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검색결과 1,405건 처리시간 0.027초

쇠비름 물,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water extracts and ethanol extracts from Portulaca oleracea L.)

  • 김동규;신정혜;강민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8-10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쇠비름의 활용가치를 높이고 기능성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쇠비름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와 항염증 활성을 탐색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과 FRAP을 이용한 총 항산화 효능 평가 결과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고, ABTS 라디칼 소거능은 $1,000{\mu}g/mL$의 농도에서만 쇠비름 물 추출물의 활성이 더 높았다. 한편, 세포독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쇠비름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해 대식세포에 MTT assay를 수행한 결과, $4,000{\mu}g/mL$의 이하 농도까지는 세포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1.0{\mu}g/mL$ LPS로 염증반응을 유도시킨 세포에 대해 쇠비름 물 추출물에 비해 에탄올 추출물이 더 효과적으로 농도의존적인 NO와 ROS 생성 억제 효과가 있었다. 추가적으로 세포의 항염증 효능의 지표 단백질로 알려진 TNF-${\alpha}$, IL-$1{\beta}$, IL-6의 발현을 확인하였을 때 LPS 단독 처리군 대비 쇠비름 에탄올 추출물에서 3가지 단백질 모두의 발현양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쇠비름 에탄올 추출물은 물 추출물에 비해 높은 항산화와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추후 쇠비름의 유효성분 추출을 통한 항염증 물질의 연구와 염증 억제 성분의 분리 및 그 작용기전 연구에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Isolation of Compounds with Antioxidative Activity from Quickly Fermented Soy-Based Foods

  • Jang, Mi-Young;Cho, Jeong-Yong;Cho, Jeong-Il;Moon, Jae-Hak;Park, Keun-Hy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2호
    • /
    • pp.214-219
    • /
    • 2006
  • A bacterial strain, initially identified as B1-3, was isolated from cheonggukjang, a traditional Korean dish made from fermented soybeans. Using the Biolog system and 16S rRNA sequence analysis, we identified B1-3 as Bacillus mojavensis. We manufactured a quickly fermented soybean (QFS) food product using the B. mojavensis, and guided by their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scavenging ability. We isolated substances with antioxidative activity from it. Using mass spectrometry (MS) and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techniques, we isolated 4 compounds from the ethyl acetate (EtOAc)-soluble neutral fraction of methyl alcohol (MeOH) extracts of the QFS food product (genistein, daidzein, 3R,4R-3-methyl-3,4-dihydroxy-2-pentanone, and 3S,4R-3-methyl-3,4-dihydroxy-2-pentanone) and 3 compounds from its acidic fraction (4-hydroxyphenylacetic acid, genistin, and daidzein). Two compounds from the neutral fraction (3R,4R-3-methyl-3,4-dihydroxy-2-pentanone and 3S,4R-3-methyl-3,4-dihydroxy-2-pentanone) were not detected in nonfermented soybeans (NFS) or in the filtrate of the LB broth used to culture B. mojavensis. However, they were detected in the filtrate of the same broth when it contained 2% gluco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se 2 compounds were derived from glucose (or other saccharides) in the soybean during fermentation. One compound that was found in the acidic fraction (4-hydroxyphenylacetic acid) was readily detected in NFS, but not in the culture broth. This suggests that 4-hydroxyphenylacetic acid was derived from NFS. We concluded that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cheonggukjang is a result of the interactions between soybean components and the microorganisms used in the fermentation of cheonggukjang.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amellia Oleifera Seed Oils

