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01A40

검색결과 2,711건 처리시간 0.039초

비만아의 영양소 섭취상태와 혈중 Leptin 농도와의 관계 (A Study of Dietary Behavior and Serum Leptin Levels of Obese Children)

  • 손수진;이희자;최봉순;이인규;박명희;이은주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02-11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serum leptin, nutritional status, and the obesity indices of 55 obese children in Daegu and Kyungpook area. Obesity was defined as fat percentage that exceed 25% of body fat mass. Energy and nutritional status were tended to be low, and dietary intake of calcium and iron were less than any other nutrients in all the subjects. Especially, beverage intake of obese group was more than non-obese group. The leptin level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RDA of energy (0.41, p < 0.001), protein (0.44, p < 0.001), phosphate (0.40, p < 0.001), iron (0.37, p < 0.001), vitamin A (0.31, p < 0.01), thiamin (0.40, p < 0.001), riboflavin (0.26, p < 0.05), niacin (0.51, p < 0.001), and vitamin C (0.24, p < 0.05). The leptin level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AR (mean adequacy ratio, r : 0.43, p <0.001) and INQ (index of nutrient quality) of thiamin (r : 0.22, p <0.05).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RDA of niacin in obese group ($R^2$: 0.208, p : 0.001) and total subjects ($R^2$ : 0.257, p : 0.000), MAR (p : 0.003) and INQ (p : 0.048) of niacin in obese group ($R^2$ : 0.255) and MAR (p : 0.000) and rNQ ofca (p : 0.024) in total subjects ($R^2$ : 0.231) may be important independent predictors to leptin level. MAR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fat (r = 0.42, p < 0.01), BMI (r = 0.46, p < 0.01), RW (r : 0.44, p < 0.01), WHR (r : 0.39, p < 0.01) and, "ieRnA (p < 0.05, p < 0.01). These data indicated relationships among leptin level, nutrient intake, %RDA, MAh, and INQ in children.dren.

Open Access (OA) 논문의 비중과 방식, 피인용 유도 효과에 대한 국가 간 차이 분석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Countries in the Proportion, Method and Citation-inducing Effect of Open Access (OA) Articles)

  • 조재인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73-94
    • /
    • 2023
  • 본 연구는 Web of Science (WoS) 논문을 기반으로 주요 5개국의 Open Access (OA) 논문 비중과 방식을 분석하고 조절효과(Moderating Effect) 검증을 통해 OA의 피인용 유도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OA 비중은 영국이 62.7%로 가장 높았으며, 중국이 38.0%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셀프 아카이빙과 Gold Hybrid가 OA의 주요 실천 방법 중 하나로 나타난 영미와 달리, 중국과 한국의 OA 논문은 Gold 저널 출판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두 번째, 조절효과 분석 결과, 우수 논문의 OA 출판 및 유통이 활성화된 영국, 미국, 일본의 경우 OA 비중이 높을수록 피인용량을 유도하는 효과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한국(B=-0.00003, p<0.01)과 중국(B=-0.00001, p<0.01)에서는 역의 방향성이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더불어 대부분의 학문분야에서 OA가 피인용을 유도하였으나 공학 분야(B=-0.00002, p<0.01)에서는 역의 방향성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Benzalkonium Chloride가 돈슬러리의 바이오가스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enzalkonium Chloride on Biogas Potential of Pig Slurry)

  • 박혜림;최홍림
    • 유기물자원화
    • /
    • 제19권3호
    • /
    • pp.63-7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benzalkonium chloride 처리에 따라 바이오가스 생산이 억제되는 정도를 평가하였다. 바이오가스 생산 억제 수준은 10 ppm, 40 ppm, 80ppm의 benzalkonium chloride가 처리되었을 때 각각 10%, 30-40%, 70% 이상이었다. Benzalkonium chloride의 처리에 따라 저해되는 효소를 알아내기 위하여 효소 활성을 분석하였으며 산성/알칼리 포스파타아제, 프로테아제는 메탄 생산량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alpha}$-글루코시다아제는 실험기간 동안 메탄 생성량과 상대적으로 낮은 음의 상관성을 보였으며(p<0.01, r=-426), 다른 효소와의 상관성도 상대적으로 낮았다. 메탄생성률(ml/day)은 benzalkonium chloride및 산성 포스파타아제와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Benzalkonium chloride가 대장균에 미치는 영향을 원판확산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Benzalkonium chloride의 농도가 높을수록 세균증식 억제대가 확장되었으며, 이를 통하여 benzalkonium chloride가 초산생성균의 증식을 억제함으로써 혐기소화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Bat Swing Speed and Balance Ability in Elementary School Baseball Players

