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1-3 복합체

Search Result 843,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Preparation of $Al_2O_3$-based Polyimide Composite Thick Films without Sintering for Integrated Substrates Employing Aerosol Deposition Method (Aerosol Deposition Method를 이용한 적층 기판용 무소성 알루미나-폴리이미드 복합체 후막의 제조)

  • Kim, Hyung-Jun;Yoon, Young-Joon;Kim, Jong-Hee;Nam, S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8.06a
    • /
    • pp.347-34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별도의 소결과정 없이 상온에서 치밀한 복합체 후막의 제조가 가능한 Aerosol Deposition Method (ADM)를 이용하여 SOP를 실현시키기 위한 기판 재료로서 알루미나 기반의 알루미나-폴리이미드 복합체를 제조하고 그 특성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다. SEM 관찰결과 기공이 거의 없고 치밀한 구조의 복합체가 상온에서 성공적으로 형성되었음이 확인되었다. XRD 와 FT-IR 분석 결과 알루미나와 폴리이미드 모두가 복합체에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XRD 분석결과 출발 원료에 폴리이미드 함량이 증가할수록 ADM으로 제조된 복합체 내부의 알루미나의 결정자 크기가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복합체의 알루미나 충진율을 확인하기 위한 간접적인 방법으로 복합체 후막을 연마하여 복합체 내부를 노출시킨 후 폴리이미드의 용매인 Methyl Ethyl Ketone으로 폴리이미드를 식각시켜 남아있는 알루미나 영역을 관찰한 SEM 분석결과 알루미나가 60% 이상 복합체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다는 사실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복합체의 미세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TEM 분석결과 기존에 보고된 ADM으로 제조된 알루미나 후막의 결정자 크기인 10~20 nm 보다 큰 100 nm 범위의 결정자 크기를 관찰 할 수 있었다. 유전특성평가 결과 유전율과 tan$\delta$는 1 MHz에서 각각 9.0, 0.0072로서 알루미나만을 원료로 성막시킨 후막의 유전 특성을 크게 떨어뜨리지 않으며 알루미나 후막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추후 복합체의 균일성 향상 및 고주파 영역의 유전 특성 향상을 통하여 세라믹의 취성 및 가공성이 개선된 3 차원 적층 기판재료로의 응용이 기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 PDF

Design and Fabrication of 2D Array Ultrasonic Transducers with a Conductive Backer (전도성 후면층을 이용한 2D 배열 초음파 트랜스듀서의 설계 및 제작)

  • Woo, Jeongdong;Roh, Yongrae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2 no.6
    • /
    • pp.502-508
    • /
    • 2013
  • In this paper, 2D array transducers using a conductive backer similar to 1-3 composites have been designed, fabricated, and evaluated. The conductive backer was based on well known manufacturing process of 1-3 composites with affordable ingredients. The 2D array transducer had 4,096 elements designed to have 3.5 MHz center frequency and a fractional bandwidth over 60 %. Fabricated prototype of the transducer satisfied the specifications in the center frequency and bandwidth. Performance over the entire elements was so uniform that the standard deviation was less than 0.81 dB. Thus applicability of the conductive backer proposed in this work to 2D array transducers was verified.

Structure and Biological Function of Plant CRL4, and Its Involvement in Plant Cellular Events (식물 CRL4 복합체의 구조, 기능 및 식물 세포 내 다양한 이벤트와의 연계성)

  • Lee, Jae-Hoon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6 no.3
    • /
    • pp.364-375
    • /
    • 2016
  •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is an efficient process to rapidly transduce external stimulus into cellular response. Ubiquitination is a typical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which is a highly conserved process in eukaryotes. UPS (Ubiquitin/Proteasome System) mediated by the ubiquitination is to target diverse cellular proteins for degradation. Among E3 ubiquitin ligases that function as the key determinant for substrate recognition, CRL (cullin–RING E3 ubiquitin ligase) is the largest family and forms the complex composed of cullin, RBX1, adaptor and substrate receptor. Although CRL1, also known as SCF complex, has been widely researched for its biological role, the functional studies of CRL4 have been relatively elusive. In Arabidopsis, there are 119 substrate receptors named DCAF (DDB1 CUL4 Associated Factor) proteins for CRL4 and a fraction of DCAF proteins have been identified for their potential functions so far. In this paper, current understanding on structure and biological roles of plant CRL4 complexes in a diverse of cellular events is reviewed, especially focusing on CRL4 substrate receptors. Moreover, the regulatory mechanism of CRL4’s activity is also introduced. These studies will be helpful to further understand the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in which such CRL4 complexes are involved and give a clue to establish the action network of entire CRL4 complexes in plants.