  • Zhou, Qing-Fen;Jia, Xue-Jing;Li, Qian-Qian;Yang, Rui-Wu;Zhang, Li;Zhou, Yong-Hong;Ding, Chun-Bang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7권2호
    • /
    • pp.123-129
    • /
    • 2014
  • The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amellia oleifera seed oil were studied. Four kinds of seed oil samples were prepared, crude oil and refined oil, extracted by cold pressing method (CPC, CPR), and organic solvent extraction (OSC, OSR). Antioxidant activity analysis was measured in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diammonium salt,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and 2,2-diphenyl-1-picrylhydrazyl assays. Besides, the percentage of inhibition of red blood cells hemolysis induced by 2,2'-azobis(2-amidnopropane) dihydrochlorid, the lag time of LDL conjugated dienes formation in vitro, and the inhibitors of loss in tryptophan fluorescence were all used to estim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samples. The total phenolic contents (TPC) were detemined by Folin-Ciocalteu method. The TPC of the C. oleifera seed oils can be arranged in descending order: CPC ($1.9172{\mu}g/mL$) > OSC ($1.5218{\mu}g/mL$) > CPR ($1.0611{\mu}g/mL$) > OSR ($0.6782{\mu}g/mL$). And the oils were investigated for activity against Escherichia coli, Bacillus subtilis,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Aspergillus niger. The results showe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crude oil by cold pressing method was stronger than others, and all oils did inhibit activity of the top three bacteria expert A. niger. The further significance of the study contributes to measure the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potential health benefits by the different methods of preparation and the oil of C. oleifera seeds acting as free radical scavenger, pharmaceuticals and preservatives may offer some information in medicine and cosmetic not just in food field.

잣나무 잎 추출물의 항균 및 항산화 활성과 성분분석 (Antibacterial, Antioxidative Activity and Component Analysis of Pinus koraiensis Leaf Extracts)

  • 김정은;김우연;김지욱;박현수;이승훈;이순영;김민지;김아름;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03-31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잣나무 잎 추출물의 항균, 항산화 및 성분 분석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활성 측정결과, Propionibacterium acnes (P. acnes), 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 Pityrosporum ovale (P.ovale) 및 Escherichia coli (E. coli)에 대한 ethyl acetate 분획의 MIC는 각각 0.06 %, 0.25 %, 0.13 %, 0.50 %로 나타났으며, P. acnes, P. ovale 및 S. aureus에서 큰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잣나무 잎 추출물의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_{50}$)은 aglycone 분획에서 $22.93\;{\mu}g/mL$으로 나타났다.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_2O_2$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잣나무 잎 추출물의 총 항산화능($OSC_{50}$)은 50 % ethanol extract 분획에서 $0.70\;{\mu}g/mL$, ethyl acetate 분획 및 aglycone 분획이 각각 1.04 및 $1.43\;{\mu}g/mL$으로 매우 큰 항산화능을 보였다.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 실험에서 추출물의 세포보호 효과를 측정하였다. 잣나무 잎 추출물 분획들은 농도 의존적($5{\sim}50\;{\mu}g/mL$)으로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잣나무 잎 추출물의 가수분해로 얻은 ethyl acetate 분획은 TLC (PK-4, PK-6)와 HPLC (peak 1, peak 2)에서 2개의 주성분으로 나타났다. 이 성분들은 LC/ESI-MS/MS를 통해서 PK-6는 kaempferol-3-O-glucoside (astragalin)로, PK-4는 kaempferol-3-O-arabinoside (juglanin)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잣나무 잎 추출물이 ROS를 소광시키거나 소거함으로써, 그리고 ROS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리키며, 잣나무 잎 성분 분석, 그리고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작용으로부터 항산화, 항노화 및 항균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오디 유산균 발효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Fermented Mulberry by Lactic Acid Bacteria)

  • 이대훈;홍주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02-20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오디 유산균 발효물의 식품산업에서의 다양한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생균수는 발효 24시간에서 가장 높은 8.31 log CFU/mL를 나타낸 다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균이 감소하였으며, pH 및 산도 또한 각각 발효 24시간에서 유의적인 감소(pH 3.90) 및 증가(0.15%)를 나타내었다. 색도는 L값 및 a값이 오디 발효 후 감소하고 b값 및 ${\Delta}E$값은 증가하였다.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오디 발효물에서 100 g당 171.40 mg으로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안토시아닌 조성에서도 cyanidin-3-glucoside 및 cyanidin-3-rutinoside가 각각 100 g당 61.39 mg 및 85.45 mg으로 증가하였다. 오디 발효물의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00 g당 10.75 g 및 5.02 g으로 발효 전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ORAC 또한 발효물에서 $292.94{\mu}M/g$으로 활성이 증가하였다. DPPH 및 superoxide radical 소거 활성에서는 오디 발효물에서 각각 17.40~58.21%, 32.63~87.34%로 무발효물보다 높은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FRAP 및 환원력에서도 오디 발효물의 활성이 $37.03{\sim}762.13{\mu}M$ 및 0.12~0.74를 나타내어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페놀성 화합물 및 안토시아닌 함량이 증가한 오디 유산균 발효물을 향후 기능성 식품 소재로 적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분심기음(分心氣飮)의 도파민 세포 보호 효과 (Neuroprotective Effects of Bunsimgieum)

