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급 와동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22초

쐐기형 5급 와동과 근관와동을 복합레진으로 수복한 상악 소구치에 대한 응력 분석: 3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STRESS ANALYSIS OF MAXILLARY PREMOLARS WITH COMPOSITE RESIN RESTORATION OF NOTCH-SHAPED CLASSⅤCAVITY AND ACCESS CAVITY ;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STUDY)

  • 이선화;김현철;허복;김광훈;손권;박정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6호
    • /
    • pp.570-579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쐐기형 5급 와동과 근관와동을 복합레진으로 수복한 상악 제2소구치에 대한 응력 분포를 3차원 유한요소법으로 분석하여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발치된 상악 제2소구치를 이용하여 Micro-CT로 스캔한 후 3D-DOCTOR로 3차원 유한요소 모형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소구치 모형에 근관 와동을 형성하고 쐐기형 5급 와동과 글래스 아이오노머 기저재의 사용 여부를 구분하여 근관 와동을 혼합형 복합레진으로 충전하였다. 협측 교두 또는 설측 교두에 500 N의 하중을 가하고, ANSYS 8.0 프로그램으로 인장 응력의 분포를 분석하여 평가한 결과 베이스 사용유무에 따른 응력 분포의 차이는 없었다. 협측 교두에 하중이 가해질 때, 하중점과 교합면의 중심구, 구개측 백악법랑경계부에 과도한 인장 응력이 집중되었으며, 5급 와동이 없는 경우보다 5급 와동이 있는 경우에 약간 더 높았다. 설측 교두의 협측 경사면에 하중이 가해질 때, 하중점과 교합면의 중심구, 협측 치경부에 과도한 인장 응력이 집중되었으며, 5급 와동이 있는 경우가 5급 와동이 없는 경우보다 약간 더 낮았다.

Composite Resin의 Modern Cavity form

  • 박상진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26권8호통권231호
    • /
    • pp.693-699
    • /
    • 1988
  • Composite Resin(콤포짓트 레진) 수복은 3급,4급(견치의 원심면 제외) 및 5등급 전치부와동에 주로 사용되었으나 재료의 개선으로 인해 1급,2급 및 견치 3급와동의 원심면에도 제한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물론 실제적인 와동의 설계는 수복요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변화를 부여할 수도 있다.

  • PDF

5급 와동에서의 수종 접착 시스템의 결합강도에 관한 비교연구 (The comparison on micro-tensile bond strengths of variable adhesive systems to Class V cavity)

  • 권정미;최경규;박상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9권1호
    • /
    • pp.1-12
    • /
    • 2004
  • 이 연구는 발거 소구치에서 5급 와동을 형성하여 접착 시스템 및 와동 위치에 따른 상아질에 대한 접착시스템의 미세 인장결합강도의 차이를 비교, 연구하였다. 접착방법은 resin-modified glass ionomer(Gl), compomer(부식여부에 따라 DE 및 DN군으로 분류), 그리고 상아질 접착제인 Single Bond(SB) 및 Cleayfil SE Bond(SE)와 복합레진(Clearfil AP-X)을 사용한 5개의 실험군으로 분류하였다. 소구치 협측 치경부에 wedge형태의 와동을 형성하고 5종의 접착 시스템을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적용, 충전하여 시편을 제작하여 미세인장결합강도를 측정하고, One-way ANOVA / Duncan's test로 통계분석하였다. SEM 검사는 미세인장결합강도의 시편제작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작한 후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상아질 접착제 및 복합레진(SB, SE)의 미세인장결합강도가 GI보다 높게 나타났고(p<0.05), 치은측이 교합측보다 더 낮게 나타났으며, CI, DE, SE에서 유의성 있게 낮게 나타났다(p<0.05). Compomer에서 conditioning 여부(DN, DE)에 따른 변화는 치은측에서만 유의차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EM 관찰에서, 교합측의 상아세관은 결합 계면과 평행하게 주행하였고, 치은측에서는 결합계면에 수직으로 주행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치경부변연에서 중간층 수복이 구치부 2급 복합레진의 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Microleakage at the cervical margin of Class II composite restorations with different intermediate layer treatments)

