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01A72

검색결과 1,184건 처리시간 0.03초

Association of rs1042522 Polymorphism with Increased Risk of Prostate Adenocarcinoma in the Pakistani Population and its HuGE Review

  • Khan, Mohammad Haroon;Rashid, Hamid;Mansoor, Qaiser;Hameed, Abdul;Ismail, Muhammad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9호
    • /
    • pp.3973-3980
    • /
    • 2014
  • Prostate adenocarcinoma is one of the leading causes of cancer related mortality in men but still limited knowledge is available about its associated functional SNPs including rs1042522 (Pro72Arg).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explore the association of this SNP with susceptibility to prostate adenocarcinoma along with its structural and functional impacts in the Pakistani population in a case-control study.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human TP53 with Pro72Arg polymorphism was predicted through homology modeling, refined and validated for detailed structure-based assessment. We also carried out a HuGE review of the previous available data for this polymorphism. Different genetic models were used to evaluate the genotypes association with the increased risk of PCa (Allelic contrast: OR=0.0.34, 95%CI 0.24-0.50, p=0.000; GG vs CC: OR=0.17, 95%CI 0.08-0.38, p=0.000; Homozygous: OR=0.08, 95%CI 0.04-0.15, p=0.000; GC vs CC: OR=2.14, 95%CI 1.01-4.51, p=0.046; Recessive model: OR=0.10, 95%CI 0.05-0.18, p=0.000; Log Additive: OR=3.54, 95%CI 2.13-5.89, p=0.000) except the Dominant model (OR=0.77, 95%CI 0.39-1.52, p=0.46). Structure and functional analysis revealed that the SNP in the proline rich domain is responsible for interaction with HRMT1L2 and WWOX. In conclusion, it was observed that the Arg coding G allele is highly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prostate adenocarcinoma in the Pakistani population (p=0.000).

Association between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of the Fibrinogen Alpha Chain (FGA) Gene and Type 2 Diabetes Mellitus in the Korean Population

  • Hwang, Joo-Yeon;Ryu, Min-Hyung;Go, Min-Jin;Oh, Berm-Seok;Cho, Yoon-Shin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7권2호
    • /
    • pp.57-64
    • /
    • 2009
  • Fibrinogen alpha chain (FGA), a subunit of fibrinogen, might be a potential player for type 2 diabetes mellitus (T2DM), since the plasma levels of fibrinogen is known to be related to the incidence of T2DM. To elucidate the potential role of FGA in T2DM, we investigated whether FGA genetic variations are relevant in T2DM in the Korean population. Seven FGA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were genotyped in Ansung and Ansan cohorts (474 T2DM subjects and 470 normal controls) in Korea. The association between SNPs and T2DM was determined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Genetic relevance of SNPs to T2DM-related phenotypes was investigated by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that among seven FGA SNPs,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T2DM were observed in FGA rs2070011 (p=0.013-0.034, OR=0.72${\sim}$0.79), rs6050 (p=0.026${\sim}$0.048, OR=1.24${\sim}$1.37), and rs2070022 (p=0.016${\sim}$0.039, OR=0.70${\sim}$0.72). Two SNPs, rs2070011 and rs6050, also showed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2DM-related phenotypes such as triglyceride (p=0.005${\sim}$0.011 for rs2070011 and p=0.003${\sim}$0.008 for rs6050), total cholesterol (p=0.01 for rs2070011 and p=0.024 for rs6050) and fasting glucose (p=0.035${\sim}$0.036 for rs2070011 and p=0.048 for rs6050) in 470 normal controls. Our association study implies that FGA might be an important genetic factor in T2DM pathogenesis in the Korean population by affecting plasma lipid and glucose levels.

