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01A13

검색결과 3,240건 처리시간 0.029초

의료종사자의 노인에 대한 지식, 소진, 직무만족도와 노인학대 인식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bout the elderly, burn out, job satisfaction, and awareness of elder abuse of Healthcare Workers)

  • 배효진;홍선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355-363
    • /
    • 2023
  • 본 연구는 의료종사자의 노인에 대한 지식, 소진, 직무만족도와 노인학대 인식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고 1개 특별시, 3개 광역시에 위치한 8개 보건소, 15개 요양병원, 30개 대학병원 기관에서 근무하는 의사, 간호사, 간호조무사 37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 결과 노인에 대한 지식은 노인학대 인식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r=.14, p<.01), 소진은 직무만족도(r=-.55, p<.01)와 노인학대 인식(r=-.10, p<.05)과 관계에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도는 노인학대 인식(r=.13, p<.01)과의 관계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학대 인식은 노인에 대한 지식(r=.14, p<.01), 직무만족도(r=.13, p<.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소진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10, p<.05).본 연구 결과 의료종사자의 소진을 줄이고 직무만족도 향상을 통해 노인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태도를 함양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하악영구구치 치근발육에 관한 방사선학적 연구 (A Roentgenographic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oots of Mandibular Permanent Posterior Teeth)

  • 고명연;정성창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6권1호
    • /
    • pp.23-34
    • /
    • 1981
  • In order to evaluate the correlation of age with development stage on permanent lower posterior teeth. the author exmined the roentgeregrams in standard films taken by intraoral technic and analysed the development phases of 1358 teeth of 500 males ranging from 9 to 15 years. The development was divided into 7 phases : Crown complete (Cr. C.). Root length 1/4(R. 1/4) Root length /2 (R. 1/2) Apical closure complete (A.C)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formation of roots in full length on posterior teeth was complete as follow : a. Roots of 1st premolar : 12.72 years b. Roots of 2nd premolar : 12.94 years c. Meral Roots of 2nd molar : 13.38 years d. Distal Roots of 2nd molar : 13.46 years 2. The formation of apical forman of premolar was closured as follows : a. Apical foramen of root of 1st premolar : 13.64 years b. Apical foramen of root of 2nd premolar : 13.93 years 3. As a general rule. the mesial roots of second molar were developed earlier than distal roots of second molar. 4. In the correlation of age with the development stage, the regression equations. the correlation coefficents. and the sample numbers were “Y = 0.8370x + 10.2160, r = 0.71(p<0.01), n = 318”on lower first premolar, “Y = 0.6984x + 10.2148, r = 0.71(p<0.01), n = 385”on lower second premolar, “Y = 0.8810x + 10.2040, r = 0.65(p<0.01), n = 344”on mesial Root of lower second molar, and “Y = 0.7310x + 10.7940, r = 0.66(p<0.01), n = 311”on Distal Root of lower second molar respectively.

  • PDF

근관치료된 치아상질에서 Amelogenin Gene 및 Short Tandem Repeat(STR) 유전좌위 F13A01, LPL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Amelogenin Gene and Short Tandem Reeat(STR) Locus F13A01, LPL from Dentin of the Endodontic Treated Teeth)

  • 김남리;윤창륙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2권2호
    • /
    • pp.219-232
    • /
    • 1997
  • 치아는 성별과 연령의 추정은 물론 혈형 검사와 유전자 검사까지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법의치과학적 자료이다 대부분 치아를 이용한 연구는 핵 DNA가 들어있는 치수에서의 연구로 치수내에는 풍부한 혈액 및 세포가 분포해 있어 핵 DNA가 다량 함유되어 있다. 그러나 순수 상아질에는 핵이 없고 따라서 핵 DNA도 없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치수내에 존재하는 핵 DNA가 상아세관을 통하여 상아질내로 침투할 가능성이 있고 실제 근관치료가 되어 있는 무수치를 감정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치아중에서도 근관치료를 받은 무수치에서 개인식별에 활용되는 유전자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40개의 근관치료된 치아상아질에서 DNA출 추출하고 중합효소반응을 이용하여 증폭절편다형(Amp-FLPs)을 실시하고 X-Y homologous amelogenin gene과 STR 유전좌위 F13A01, LPL를 검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40개의 근관치료된 치아중 19개에서 DNA가 추출되었다. 2. X-Y homologous amelogenin gene 검색으로 40개의 근관치료된 치아에서 21의 남자 치아중 5개, 19개의 여자치아중 7개 등 모두 12개 치아에서 성별검사가 가능하였다. 3. F13A01 유전자는 43개의 근관치료된 치아중 6개의 치아에서 검색되었으며, 4개의 대립유전자 및 5개의 유전자형을 관찰하였다. 4. LPL_유전자는 40개의 근관치료된 치아중 7개의 치아에서 검색되었으며, 3개의 대립유전자 및 3개의 유건자형을 관찰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근관치료된 치아상아질에서 중합효소반응을 이용한 성별검사 및 STR 유전자위의 검색은 일부 치아에서만 가능하였으나, 근관치료된 치아들도 개인식별을 위한 법의치과학적 자료로서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목 안정화 운동이 턱 관절 장애 환자의 라이프 케어를 위한 턱 관절 기능 및 압통역치에 미치는 효과 연구 (Effect of Cervical Stabilization Exercise on Temporomandibular Joint Function and Pain Threshold for Life Care of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 이은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461-46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상부 목 안정화 운동이 턱 관절 기능장애과 압통 역치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를 진행 하였다. 36명의 대상자를 상무목 안정화 운동 그룹과 대조군 두 그룹으로 설정하여 상부 목 안정화 운동은 압력센서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를 총 4주간 주 3회 20분씩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개구범위에 있어서 상부 목 안정화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한 효과를 보였으며(p<.01, 95% CI: 8.074, 16.899), 우측 치우침에서 상부 목 안정화 운동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p<.01, 95% CI: .826, 3.243). 압통 역치의 변화에서는 관자근(p<.01, 95% CI: .251, 1.382)과 깨물근(p<.01, 95% CI: .462, 1.826) 모두 상부 목 안정화군이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턱 관절 기능장애 환자에게 상부 목안정화 운동이 턱 관절 장애에 효과적이었다. 턱 관절 장애를 경험하고 있는 환자들에게 더욱더 효과적인 중재방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턱 관절 장애로 인한 고통받고 있는 환자들에게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國內 飼育 원숭이의 心電圖에 관한 硏究 (Studies on the Electrocadiogram in Non-human Primates Reared in Korea)