  • 김기옥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8권6호
    • /
    • pp.467-474
    • /
    • 2003
  • 복합레진에 의한 구치부 2급 와동의 수복에서 치은부 변연이 법랑-백아 경계 하방에 위치하는 경우 복합레진의 중합 수축에 의한 응력은 변연부의 폐쇄능력을 저하시키고 이로인한 미세누출은 2차적인 우식이나 술후과민증을 일으켜 임상에서의 성공을 위협한다. 본 연구에서는 2급 와동에서 복합레진으로 수복하기 전에 치은 변연부를 중합수축에 의한 응력을 완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몇가지 재료들을 중간층으로 먼저 충전한 후 충전용 복합레진으로 충전한 뒤 치은부 변연에서 이들 중간층과 치질 사이의 미세누출의 정도를 비교하였다. 20개의 발거된 구치의 근, 원심면에 각각 상자 모양의 2급 와동을 형성하고 40개의 와동을 무작위로 10개씩, 4개의군으로 나누었다. 1군은 중간층의 수복없이 Clearfil SE Bond과 Clearfil AP-X로 충전하였으며 2, 3 및 4군은 중간층으로 각각 Revolution, Dyract그리고 FujiII LG를 먼저 충전한 후 1군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레진을 충전하였다. 충전된 시편은 열순환후 2% methylene blue 용액에 12시간 침잠시킨 후 색소의 침투도를 stereomicroscope로 관찰하였으며 실험결과는 Kruskal-Wallis non-parametric independent analysis 및 Mann-Whitney U test로 통계분석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레진강화형 글라스아이오노머를 중간층으로 먼저 수복하고 복합레진으로 충전한 경우에서 더 적은 미세누출을 보였다(p<0.05). 2. 유동성 레진과 콤포머를 중간층으로 수복한 경우와 복합레진만으로 수복한 경우는 미세누출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5급 와동에서 저유동성과 고유동성 레진의 변연 미세누출 비교 (COMPARISON OF MARGINAL MICROLEAKAGE BETWEEN LOW AND HIGH FLOWABLE RESINS IN CLASS V CAVITY)

  • 배상배;조영곤;이명선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4권6호
    • /
    • pp.477-483
    • /
    • 2009
  • 이 연구는 1단계 자가부식 접착제와 저유동성 및 고유동성 레진을 이용한 5급 와동 수복물에서 법랑질과 상아질 변연의 미세 누출 차이를 상호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40개의 대구치의 협, 설면 치경부에 5급 와동을 형성하고, 8개씩 무작위로 선택하여 사용된 유동성 레진에 따라 5개의 군으로 분류하여 각 군의 와동을 유동성 레진으로 충전하였다 (대조군: Filtek Z 350, M-LF 군: Metafil Flo $\alpha$, U-LF 군: Unifil LoFlo Plus, M-HF군: Metafil Flo, U-HF군: Unifil Flow). 각 군의 치아를 2% methylene blue용액에 24시간 동안 침적시킨 다음, 협면과 설면의 5급 수복물의 중앙부가 통과되도록 절단하였다. 각 군의 절단 시편에서 유동성 레진 수복물의 법랑질과 상아질 변연부를 광학 입체현미경 하에서 색소침투 정도를 관찰하여 미세누출 점수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1단계 자가부식 접착제와 유동성 레진을 이용하여 5급 와동을 충전한 경우, 고유동성 레진보다 저유동성 레진이 낮은 변연 미세누출을 나타내어 5급 와동에서 저유동성 레진의 사용이 추천된다.

다이아몬드 기구로 삭제한 와동에서 2단계 접착제의 미세누출 비교 (MICROLEAKAGE OF 2-STEP ADHESIVE SYSTEMS IN DIAMOND-PREPARED CAVITY)

  • 이명구;조권환;조영곤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5호
    • /
    • pp.437-444
    • /
    • 2007
  • 이 연구는 거친 입자와 미세한 입자의 다이아몬드 포인트로 형성한 5급 와동에서 서로 다른 2단계 접착시스템 사용시 법랑질과 상아질 변연에서의 미세누출 차이를 상호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40개의 발거한 대구치의 협면 치경부에 각각 $106-205\;{\mu}m$의 거친 다이아몬드 포인트 (EX-41)와 $53-63\;{\mu}m$의 미세한 다이아몬드 포인트 (TF-21F)를 이용하여 20개씩 5급 와동을 형성한 후 사용된 접착시스템과 복합레진에 따라 다음과 같이 4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1군은 EX-41 포인트로 형성한 와동에 Single Bond와 Z 250을 사용한 군, 2군은 TF-21F 포인트로 형성한 와동에 Single Bond와 Z 250을 사용한 군, 3군은 EX-41 포인트로 형성한 와동에 Clearfil SE Bond와 Clearfil AP-X를 사용한 군, 4군은 TF-21F 포인트로 형성한 와동에 Clearfil SE Bond와 Clearfil AP-X를 사용한 군으로 분류하였다. 각 군은 $5^{\circ}C$$55^{\circ}C$의 증류수에서 500회 열 순환한 후 2% methylene blue용액에 1일 동안 침적하였다. 각 군의 치아를 협설로 절단하여 광학 입체현미경 하에서 법랑질과 상아질 변연에서의 색소침투 정도를 관찰하여 미세누출 점수를 평가하고, 각 군 간의 유의성을 검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이 연구를 종합하면, 5급 와동에서 Single Bond는 이 연구에 사용한 다이아몬드 포인트의 종류에 따른 변연 미세누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Clearfil SE Bond는 거친 다이아몬드 포인트 보다는 미세한 다이아몬드 포인트를 사용하는 것이 법랑질과 상아질 변연 모두에서 낮은 미세누출을 보였다.