  • Ho-Jin, Jeong;Yong-Nam, K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호
    • /
    • pp.137-142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야구선수의 타격 속도와 균형 능력의 상관관계를 규명을 제안한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40명이었다. 타격 속도는 zepp2baseball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균형 능력은 biorescu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균형능력의 측정은 눈 뜬 상태에서 이동 면적·눈 뜬 상태에서 이동거리·눈 뜬 상태에서 평균 이동속도·눈 감은 상태에서의 이동 면적·눈 감은 상태에서의 이동거리·눈 감은 상태에서의 평균 이동속도를 측정하였다. 타격 속도와 균형 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피어슨 상관분석을 이용하였다. 타격 속도와 눈 감은 상태에서의 이동면적 사이에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습니다(r=-0.366, p<0.05). 타격 속도와 눈 감은 상태에서의 이동길이 사이에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0.348, p<0.05). 타격 속도와 눈 감은 상태에서 평균 이동속도 사이에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0.455, p<0.01). 그 중 눈 감은 상태에서 평균 이동속도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이러한 결과는 균형능력의 향상이 타격 속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생장조정제 처리 후 생육 시기별 퍼레니얼 라이그래스의 억제 효과 (Seasonal Growth Inhibition of Perennial Ryegrass (Lolium perenne L.) after Applying Two Plant Growth Regulators)

  • 임승재;김태웅;김영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42-248
    • /
    • 2023
  • 본 연구는 퍼레니얼 라이그래스에서 생장조정제 trienexapacethyl과 prohexadione-calcium을 처리하였을 때 생육 시기별 잔디 품질과 생육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처리구는 대조구(Control), TE 처리구(0.01 a.i. g·m-2·100mL-1) 및 PC 처리구(0.01 a.i. g·m-2·100mL-1)으로 설정하였다. 생장조정제 처리 후 퍼레니얼 라이그래스의 엽색 지수 및 엽록소 함량은 대조구와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TE와 PC처리구에서 잔디의 초장은 각각 8.9-12.4%와 6.7-13.6%씩 감소하였고, 잔디 예지물량은 44.4-45.8%와 40.6-40.9%씩 감소하였다. 생장조정제 처리 후 경과 일수와 초장의 변화를 이용하여 약효 지속 기간을 조사하였을 때, TE와PC처리구는 1차 조사(7월 29일-8월 26일)에서 각각 43.6일과 37.9일, 2차 조사(9월 30일-10월 28일)에서는 38.3일과 39.5일이었다. 상기 결과들을 종합할 때, TE와 PC의 처리는 퍼레니얼 라이그래스의 초장 및 생육을 억제하였고, 약효 지속 기간은 약 40 ±3일 정도를 나타냈다. 또한 생장조정제 처리시 계절별 잔디 생육과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약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쑥 첨가 사료를 섭취한 한우육의 냉장 중 품질 변화 (Effects of Feeding Dietary Mugwort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Hanwoo Beef during Cold Storage)

  • 문윤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99-505
    • /
    • 2011
  • 쑥을 섭취하지 않은 한우육(T0구)과 쑥을 섭취한 한우육(T1구)을 $3{\pm}1^{\circ}C$에서 50일간 냉장하면서 쑥의 섭취 효과를 검토하였다. 냉장 중 T1구는 T0구에 비하여 표면색도의 $a^*$ 값 과 $b^*$ 값이 느리게 저하하였고, 냉장 40일부터 처리구간의 유의성(p<0.01)이 있었다. 냉장 중 T0구와 T1구의 전단력은 낮아지고(p<0.001) 드립과 가열 감량은 많아졌으며(p<0.05), 처리구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냉장 중 T1구는 T0구에 비하여 휘발성염기질소 함량이 느리게 상승하고 냉장 50일에 유의성(p<0.01)이 있으며, 일반세균수와 지방산패도 값이 느리게 상승하고 냉장 30일부터 유의성(p<0.01)이 있었다. 그리고 항산화력은 T1구가 느리게 저하하고 냉장 40일부터 유의성(p<0.05)이 있었다. 냉장 중 T1구는 T0구에 비하여 가열육의 맛, 다즙성 및 연도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향과 종합적 기호도는 냉장 30일부터 유의적(p<0.05)으로 우수하였다.