  • 김로사;이창훈;이진무;조정훈;장준복;이경섭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9-131
    • /
    • 2009
  • Purpose: The depression accompanied with menopuase shows the relation with the dopamine secretion. These studies were undertaken to evaluate the anti- oxidative and neuroprotective effects of Bunsimgieum(BSGE) on dopaminergic neurons. Methods: To estimate the antioxidant effects, we carried out 1.1-diphenyl-2- 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ssay,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 -6-sulfonic aci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and measurement of total polyphenolic content. To evaluate neuroprotective effect of BSGE in vitro, We performed thiazolyl blue 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reactive oxygen species (ROS) creation in SH-SY5Y. Tyrosine hydroxylase (TH) immunocytochemistry, nitric oxide (NO) assay, and TNF-${\alpha}$ assay in primary rat mesencephalic dopaminergic neurons. Results: The DPPH free radical and the ABTS radical cation inhibition activities were increased at a dose dependent manner. Total polyphenolic content was 0.83%. In SH-SY5Y culture, BSG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decreased cell viability by 6-OHDA at the concentrations of 10${\mu}$g/m${\ell}$ in pre-treatment group, 0.1-200${\mu}$g/m${\ell}$ in post-treatment group. The production of ROS induced by 6-OHDA was significantly inhibited in BSGE treated group. In mesencephalic dopaminergic cell culture, the BSGE group reduced the dopaminergic cell loss against 6-OHDA toxicity and the production of No and TNF-${\alpha}$ at the concentration of 5${\mu}$g/m${\ell}$.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s that BSGE has antioxidant and neuroprotective effects in the dopaminergic cells through decreasing the production of ROS, NO and TNF-${\alpha}$ which can cause many neurodegenerative changes in brain cell. We suggest that BSGE could be useful for the treatment of postmenopausal depression related with the decrease of dopamine.

국내 자생 식물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활성 및 항균성 스크리닝 (Screening of DPPH radical scavenging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from local some native plants)

  • 김현수;안정좌;최태호;황태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93-599
    • /
    • 2014
  • 항산화 및 항균활성을 가진 천연물을 활용해 합성보존료를 대체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한 가운데 국내 자생 식물 중 135종을 대상으로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이중 항산화 활성이 10%대로 낮게 나타난 식물 8종에 대해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식물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0.41~94.84%로 다양하였으며, 가장 효과가 좋은 식물은 꽃향유와 우엉으로 각각 94.84, 80.55%를 나타내었다. 우엉은 잎의 경우 26.87, 뿌리 19.29%의 활성을 나타내 동일 식물이라도 추출부위에 따라 활성의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선이질풀과 비쭈기나무는 각각 그람양성균인 B. subtilis, 그람음성균인 E. coli 및 Candida속인 C. albicans에 대해 2.2~10.8 mm 수준의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각 식물에 대한 다양한 추출법을 적용하여 기능성을 확인하고 이들 항산화성 물질에 대한 추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녹색 및 자색 콜라비 착즙액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Green and Purple Kohlrabi Juices)