Hydrogen Production from Tofu Manufacturing Wastewater by Heat-treated Anaerobic Microflora from the Concentrated Sewage Sludge (농축 하수오니 유래 열처리 혐기세균 복합체를 이용한 두부제조 폐수로부터 수소 생산)

  • Oh, You-Kwan;Kim, Mi-Su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 /
    • v.19 no.5
    • /
    • pp.410-416
    • /
    • 2008
  • 합성 및 두부 제조 폐수로부터 혐기 세균 복합체를 이용하여 수소를 생산하였다. 수소생산 혐기 세균 복합체는 하수처리장 농축 소화조에서 발생하는 슬러지를 $90^{\circ}C$에서 20분간 열처리하여 얻었다. 혐기 세균 복합체는 $37^{\circ}C$ 회분식 운전조건에서 1% (w/v) 포도당 함유 PYG (peptone-yeast extract-glucose) 배지로부터 1.15 L-$H_2$/g-균체건조량의 수소를 생산할 수 있었고, 이때 주요 유기산으로 15 mM acetate와 32 mM butyrate가 생성되었다. 같은 발효조건에서 1.4% 전분과 0.07% 환원당을 포함하는 두부 제조 폐수로부터 1.76 L $H_2$/L-두부제조폐수의 수소를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부터 포도당과 두부 제조 폐수로부터 혐기세균 복합체에 의한 수소생산 효율은 각각 1.9과 0.9 mol $H_2$/mol 포도당을 나타내었다. 반연속운전(HRT, 12 시간)시 합성폐수를 이용하여 60일 이상 안정적으로 수소를 생산할 수 있었고, 이 때 혐기 세균 복합체는 1.3-2.0 L $H_2$/L-배양액을 발생하였다. PCR-DGGE(polymer chain reaction-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분석결과, 반응기 내 세균 복합체의 주요 미생물은 Clostridium 종이었다. 본 연구는 적절한 열처리를 통해 혐기 소화조 슬러지로부터 고활성 수소생산 세균 복합체를 얻을 수 있으며, 이들 세균 복합체를 이용하여 합성 및 두부제조 폐수로부터 효율적인 수소생산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Properties of PP/MWCNT Nanocomposite Using Pellet-Shaped MWCNT (펠렛형 MWCNT를 사용한 PP/MWCNT 나노복합체 물성 연구)

  • Jeong, Dong-Seok;Nam, Byeong-Uk
    • Polymer(Korea)
    • /
    • v.35 no.1
    • /
    • pp.17-22
    • /
    • 2011
  • Polypropylene/multi-walled carbon nanotube(PP/MWCNT) composites along with various MWCNT contents up to 20 wt% were prepared by a twin screw extruder. Nanocomposites having 20 wt% MWCNT as a master batch(M/B) were diluted with PP by way of melt compounding. The electrical/thermal conductivity, morphology, thermal/viscoelastic/mechan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with the variation of MWCNT contents. Also, we compared some properties between 1-step PP/MWCNT and the diluted PP/MWCNT composites. The percolation threshold of electrical and thermal conductivity was measured at about 3 wt% MWCNT. And conductivity of diluted PP/MWCNT composites were superior to those of PP/MWCNT composites. The non-isothermal crystallization temperature and thermal decomposition temperature appeared at higher temperatures with increasing MWCNT contents. Morphology showed that length of MWCNT in diluted PP/MWCNT composites was shortened by twice melt blending, which contributed to improve the tensile strength of PP/MWCNT composites.

Design of an Ultrasonic Transducer with 1-3 Mode Piezocomposites and Fabrication of its Prototype (1-3형 압전복합체를 이용한 초음파 탐촉자 설계 및 시작품 제작)

  • 한교훈;노용래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7 no.8
    • /
    • pp.48-57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순수 압전세라믹에 비해 동등이상의 압전특성을 가지면서도 음향임 피던스가 월등히 낮은 1-3형 압전복합체를 이용한 탐촉자의 개발에 관해 연구하였다. 압전 복합재료 탐촉자는 그 자체만으로 측정대상체와의 음향임피던스 차를 최소화하여 별도의 정 합층을 필요로 하지 않는 특징을 가진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복합재료에 사용되는 고분자 재료의 물성값 설계와, 압전세라믹과의 적절한 배합구조와 형상의 결정에 설계의 주 안점을 두었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압전복합체 초음파 트랜스듀서 시작품을 제작하고 그 성능을 분석하였으며, 이론적인 시뮬레이션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설계이론의 타당성을 검 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립되어진 압전복합체 트랜스듀서의 설계 및 제작기법은 향후, 측 정대상체와의 정합을 위해 정합층에 대해 복잡한 설계 및 제작공정을 거쳐야하는 다양한 탐 촉자 개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BaTiO_3$분말의 크기와 함량이 내장형 캐패시터 용 에폭시/$BaTiO_3$복합체 필름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 조성동;이주연;백경욱
    •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142-147
    • /
    • 2002
  • 폴리머/세라믹 복합체는 내장형 캐패시터(embedded capacitor)의 유전 재료로 많은 관심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본 연구는 BaTiO$_3$분말의 크기와 함량이 에폭시/BaTiO$_3$복합체 캐패시터의 유전 상수와 누설전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이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BaTiO$_3$분말이 67vo1% 함유된 Epoxy/BaTiO$_3$composite 필름의 유전상수는 전반적으로 사용한 BaTiO$_3$분말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이것은 입자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른 입자의 유전상수의 증가 때문이며 XRD 분석을 통해 입자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tetragonality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복합체 필름의 누설전류도 또한 사용한 입자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이는 분말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단위길이 당 입자의 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단위 길이 당 입자의 수가 감소하여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입자/폴리머/입자 계면의 수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분말의 함량에 따른 유전상수는 unimodal과 bimodal의 경우 각각 73vo1%와 80vo1%에서 최대 값을 나타냈으며 그 이상에서는 감소하는 것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과량의 분말이 조밀 충전을 깨고 필름의 밀도를 낮추기 때문이었다. 누설전류의 경우 unimodal과 bimodal 각각에 대해 73vo1%와 80vo1%에서 급격한 증가를 관찰 할 수 있었으며 이는 percolation 현상의 발생에 의해 입자와 입자간에 접촉이 이루어져 BaTiO$_3$분말을 따라 전류가 잘 흐를 수 있는 conduction path가 형성 되기 때문이다.