Bone Mineral Density and Osteoporotic Vertebral Fractures in Traditional, Unassisted, Free-Diving Women (Haenyeos)

  • Seo, Jun-Yeong;Ha, Kee-Yong;Kim, Young-Hoon;Kim, Seong-Chan;Yoon, Eun-Ji;Park, Hyung-Youl
    •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 /
    • 제33권48호
    • /
    • pp.316.1-316.10
    • /
    • 2018
  • Background: Water pressure and muscle contraction may influence bone mineral density (BMD) in a positive way. However, divers experience weightlessness, which has a negative effect on BMD.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BMD difference in normal controls and woman free-divers with vertebral fracture and with no fracture. Methods: Between January 2010 and December 2014, traditional woman divers (known as Haenyeo in Korean), and non-diving women were investigated. The study population was divided into osteoporotic vertebral fracture and non-fracture groups. The BMD of the lumbar spine and femoral neck was measured. The radiological parameters for global spinal sagittal balance were measured. Results: Thirty free-diving women and thirty-three non-diving women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mean age of the divers was $72.1{\pm}4.7$ years and that of the controls was $72.7{\pm}4.0$ years (P = 0.61).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BMD between the divers and controls. In divers, cervical lordosis and pelvic til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fracture subgroup compared to the non-fracture subgroup (P = 0.028 and P = 0.008, respectively). Sagittal vertical axi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ervical lordosis (Spearman's rho R = 0.41, P = 0.03), and pelvic tilt (Spearman's rho R = 0.46, P = 0.01) in divers. Conclusion: BMD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divers and controls during their postmenopausal period. When osteoporotic spinal fractures develop, compensation mechanisms, such as increased cervical lordosis and pelvic tilt, was more evident in traditional woman divers. This may be due to the superior back muscle strength and spinal mobility of this group of women.

16 채널 Multi-detector 컴퓨터 단층촬영과 심초음파를 이용한 좌심실 용적과 기능의 비교 (Comparison of Left Ventricular Volume and Function between 46 Channel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MDCT) and Echocardiography)

  • 박찬범;조민섭;문미형;조은주;이배영;김치경;진웅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1호
    • /
    • pp.45-51
    • /
    • 2007
  • 배경: 좌심실 기능의 평가는 대개 심초음파를 이용하여 시행되고 있으나, 최근 개발된 16채널 Multi-detector 컴퓨터 단층촬영(MDCT)은 관상동맥에 대한 평가뿐만 아니라 좌심실 기능의 측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MDCT를 이용한 측정결과를 심초음파 결과와 비교분석하여 MDCT의 좌심실 기능 평가에 대한 임상적 적용 가능성을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11월 1일부터 2005년 1월 31일까지 본원에서 MDCT를 시행한 49명의 환자중 동일시기에 심초음파를 시행한 2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완기말 좌심실 용적지수(LVEDVI), 수축기말 좌심실 용적지수(LVESVI), 심박출량지수(SVI), 좌심실 부피지수(LVMI) 및 심박출계수(EF)를 조사하였다. 결과: 평균이완기말 좌심실 용적지수($80.86{\pm}34.69mL$ for MDCT vs $60.23{\pm}29.06mL$ for Echocardiography, p<0.01), 평균수축기말 좌심실 용적지수($37.96{\pm}24.32mL$ for MDCT vs $25.68{\pm}16.57ml$ for Echocardiography, p<0.01), 평균심박출량지수($42.90{\pm}15.86mL$ for MDCT vs $34.54{\pm}17.94mL$ for Echocardiography, p<0.01), 평균좌심실 부피지수($72.14{\pm}25.35mL$ for MDCT vs $130.35{\pm}53.10mL$ for Echocardiography, p<0.01) 및 평균심박출계수($55.63{\pm}12.91mL$ for MDCT vs $59.95{\pm}12.75mL$ for Echocardiography, p<0.05)로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평균이완기말 좌심실 용적지수, 평균수축기말 좌심실 용적지수, 평균심박출량지수는 MDCT군이 높게 나타났으며, 평균좌심실 부피지수, 평균심박출계수는 심초음파군이 높게 나타났다. 각 변수에서 양군의 상관관계를 보면, 이완기말 좌심실 용적지수$(r^2=0.74,\;p<0.0001)$, 수축기말 좌심실 용적지수$(r^2=0.69,\; p<0.0001)$, 심박출량지수$(r^2=0.55,\;p<0.0001)$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좌심실 부피지수$(r^2=0.84,\;p<0.0001)$는 아주 높은 상관관계를, 심박출계수$(r^2=0.45,\;p<0.0002)$는 다소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결론: 16채널 MDCT를 이용한 좌심실 용적 및 기능의 평가는 심초음파의 결과와 비교하여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유용한 검사방법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각 항목의 평균값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여 임상적 적용을 위하여는 양 검사의 절대적 결과치를 병용하여 사용할 수는 없을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MDCT의 기술적 개발을 고려할 때 관상동맥 환자에 있어 관상동맥의 협착의 검사와 함께 좌심실 기능의 측정도 함께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수술용 내시경 로봇(AESOP)을 이용한 최소 침습적 개심술과 동 기간에 시행된 전통적인 개심술의 결과에 대한 비교 (Comparison of the Operative Results of Performing Endoscopic Robot Assisted Minimally Invasive Surgery Versus Conventional Cardiac Surgery)