시설상추 농가를 대상으로 하는 bottom-up 방식 LCA 방법론의 농업적 적용 (Application of LCA on Lettuce Cropping System by Bottom-up Methodology in Protected Cultivation)

  • 유종희;김계훈;김건엽;소규호;강기경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1195-1206
    • /
    • 2011
  • 남양주의 실제 상추재배 농가를 대상으로 전과정평가를 적용하여 bottom-up 방식의 사례분석을 수행하였다. 사례분석을 위하여 현장을 방문하여 청취 조사를 하였고, 대상 농가는 유기농가 2곳, 무농약 인증 농가 1곳, 관행농가 2곳이었다. 현장자료 수집과 산정에서 데이터 값의 오차범위가 넓어지는 것을 고려하여 추가의 냉난방이 없는 가을 1 작기를 기준으로 평가하였고, 민감도 분석과 시나리오 분석을 추가하였다. 전과정 목록분석과 영향평가는 'PASS(4.1.3)'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다. GTG 목록작성 결과 상추 1 kg 생산하는데 투입되는 물질 중 비료와 에너지 투입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농약이 가장 작은 값을 나타냈다. 특히 육묘단계가 없었던 농가 1을 제외한 모든 농가에서 전기의 투입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상추 1 kg 생산하는데 영농작업으로 말미암아 포장에서 직접 배출되는 $CO_2$, $CH_4$, $N_2O$는 각각 6.79E-03 (농가 1), 8.10E-03 (농가 2), 1.82E-02 (농가 3), 7.51E-02 (농가 4), 1.61E-02 (농가 5) kg $kg^{-1}$ lettuce이었다. 전과정 목록분석 결과 시설 상추 1 kg 생산하는데 발생하는 온실가스 발생량은 $CO_2$가 배출량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이 $N_2O$, $CH_4$ 순으로 나타났다. 농가별 $CO_2$ 배출량은 각각 2.92E-01 (농가 1), 3.76E-01 (농가 2), 4.11E-01 (농가 3), 9.40E-01 (농가 4), $5.37E-01kg\;CO_2\;kg^{-1}\;lettuce$ (농가 5)이었다. 공정별 온실가스 발생량을 분석한 결과, $CO_2$는 에너지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양이 가장 많았다. 관행농은 에너지생산에 의한 배출 비중이 유기농보다 적었고 대신 복비 생산에 의한 $CO_2$ 배출 비중이 그 차이만큼 늘었다. 또한, 무기질 비료 투입이 많아질수록 아산화질소 발생에서 상추재배 공정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게 나타났는데 농가 1, 2는 87%, 농가 3은 64%를 나타냈다. 시설 상추 생산체계의 탄소성적 값은 농가별로 각각 3.40E-01 (농가 1), 4.31E-01 (농가 2), 5.32E-01 (농가 3), 1.08E+00 (농가 4), 6.14E-01 (농가 5) kg $CO_2$-eq. $kg^{-1}$ lettuce였다. 민감도 분석 결과 유기질 비료 민감도가 무기질 비료 민감도 보다 높았고, 이 중 유박의 민감도가 가장 높았고, 복합비료의 민감도가 가장 낮았다. 또한, 온실가스 변화량 중 아산화질소 발생량이 가장 민감하게 변화하였다. 전기 사용량 변화에 따른 민감도 분석은 이산화탄소의 민감도가 가장 높았고, 다음이 메탄이었고, 아산화질소는 민감도가 0에 가까웠다. 따라서 시설재배 상추생산에서 탄소배출량 감소를 위하여 질소비료 종류와 시비방법 및 시설내 전기사용에 대한 합리적 영농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상추 재배에서 여름 작기에 대한 탄소 성적 시나리오 분석결과 생산량이 봄이나 가을에 비하여 약 1/2~1/3정도 작았고, 이에 따라 탄소성적도 30~40배 높은 값을 보였다.