  • PDF

Phosphorus Removal Characteristic of the Aluminum (III)-loess Composite (알루미늄-황토 복합체의 인 제거 특성)

  • Shin, Gwan-Woo;Kim, Jin-Sik;Kim, Keum-Yong;Lee, Sang-Il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3 no.7
    • /
    • pp.530-535
    • /
    • 2011
  • In this work, the adsorption characteristic of the composites by adding loess with aluminum ("Al-loess") and Loess with lanthanum ("La-loess") which have been developed to effectively remove phosphorus, the substance which causes the eutrophic lake has been evaluat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work, as the amount of aluminum or lanthanum put in 1g of loess increases, the combined amount also increases accordingly. When the loess with no aluminum or lanthanum attached was used, the rate of removing phosphorus was different in comparison with the case of using the composites of 0.5, 1 and 2 mg of aluminum and 0.5, 1 and 3 mg of lanthanum in each gram of loess. It was observed the amount required to remove 1 mg $PO_4^{3-}$-P/L of phosphorus completely is approximately 2 to 10 times less for the composite of Al-loess than loess alone. Also, in case of the composite of La-loess, the amount was decreased by about 1.5 to 10 times. In order to observe the rate of adsorption phosphorus with Al-loess and La-loess, the composites were used for the observation up to three times by water washing. As a result, the water washing of the composite did not affect phosphorus removal. According to the effect of pH, there is a high rate of removing phosphorus in the pH range of 5~8. It seems that the developed composite will effectively remove phosphorus when it is spread in the natural water system. Also, since Al-loess and La-loess composites are rapidly precipitated within 30 minutes, it is stabilized quickly at the bottom of the eutrophic lake and becomes responsible for the removal of phosphorus in water and eluted from the water and the sedimentary layer.

하이브리드 탄소소재가 에폭시 복합체의 열전도도에 미치는 영향

  • An, Yu-Jin;Park, Ji-Seon;Sin, Gwon-U;Kim, Yun-Jin;Seo, Eun-Ha;Lee, Cheol-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187.2-187.2
    • /
    • 2014
  • 최근 다양한 카본 나노소재들이 열 전도성 필러로써 고분자 복합체의 열전도도 향상을 위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구조적 이방성을 갖는 탄소나노튜브(CNT) 혹은 그래핀나노플레이트(Graphene Nanoplatelet)를 복합체에 적용할 경우, 복합체의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에서의 열전도도가 3배 이상 차이가 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차원의 GNP 표면 위에 1차원의 CNT를 직접 성장시킨 하이브리드 탄소소재를 이용하여 이러한 열전도도 이방성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하이브리드 탄소소재는 무전해 도금법과 열기상법으로 제조하였다. 합성된 하이브리드 탄소소재 및 CNT를 단독 혹은 혼합하여 필러를 만들고 이를 에폭시 기지 내에 분산시켜 복합체를 제작하였다. 필러 함량별, 필러 비율별로 제작된 복합체의 열전도도를 레이저 플래시 법으로 측정 비교하였다. 결과적으로 기존의 단일 필러들보다 열전도도 이방성이 1.5배 이상 개선된 방열용 에폭시 복합체를 제작할 수 있었다. 한편 하이브리드 탄소와 2% 이하의 CNT 배합에서 단독 필러 투입에 비해 45% 이상의 열전도율 향상을 확인하였다. 이는 미세구조 분석 및 성분 분석 결과, 필러 분산 정도가 열전도도 향상의 주요 인자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기지 내 CNT가 열전도도 경로로 작용하기보다는 하이브리드 탄소소재의 균일한 분산에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