  • 이영옥;조준용;이종태;김근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5호
    • /
    • pp.598-604
    • /
    • 2008
  • 배경: 내시경 장비와 수술 로봇의 발달로 작은 절개를 이용한 최소 침습적 심장수술이 점점 증가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수술 결과를 고식적인 수술 방법과 비교, 분석한 국내 보고는 드문 편이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2월부터 2007년 6월까지 수술용 내시경 로봇(AESOP2000)을 이용하여 심장수술을 받은 48명(A군)과 동 기간에 정중흉골절개로 수술을 받은 50명(B군)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수술 시간, 수술 결과, 술 후 통증, 회복 정도 등을 객관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사망은 없었으며 술 후 합병증 발생률도 두 군간에 큰 차이는 없었다. 평균 수술시간($292.7{\pm}61.7$분, $264.0{\pm}47.9$분; p=0.01), 체외순환시간($(128.4{\pm}37.6$분, $101.7{\pm}32.5$분; p<0.01)은 A군에서 더 길었으나 대동맥차단시간 ($82.1{\pm}35.0$분, $87.8{\pm}113.5$분; p=0.74), 평균 인공호흡기 사용시간($18.0{\pm}18.4$시, $19.7{\pm}9.7$시; p=0.57)은 차이가 없었으며 중환자실 평균 입원시간($53.2{\pm}40.2$시, $72.8{\pm}42.1$시; p=0.02) 및 평균 재원기간($9.7{\pm}7.2$일, $14.8{\pm}11.9$일; p=0.01)은 A군에서 더 짧았다. 입원기간 중 수혈을 받은 환자는 B군에서 더 많았으며 평균 수혈양도 B군에서 더 많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06). 술 후 1주에서 4주까지 통증 점수는 A군에서 의미 있게 적었으며 일상생활의 수행 능력을 측정하는 듀크 활동상태지수 (Duke activity status Index)에 따른 기능 점수(functional status score)는 A군에서 현저하게 높았다. 술 후 심초음파 결과 승모판 성형술을 시행한 환자의 역류 정도($0.7{\pm}1.0,\;0.9{\pm}0.9$; p=0.60)와 삼첨판 성형술을 시행한 환자의 역류 정도($1.0{\pm}0.9,\;1.1{\pm}1.0$; p=0.89)는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판막주위유출은 각각 1명의 환자에게 있었으며 그 외 판막 관련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 로봇을 이용한 치소 침습적 심장수술은 수술 후 통증 감소, 환자의 빠른 회복, 미용적인 효과, 짧은 입원기간 등의 장점뿐만 아니라 수술 성적도 고식적 수술 방법에 비해 떨어지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RASSF1A Gene Methylation is Associated with Nasopharyngeal Carcinoma Risk in Chinese