  • 김단비;오지원;이종석;김영현;박인재;조주현;이옥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601-60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녹색 및 자색 콜라비 착즙액의 이화학적 특성(pH 및 $^{\circ}Bx$), 총 페놀함량, 항산화 활성(ORAC 지수,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FRAP 및 reducing power), 아질산염 소거능, 피부 섬유아세포에서의 세포 보호 효과 및 ROS 생성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녹색 콜라비 착즙액(153.74 mg GAE/mL)에서 자색 콜라비 착즙액(122.55 mg GAE/mL)보다 더 높게 나타난 반면, ORAC 지수의 경우 자색 콜라비 착즙액($664.32{\mu}MTE/mL$ )에서 녹색 콜라비 착즙액($572.74{\mu}MTE/mL$)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FRAP 및 reducing power에서는 콜라비 착즙액 10, 50, 100% 농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같은 농도로 비교하였을 때, 녹색 콜라비 착즙액에서 자색 콜라비 착즙액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능에서도 녹색 콜라비 착즙액이 자색 콜라비 착즙액보다 높은 효능을 나타내었다. 피부 섬유아세포에서는 녹색 및 자색 콜라비 착즙액을 동결 건조하여 사용하였으며 10, 25, $50{\mu}g/mL$의 농도에서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Hydrogen peroxide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한 상태에서 세포 보호 효과를 측정한 결과 $10{\mu}g/mL$의 농도에서는 녹색 및 자색 콜라비 착즙액에서 hydrogen peroxide를 처리한 군과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25, $50{\mu}g/mL$의 농도에서는 농도 유의적으로 세포보효효과가 증가하였다. 또한 녹색 콜라비 착즙액에서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항산화 물질인 NAC 수준까지 세포생존율이 증가하였다. $H_2$-DCFDA 염색을 통하여 관찰한 ROS 생성 억제 효과는 세포 보호 효과와 유사한 경향으로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녹색 및 자색 콜라비 착즙액이 다양한 항산화 모델에서 효능을 나타내었으며,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세포 보호 효과 및 ROS 생성 억제효과가 관찰되어 기능성 식품원료로서의 활용도가 매우 넓을 것으로 판단된다.

음나무(Kalopanax pictus) 추출물과 비타민 C의 항산화, 항암 및 면역활성 상승효과 (Synergistic Effect of Methanol Extract from Kalopanax pictus and Ascorbic Acid on Antioxidant, Anticancer and Immunomodulatory Activities)

  • 손미예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2호
    • /
    • pp.1634-1640
    • /
    • 2007
  • 음나무 (Kalopanax pictus, 이하 KP)의 추출물과 ascorbic acid(AA)의 DPPH와 ABTS 라디칼, FRAP 및 NO 소거능 상승효과를 조사하였다. 라디칼 소거능과 항산화능은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AA 첨가에 의해서 그 활성이 향상되었다. 인간 간암세포주에 대한 KP추출물+AA의 항암능은 MTT법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세포 사멸을 유도하였다. 또한 KP 추출물+AA는 세포주기의 G0/G1-phase 또는 G2/M-phase에 영향을 미쳤으며, 농도 의존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KP추출물+AA는 대식세포주를 이용한 NO생성과 억제의 면역활성 영향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KP추출물의 항산화, 항암 및 면역조절 효과는 KP추출물 단독으로 처리할 때보다, KP 추출물과 AA를 동시에 처리한 경우가 더욱 효과적이었다.

마전자 추출물의 항산화 및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 (Antioxidant and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Strychnos nux-vomica Extracts)

  • 이정민;박재희;박해룡;박은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9호
    • /
    • pp.1243-1248
    • /
    • 2010
  • 본 연구는 마전자(Strychnos nux-vomica)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먼저, 마전자를 각각의 용매로 추출하여 페놀 함량을 알아본 결과 100 g당 SNM에서 71.43 mg을 함유하고 있으며, SNE에서는 24.51 mg, SNA에서는 11.17 mg을 함유하고 있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SNM, SNE가 1 mg/mL의 농도에서 50% 정도의 활성을 나타내 항산화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200\;{\mu}M$ $H_2O_2$에 의한 DNA 손상에 대해 마전자 추출물의 보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SNM의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 측정 시 SNM 1 mg/mL의 농도에서 12.8%의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고, SNM 처리시간을 증가시킬 경우 그 활성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마전자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SNM의 $\alpha$-glucosidase 억제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