수복재료가 5급 복합레진 수복물의 응력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3차원유한요소법적 연구 (THE EFFECT OF RESTORATIVE MATERIALS ON THE STRESS DISTRIBUTION OF CLASS V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 A 3D FINITE ELEMENT INVESTIGATION)

  • 안형렬;김현철;허복;박정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1권1호
    • /
    • pp.20-29
    • /
    • 2006
  • 임상에서 5급 와동의 형태 중에 흔히 발견되는 혼합형 (교합면 쪽은 쐐기형이고 치경부 쪽은 접시형)의 와동이 형성된 상악 제 2 소구치에 170 N의 하중을 가했을 때, 수복 전 후에 나타나는 와동변연부와 와동벽, 그리고 수복물의 응력 분포를 3차원적 유한요소 분석법으로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수복 전에 비해 수복 후 굽힘응력 이 집중되는 백악법랑경계와 와동저 선각부위 에서 응력이 감소하였다. 2. 수복 전에 비해 수복 후 교합면과 치경부의 와동변연과 와동벽에서는 응력이 증가하였다. 3. 혼합형 레진과 혼합형 / 흐름성 레진으로 수복하였을 때 흐름성 레진으로 수복한 경우보다 백악법랑경계와 와동저 선각부위에서 응력이 더 감소하였다. 4. 혼합형 레진과 혼합형 / 흐름성 레진으로 수복하였을때 흐름성 레진으로 수복한 경우보다 교합면과 치경부의 와동변연과 와동벽에서 응력이 더 증가하였다.

고밀도 구치부 복합레진의 임상적 평가 (Clinical Evaluation of High Density Posterior Composite)

  • 허대성;조경모;신동훈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5권2호
    • /
    • pp.254-261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35개의 구치부 2급 와동에 고밀도 구치부 복합레진(Surefil, Caulk, U.S.A.)을 수복하였다. 단일 충전군은 18개 치아의 인접면 와동을 한꺼번에 충전한 후 광중합하였고 분할 충전군은 17개 치아의 인접면 와동을 두 층으로 나누어 충전 및 광중합하였다. 6개월 후의 임상검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기초검사에서 단일 충전군과 분할 충전군 모두 색상조화도(Color match)를 제외한 다른 검사 항목들에서 Alfa로 나타났다. 2. 단일 충전군은 6개월 후 모든 검사(색상 조화도 제외)에서 인접면 접촉도(Proximal contact), 변연부 변색(Marginal discoloration), 술후 과민증(Postoperative sensitivity) 검사에서 소수의 치아가 Bravo, Charlie로 나타났으나 기초 검사와 3개월 후 검사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3. 분할 충전군은 6개월 후 시행된 모든 검사(색상 조화도 제외)에서 인접면 접촉도(Proximal contact), 술후 과민증(Postoperative sensitivity) 검사에서 소수의 치아가 Bravo, Charlie로 나타났으나 기초 검사와 6개월후 검시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4. 모든 검사항목에서 단일 충전군과 분할 충전군을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고밀도 구치부 복합레진(Surefil, Caulk, U.S.A)은 색상 재현의 어려움을 제외하고는 여러 평가에서 우수하게 나타났으므로 본 연구 결과를 기준으로 보면 이전 복합레진의 단점이 보완되어 구치부 2급 와동에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고 사료되며 단일 충전군과 분할 충전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으므로 시술 시간을 좀 더 단축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2급/ 5급 와동 복합레진 수복 술식에 대한 남녀 치과 의사의 비교 (COMPARISON OF OPERATIVE TECHNIQUES BETWEEN FEMALE AND MALE DENTISTS IN CLASS 2 AND CLASS 5 RESIN COMPOSITE RESTORATIONS)

  • 장주혜;김혜영;손호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5권2호
    • /
    • pp.116-12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복합 레진을 이용한 2급/5급 와동의 직접수복에 있어서 치과의사의 성별에 따른 술식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2008년 대한치과의사협회에 등록된 치과의사 12,193명을 대상으로 이 메일을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메일 수신이 확인된 2,632명 중 840명이 응답하였으며 응답자의 남녀 비율은(남 78.9%, 여 21.1%) 전체 치과의사의 남녀 비율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 0.05). Chi-square test 와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를 이용하여 남녀간 술식의 차 이를 검증하였다. 2급 와동 수복에서 여자치과의사는 4회 이상의 적층 분할 수복을 하는 경향이 남자치과의사에 비해 1.87배 높았으며, 술식 당 30분 이상 소요하는 경향은 2.72배 높았다(p < 0.05). 5급 와동 수복에서 여자치과의사는 베이스를 사용하는 경향이 1.83배 높았으며, 술식 당 20분 이상 소요하는 경향은 1.63배 높았다(p < 0.05). 본 설문조사에 따르면 남녀 성별에 따라 복합 레진 수복 술식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