  • Wu, Kun;Xu, Xiao-Ning;Chen, Yu;Pu, Xiao-Lin;Wang, Bo-Yuan;Tang, Xiao-D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6호
    • /
    • pp.2283-2287
    • /
    • 2015
  • In order to explore the association between RASSF1A methylation and nasopharyngeal carcinoma (NPC) risk of Chinese, we carried out a meta-analysis with searches of PubMed, Web of Science, ProQest and Medline databases. Ultimately, 14 articles were identified and analysised using R Software (R version 3.1.2) including meta packages. Overall, we foun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RASSF1A methylation and NPC risk (OR 30.7; 95 % CI, 16.71~56.23; z=11.0591; p<0.0001) in a fixed effects model and (OR 32.1; 95% CI, 14.27~72.01; z=8.3984; p<0.0001) in a random effects model pooled. In tissue and NP brushings groups, similar results were found. Hence, our study identified a strong association between RASSF1A methylation and NPC and highlighted a promising potential for RASSF1A methylation in NPC risk prediction of Chinese.

옥수수 사일리지 이용 섬유질배합사료의 배합시간에 따른 In situ 반추위 분해율 및 착유우의 산유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xing Time for Total Mixed Rations using Corn Silage on Ruminal In situ Dry Matter Degradation and Milk Production in Dairy Cows)

  • 임동현;기광석;최순호;김태일;박성민;박수범;권응기;김언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88-295
    • /
    • 2014
  • 본 연구는 옥수수 사일리지를 이용하여 TMR 제조 시 배합시간에 따른 물리적 특성(Particle size, peNDF 및 laceration)의 변화를 조사하고, 반추위 내 in situ 건물분해율 및 비유중기 착유우의 유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TMR 시험사료는 동일한 원료를 이용하여 배합시간을 30분(T1구)과 50분(T2구)으로 제조하였다. Penn State Particle Size Separator (PSPS, 19 mm와 8mm 체)로 분리하여 입자크기의 분포를 분석한 결과 배합 시간이 30분(T1)에서 50분(T2)로 증가함에 따라 하층(<8mm)의 비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p<0.01), $peNDF_{&gt;8.0}$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1), 굵은 비율(${\geq}1mm$) 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1). 반추위 내 in situ 건물 분해율은 모든 배양시간에서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지만 24시간 배양에서 T1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1). 산유량은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지만 유지방은 T1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1). 본 연구 결과에서 옥수수 사일리지 위주의 TMR 제조 시 배합시간을 단축 조절함으로서 산유량 및 유성분에 대한 부정적 영향 없이 조사료의 물리적 사료가치를 증진하는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건조한 남은 음식물을 이용한 Aspergillus oryzae균주 배양조건과 그 배양물 급여가 닭의 영양소 이용률에 미치는 영향 (Culture Conditions of Aspergillus oryzae in Dried Food-Waste and the Effects of Feeding the AO Ferments on Nutrients Availability in Chickens)

