SOD 활성에서는 100 ppb 처리구에서 덩굴식물류 7수종과 쇠뜨기, 쑥의 처리전과 처리후의 차이는 쑥에서 3535.7 unit/g로 매우 크게 증가하였으며, 계요 등이 109.3 unit/g로 가장 적게 증가하였고, 개머루 한 수종에서 131.7 unit/g로 감소했다.

오존농도의 動態 및 影響因子에 關한 硏究 (Studies on the Behaviour of Ozone Concentration and the Influencing Factors)

  • 金旻永;姜熙坤;李完宗;李相七;張鳳勳;朴聖培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55-71
    • /
    • 198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ozone concentration to behaviour and the factors to be influenced the variation of its concentration in the ambient air in Seoul. Measurements of ozone concentrations were made at 10 monitoring station to take care of SIHE (Seoul Institute of Health & Environment) during December 1987 to November 1988, also measured the hourly average concentration of sulfur dioxide, total suspended particulate, nitrogen oxide $(NO & NO_2)$, carbon monoxide, hydro carbon $(n-CH_4 & THC)$ and meteorological factors, that is, temperature, humidity, wind velocity wind direction and ultraviolet intensity etc, for the same period at same place. The basis of the data obtained were analyzed statistically along with the various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nnually arithmetic mean concentration of ozone for the 10 sites during one years was 10.0 ppb and ranged from 3.1 $\pm$ 4.5ppb at the Kuro industrial complex to 17.2 $\pm$ 18.7 ppb at the Ssangmun site. 2. The frequency of hours on which oxidant concentrations exceeded the present short term standard of ozone (100 ppb) were 78 times. 3. The diurnal patterns of hourly ozone concentrations in Seoul area was a typical bi-modal variation which have 4 to 5 a.m. peak and 3. to 4 p.m peak. 4. The time ozone of highest ozone concentration in a whole day and hight was 1 to 5 p.m and 90.9 percent of appearence rate. 5. The diurnal patterns of hourly ozone concentrations in Seoul were on the whole the order of daytime from 5.8ppb to 28.7 ppb evening from 1.7 to 18.7 ppb night time from 1.9 to 9.3 ppb daybreak from 1.4ppb according to measuring sites, and the highest that observed at the Ssangmun area while the lowest was the Kuro industrial complex monitor sites. 6. The weekly variation of ozone concentration was the higher level ozone concentration in the day of the week occured sunday-monday and weekend but the decrease were observed from wednesday to thursday.

  • PDF

충북 청원군에서 관측된 지표면 부근의 오존 (Measutements of the ground-level ozone in a rural area of Chongwon, Korea)

  • 윤마병;정용승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85-93
    • /
    • 1995
  • Measurements of ground level ozone concentrations were made in a rural area of Chongwon (Choongbook Province) from June 1993 to July 1994. High values frequently exceeding 100 ppb (ambient air qualyty standard of Korea) were recorded. High ozone concentrations in the boundary layer were primarily correlated with the several meteorological parameters in warm seasons: pressure, radiation, temperature, precipitation and wind velocity. The annual average concentration of ozone at Chongwon was 17ppb, and this value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for other cities in Korea. O$\_$3/ concentrations were observed to increase when the ridge of a surface anticyclone was passing over the region, and maximum values(.geq.100 ppb) were observed on the rear sides of high pressure centers and in the warm sectors of cyclones(well head of cold fronts). The ozone concentrations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concentration of primary pollutants(e.g., total hydrocarbons).

  • PDF

오존에 노출된 자작나무류 4수종 잎의 가시적 피해와 생장 반응 (Visible Foliar Injuries and Growth Responses of Four Betula sp. Exposed to Ozone)

  • 이재천;한심희;김장수;장석성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9-37
    • /
    • 2002
  • 본 연구는 자작나무류의 오존에 대한 잎의 가시적 피해율과 생장 반응을 측정하여 수종별 오존 민감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시험 재료는 거제수나무, 물박달나무, 자작나무, 사스래나무로 온실에서 양묘하여 포트로 옮겨 심고, 100 ppb의 오존 농도에서 하루 8시간 씩 5주 동안 오존에 노출시킨 후 그들의 가시적 피해율과 잎 수, 잎 면적 및 생장(수고와 직경 상대생장율, 잎, 줄기, 뿌리의 건중량)을 측정하여 수종간, 처리간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4개 수종의 오존에 대한 반응은 매우 다르게 나타나는데 사스래나무를 제외한 3개 수종의 생장은 오존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아 감소하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초기에 많은 조기낙엽을 나타내는 거제수나무와 가시적 피해율이 가장 높은 물박달나무는 오존에 대해 민감한 수종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사스래나무는 초기에 오존에 대한 영향으로 생장이 감소하지만 오존에 대한 적응을 통하여 생장을 회복하는 내성 수종으로 판단된다.

관악과 시청의 요일별 오존 농도 : 1996∼2000년 측정자료 (The Daily Ozone Concentrations at Gwanak and City Hall: Measurement Data between 1996 and 2000)

  • 김정화;김용표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611-619
    • /
    • 2003
  • Characteristics of the ozone concentrations in Seoul were analyzed for the data between May and September from 1996 to 2000. Observation data from 27 stations in Seoul are used. Among the results from 27 stations, representative results from 2 stations (City hall and Gwanak representing downtown and background areas of Seoul, respectively) are presented. The 24-hour average ozone concentrations of Gwanak (28.6 ppb) are higher than City hall (14.9 ppb). The 24-hour average ozone concentrations on Sunday are higher than other days at both sites. During weekday, the 24-hour average ozone concentrations on Wednesday are higher than other days. Although the mean of the I-hour daily maximum ozone concentrations at Gwanak is higher than City hall, the . ozone concentrations above 95th percentile at City hall are higher than Gwanak. As a result, the number of days on which the 1 - hour ozone concentration exceeding 100 ppb and 120 ppb at Gwanak (17 and 3) are lower than City hall (29 and 9). To sum up, both sites are VOCs limited region and the mean ozone concentration in Gwanak is higher because of the lower N0$_2$ concentration. But high ozone cases occur more frequently in City hall when conditions are right.