Effect of 2-Bromoethanesulfonic Acid on In vitro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Methanogen Population

  • Lee, S.Y.;Yang, S.H.;Lee, W.S.;Kim, H.S.;Shin, D.E.;Ha, Jong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1호
    • /
    • pp.42-48
    • /
    • 2009
  • An in vitro incubation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s of 2-bromoethanesulfonic acid (BES) on rumina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methanogen population. BES at the final concentration of 0, 1 and 5 mM with two different substrates having a different ratio of timothy and concentrate (100% timothy vs. 40% timothy-60% concentrate) was incubated for 0, 24, 48 and 72 h in a $39^{\circ}C$ incubator. Total DNA extracted from culture fluid was used as a template for real-time PCR to measure the population of methanogens. Four different primer sets were used for amplification of total bacteria, total methanogens, the order Methanobacteriales and the order Methanomicrobiales. BES reduced (p<0.01) total gas and methane produc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BES at 5 mM inhibited methane production by more than 95% compared to the control. An interaction between substrate and level of BES in total gas and methane was detected (p<0.01). The decrease of methane production with increasing BES level was more pronounced on mixed substrate than on timothy alone. However, hydrogen production was increased by BES treatment (p<0.01). Total VFA concentration was not affected, but molar percentage of propionate and butyrate was increased and acetate to propionate ratio was reduced by BES treatment (p<0.01). BES did not affect the population density of total bacteria but reduced (p<0.01) the population of total methanogens, the order Methanobacteriales and the order Methanomicrobiales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type of substrate did not influence the trend, although the magnitude of response was different between all-roughage and 40% roughage substrate.

Acinetobacter sp. SY-01로부터 Enantioselective Lipase의 생산 (Production of Enantioselective Lipase from Acinetobacter sp. SY-01)

  • 박대원;박호일;신평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45-150
    • /
    • 2003
  • Acinetobacter sp. SY-01가 생산하는 lipase는 소염진통제로 쓰이는 azolerP 의약품 중간체인 두 enantiomer를 가진 rcemate에 대해 enantioselectivity를 가지는 효소로써 chiral drug를 생산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Acinetobacter sp. SY-01 lipase 효소의 다량 생산을 위한 여러 가지 최적 조건을 조사하였다. 탄소원으로는 여러 가지 천연 오일을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0.2% olive oil이 가장 좋았으며, 최적 온도와 pH는 30도와 pH 7이였다. EH한 금속이온과 유기용매 안정성에 있어서는 $Fe^{2+}$$Ca^{2+}$ DMSO가 좋은 효과를 나타냇었다. 특히 DMSO는 유기용매가 첨가되지 않았을 때보다 약 2.5배 높은 효소 활성을 나타내었다. 계면활성제 이용에 있어서는 tritom X-100을 이용했을 때 좋은 효과를 나타냈다. Acinetobacter sp. SY-01가 생산하는 lipase 효소의 최적 배지 조성은 0.8% yeast extract, 0.2% olive oil 0.4% triton X-100, 40% DMSO, 0.1 % $NH_4$Cl% 0.4%$K_2HPO_4$ 3.9% $NaH_2PO_4$ 0.03% $CaCl_22H_2O$ 0.01% $FeSO_4$$7H_2O$(pH 7.0)이다.

종자피복기의 피복통 회전속도가 피복종자의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otatory Speed of Coating Pan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Coated Seeds)

  • 허삼남;이성운;박천수;장박;박홍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5-40
    • /
    • 2008
  • 본 실험은 표준화된 피복종자를 생산하기 위하여 피복통의 회전속도를 20, 30, 40, 45, 55, 60 rpm으로 하여 소형 피복통으로 레드클로버와 톨페스큐 종자를 피복하였다. 고형물질로는 vermiculite를 사용하였고 접착제는 polyvinyl alcohol을 사용하였다. 피복 후 통에서 회수된 단립 피복종자 무게, 서로 달라붙어 덩어리진 피복종자 무게, 피복되지 않고 회수된 미 피복물질 무게, 충격에 의한 피복층 탈락성 및 피복종자의 백립중 등을 조사하여 피복종자의 물리적 특성을 평가하였으며, 이 자료를 근거로 피복효과를 종합적으로 표현하는 피복지수를 산출하였다. 레드클로버 종자는 통의 회전속도 45 rpm에서 회수된 단립 종자 무게가 제일 높았으며(p<0.01), 덩어리진 종자 수가 적고 피복물질의 탈락율이 적었으며, 피복종자의 백립중도 가장 무거웠다. 톨페스큐 종자는 피복통 회전속도 40 rpm에서 회수된 단립 종자 무게가 제일 높았으며(p<0.01), 덩어리진 종자 수가 적고 피복물질의 탈락율이 적었으며, 피복종자의 백립중도 가장 무거웠다. 통의 회전속도별 피복지수는 레드클로버는 45 rpm에서(p<0.01), 톨페스큐는 40 rpm에서 제일 높았다(p<0.01). 피복통의 회전속도는 피복종자의 물리적 성질에 크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종자피복 전에 종자나 피복제에 따른 피복통 회전속도의 표준화가 필수적이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