  • 황보 종;홍의철;이병석;배해득;김원;노환국;김재황;김인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91-300
    • /
    • 2005
  • 남은 음식물에서 Aspergillus oryzae(AO)의 유용한 배양조건(시간, 수분함량, 접종균수)을 구하기 위하여 2가지 실험과 닭에서 그 배양물의 영양소 이용율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1> 적정 배양시간과 접종균수의 측정을 위하여 수분함량을 30, 40, 50, $60\%$로 정하였다. 잔반 사료에 접종하는 seed로서 1mL Aspergillus oryzae(AO) $(1.33\times10^5\;CFU/mL)$를 이용하였다. 배양을 위한 적정 수분함량은 $40\~50\%$였으며 배양시간은 72시간 이상이었다. 계속하여 AO 균수에 의한 효과를 결정하기 위해 AO seed 0.25, 0.50, 0.75, 1.00mL를 남은음식물 사료에 접종하였다. AFW의 AO균수를 비교하기 위하여 72시간과 96시간 배양하였으나, 접종량에 따른 유의차는 없었다. 다시 수준을 낮추어 0.01, 0.05, 0.10mL를 접종하고 72시간과 96시간동안 배양한 결과, 72시간 배양 AO colony 수는 0.1 mL 접종 처리 구에서 가장 많았다. <시험 2> FW의 배양조건을 결정한 후에, 20수의 5주령 Hubbard종을 공시하여 소화율 시험을 수행하였다. 처리구는 T1-대조구, T2-기초사료 $60\%$+건조잔반 $40\%$, T3-기초사료 $60\%$+건조잔반 $20\%$+AO균 접종 건조잔반 $20\%$, T-4-기초사료 $60\%$+AO균 접종 건조잔반 $40\%$ 처리구 등 총 4처리구, 처리구당 5반복씩 20수를 인공항문 장착하여 소화율을 조사하였다. 영양소 소화율에 있어 일반성분과 아미노산은 대조구에 비해 T2 처리구가 전성분에서 낮았고(p<0.05), AFW(T3, T4)처리구에 비해 조지방과 인의 소화율에서 차이를 보였다(p<0.05). T3와 T4는 T2에 비해 조섬유 및 조회분의 소화율이 증가하였다(p<0.05). 대조구는 T3와 T4에 비해 필수아미노산인 arginine, leucine, phenylalanine의 소화율이 높았으나(p<0.05), T3와 T4 처리구는 T2 처리구에 비해 필수아미노산 arginine, lysine 및 thereonine과 비필수아미노산 alanine의 소화율이 개선되었다(p<0.05).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건조 잔반의 AO 배양조건 구명과 영양소 이용율 시험을 통해 FW사료의 품질이 기초사료에 비해 영양소 이용율이 낮고, AFW 사료가 AO에 의해 개선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위 점막하층암의 임상병리학적 특징과 수술 방법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and Surgical Strategy for Patients with Submucosal Gastric Carcinomas)

  • 박찬용;서경원;주재균;박영규;류성엽;김형록;김동의;김영진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5권2호
    • /
    • pp.89-94
    • /
    • 2005
  • 목적: 조기위암은 진행위암에 비해 월등히 좋은 예후를 보인다. 조기위암의 5년 생존율은 현재 $90\%$를 상회하며 치료가 가능한 암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조기위암에서 중요한 예후인자는 림프절 전이의 존재 여부이다. 요즘 조기 위암에 대해 보존적 술식이 제안되고 있지만 각 개인에 있어서 적절한 술식을 선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후향적 연구는 점막하층암에서 적절한 치료 방법을 결정하기 위해서 임상병리학적 형태와 림프절 전이와 관련된 인자들을 명확히 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전남대학교병원에서 1981년부터 1999년 사이에 수술을 받았던 점막하층암(I군) 279예의 임상병리학적 특징을 점막암(II군), 근육층암(III군)과 비교한 것이다. 각 군들 간에 나이, 성별, 종양의 위치, 간 전이 여부, 복막파종 여부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과: 림프절 전이는 점막하층암 279명 중 47명($16.8\%$)에서 보였다. 점막하층암에서 림프절 전이는 점막에서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16.8\%\;vs.\;3.9\%$; P<0.01). 점막하층암(I군)에서 5년 생존율은 $88.6\%$이며 점막암(II군)과 근육층암(III군)에서는 각각 $95.2\%$$72.7\%$였다(I군 vs. II군, I군 vs. III군; P<0.01). 점막하층암 환자에서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 생존율은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에 비해 유의하게 불량하였다($82.2\%\;vs.\;93.6\%$; P<0.01). 결론: 점막하층암에서 림프절의 전이유무가 중요한 예후인자이므로 D2 림프절 곽청술을 포함한 위절제술이 점막 하층암 환자에서 적절한 수술적 방법으로 사료된다. 예후 인자라고 할 수 있다. STI-571은 재발 혹은 전이 환자에 있어 치료 효과를 나타내므로 술후 치료에 적용하는 것이 예후 향상에 기여하리라 생각된다.한 검사로 환자의 일반적인 상태를 반영하며, 특히 혈소판 증가증, 혈청 알부민 감소, 빈혈 등이 나타난 경우 병의 예후가 나쁠 것임을 예측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판단된다.서는 C/C 116($40\%$), C/T 103$40\%$), T/T 68($24\%$)이었다(P=0.045). 암의 위치에 따른 MTHFR유전자형의 분포는 위 하부에서 C/C 16($28\%$), C/T & T/T 42($77\%$)이었고, 위 중부 및 상부에서 C/C 2($5\%$), C/T & T/T 36($75\%$) 이었다(P=0.006). 환자군 내에서 흡연력 유무에 따른 MTHFR유전 자형의 분포는 흡연력이 있을 때 C/C 13($23\%$), C/T & T/T 43($77\%$)이었고, 흡연력이 없을 때 C/C 5($12\%$), C/T & T/T 35 ($88\%$)였다(P=0.189). 환자군 내에서 음주력 유무에 따른 MTHFR유전자형의 분포는 음주력이 있을 때 C/C 12($26\%$), C/T & T/T 33($74\%$)이었고, 음주력이 없을 때 C/C 6($12\%$), CT & T/T 45($88\%$)였다.(P=0.063). 결론: 본 연구에서는 MTHFR C/T & T/T 유전자 다형성이 위암의 발생과 그 위치에 대해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고, 흡연력, 음주력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 PDF