$In_2O_3$ 계 산화물 반도체형 후막 오존 가스센서의 제조 (Fabrication of $In_2O_3$-based oxide semiconductor thick film ozene gas sensor)

  • 이규정
    • 전자공학회논문지T
    • /
    • 제36T권1호
    • /
    • pp.19-24
    • /
    • 1999
  • In\sub 2\O\sub 3\ 계 산화물 반도체형 후막센서의 ppb 범위의 오존에 대한 감지특성을 살펴보았다. In\sub 2\O\sub 감지막은 오존에 감도가 상당히 높았지만 안정된 신호를 얻을 수 없었다. In\sub 2\O\sub에 3wt.% 의 Fe\sub 2\O\sub 3\를 첨가한 경우에는, 순수한 In\sub 2\O\sub 와 비교할 때 응답 시간과 감도에 있어서 감지 특성의 향상이 관찰되었지만, 센서 신호가 시간에 따라 계속 증가되는 경향은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 그러나 In\sub 2\O\sub:Fe\sub 2\O\sub 3\ 혼합 분말의 열처리는 감도가 감소하기는 하였지만 센서의 오존 응답 및 회복 특성을 증진시켰다. 특히 1300℃ 정도의 고온에서 혼합 분말을 열처리 하여 제조한 감지막은 감도의 감소는 있었지만 550℃ 의 측정 온도에서 빠른 응답 및 회복 특성과 센서 신호가 최대값으로 빠르게 수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들 센서는 오존에 대해 센서 신호의 선형적인 농도 의존성을 나타내었으며, 반복 실험을 행할 때 센서 신호의 재현성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조한 후 막 가스센서를 사용하여 ppb 범위의 오존 농도를 신뢰성있게 측정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대구시 고농도 오존 사례일인 경우 대기 오염물질 농도의 일변화 특성 (Characteristics of Diurnal Variation of the Atmospheric Pollutants Concentration in High-Ozone Episode day in Daegu)

  • 손임영;윤일희;김희종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12호
    • /
    • pp.1253-1259
    • /
    • 2002
  • This study analyzes the surface ozone, NO and $NO_2$ concentration data from 1997 to 1999 in Daegu. It investigates effect on precursor during high-ozone episode days. The high-ozone episode is defined when a daily maximum ozone concentration is higher than 100 ppb(ambient air quality standard of Korea) in at least one station among six air quality monitoring stations. The frequency of episodes is 13 days(33 hours). The frequency is the highest in May and September, and the area with the highest frequency is Nowondong and Manchondong. The average value of daily maximum ozone concentration with high ozone episode is 81.6 ppb, and that of 8-hour average ozone concentration is 58.6 ppb. It means that ozone pollution is continuous and wide-ranging in Daegu. The daily variation of NO, $NO_2$ and $O_3$ in high-ozone episodes are inversely proportional one another. Nowondong an industrial area, is affected by pollutants that are emitted from the primary sources, while Manchondong a residential area, is affected by the advection of $O_3$ or by the primary pollutants like VOCs.

대구시의 고농도 오존 발생 일에 나타나는 기상학적 특성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High-Ozone Episode Days in Daegu, Korea)

  • 손임영;김희종;윤일희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24-435
    • /
    • 2002
  • 이 연구에서는 1997년부터 1999년 3년 간 대구광역시의 시간별 O$_3$ 농도 자료와 기상자료를 분석하여, 대구시의 고농도 오존 발생 일에 나타나는 기상학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고농도 오존 발생 일의 선정은 우리나라 환경기준치인 1시간 평균 오존 농도 100ppb를 초과한 지점이 대구시의 6개 측정 지점 중 한 지점이라도 있는 경우로 정했다. 고농도 오존 발생 일은 13일이었으며, 5월과 9월이 가장 그 빈도가 높았다. 고농도 오존 발생 일의 하루 평균 최대 오존 농도는 81.6ppb이었으며, 8시간 평균 농도는 58.6ppb이었다. 이는 대구의 오존 오염이 연속적으로 그리고 광범위하게 일어났고 있음을 의미한다. 하루 최고 오존 농도는 일사량, 최고 온도와 양의 상관을 보였으며, 상대 습도, 풍속, 구름양과는 음의 상관을 보였다. 일사량과의 상관계수가 0.45로 가장 높았다. 고농도 오존 발생 일의 기상 값과 그 날을 포함하는 월평균 값과의 차이를 보면, +1.58hPa(해면 기압), +3.45${\circ}$C(최고 기온), -5.69%(상대 습도), -0.46ms$^{-1}$(풍속), -1.79(구름양), +3.97MJm$^{-2}$(일사량)을 각각 보였다. 이는 0700${\sim}$1100LST사이의 높은 일사량, 낮은 풍속, 무강수가 고농도 예측의 중요특징임을 나타낸다. 이는 이 시간의 정체와도 연관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