칡전분과 한국산밀로 만든 라면의 품질연구 (A Study on the Quality of Ramyon Made from Korean Wheat and Arrowroot(Pueraria thunbergiana B) Starch)

  • 황은희;김기환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51-158
    • /
    • 2008
  • This study examines the cooking quality, rheolog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ramyon noodles made from Korean wheat and arrowroot starch. The control was made from Australian standard wheat(ASW) and the sample was made from Korean wheat. The ratios of arrowwood starch in the sample group were 0%, 5%, 10%, 15%, 20%, 25%, and 30% respectively, and the result was as follows: the yield of the arrowwood starch was 18.8% and moisture level was 14.2%. The lightness(L), redness(a), and yellowness(b) of ASW were 92.07, 1.44, 10.22 respectively, whereas those of Korean wheat were 92.05, 1.55, 11.01, which means the two kinds of wheat showed very little difference in lightness, but Korean wheat had higher degrees of a and b than ASW. The color value of arrowroot starch is L 72.65, a 3.44, b 12.92, so it has a lower degree of lightness and higher degrees of a and b than two kinds of wheat. Dried ramyon displayed a lower degree of lightness and higher degrees of a and b than cooked ramyon, but the first decreased and a increased as we increased the ratio of arrowroot starch in it. The weight of dried ramyon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s. On the other hand, the weight, volume, water absorption, and the turbidity of cooked ramyon increased as we increased the amount of arrowroot starch in it. The maximum weight, solidity, and elasticity of the control group were greater than those of ramyon made from Korean wheat, but its brittleness was lower. The two groups showed the same degrees of hardness, adhesiveness, and cohesiveness. The maximum weight, solidity, and adhesiveness of the control group increased as we increased the amount of arrowroot starch in it, and the hardness and brittleness were great when the ratio of arrowroot starch was 20%; elasticity was greatest when the ratio of arrowroot starch was 15, 20, and 25%; its adhesiveness and cohesiveness did not depend on the amount of arrowroot starch in it. I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evaluation, the items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clude: appearance (p<0.01), color(p<0.01), smell(p<0.001), transparency(p<0.05), and overall acceptability(p<0.05). The ramyon earned the highest score in appearance when the ratios of arrowroot starch were 5%, 15%, and 20%. As for color and smell, it earned the highest score when it contained 20 and 25% of arrowroot starch. The transparency decreased as we increased the amount of arrowroot starch, and overall acceptability was highest when the ratio of arrowroot starch was 1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verall acceptability between the control and the sample group. As for the loosing speed and chewines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hen we look at the result of various tests to evaluate the cooking quality, rheolog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ramyon noodles, ramyons that contained 15 to 25% of arrowroot starch earned the high scores, and of these the one with 20% of arrowroot starch earned the highest score on all accou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