  • 서진석;서지민;이버들;송근호;이수진;김덕환;현병화;신남식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32-138
    • /
    • 2002
  • Non-human primates are widely used for experimental animal and raised as companion animal in Korea. To establish the electrocadiogram (ECG) of non-human primates that are domestically raised, the author measured bipolar limb leads and augmented unipolar limb leads, after tiletamine/zolazepam (TZ) injection as sedative agents. The amplitudes of P,Q, R,S and T wave and duration time of P wave, QRS complex, PR and QT interval in each lead of ECG were evaluated in 7 non-human primates at 15 minutes after TZ injection, respectively. The amplitude of P wave in I, II,III, aVR, aVL and aVF leads revealed 0.06$\pm$ 0.05,0.14$\pm$ 0.05, 0.1 $\pm$ 0.05,-0.11 $\pm$ 0.06,-0.04$\pm$ 0.04 and 0.12$\pm$ 0.05 mV respectively. The amplitude of Q wave revealed -0.16$\pm$ 0.15, -0.23$\pm$ 0.18, -0.17$\pm$ 0.13, 0.16$\pm$0.13, 0.04$\pm$ 0.09 and -0.2$\pm$0.13 mV, respectively. The amplitude of R wave revealed 0.56$\pm$0.56, 1.24$\pm$ 0.67, 0.92$\pm$0.33, -0.37$\pm$ 1.14, -0.22$\pm$ 0.47 and 1.12 $\pm$ 0.47 mV, respectively. The amplitude of S wave revealed -0.02$\pm$ 0.08, -0.04$\pm$0.06, -0.06$\pm$0.04, 0.02$\pm$0.04, 0.04$\pm$0.09 and -0.04 $\pm$ 0.06 mV, respectively. The amplitude of T wave revealed -0.01 $\pm$ 0.15,-0.02$\pm$ 0.13, 0.01 $\pm$ 0.08, 0.02$\pm$ 0.12, 0.01 $\pm$ 0.11 and -0.03$\pm$ 0.09 mV, respectively. The duration time of P wave revealed 0.05 $\pm$ 0.01, 0.04$\pm$ 0.01, 0.05$\pm$ 0.02, 0.05 $\pm$ 0.02, 0.04$\pm$ 0.01 and 0.04$\pm$ 0.01 sec, respectively. The duration time of QRS complex revealed 0.05 $\pm$ 0.02,0.05$\pm$ 0.01, 0.05 $\pm$ 0.01, 0.04$\pm$ 0.01, 0.05$\pm$ 0.01 and 0.05 $\pm$ 0.01 sec, respectively. The duration time of PR interval revealed 0.08$\pm$ 0.01, 0.07$\pm$0.01,0.08$\pm$ 0.03, 0.08$\pm$0.01, 0.08$\pm$ 0.01 and 0.08$\pm$0.01 sec, respectively. The duration time of QT interval revealed 0.23$\pm$ 0.06, 0.22$\pm$ 0.05, 0.23 $\pm$ 0.06, 0.23$\pm$ 0.06, 0.24$\pm$ 0.05 and 0.22$\pm$ 0.02 sec, respectively. No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e amplitude of P and T waves. The amplitude of QRS complex in ketamine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Z group. However, no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both intra-group and inter-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duration time of P wave, QRS complex and PR interval obtained from both groups. Also, the duration time of QT interval in TZ group was significantly longer at 30 min.(P< 0.05) an that of 10 minutes after injection.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found between two groups. The mean cardiac electric axis in ketamine group tended to decrease until 30 min. after injection and then gradually increase. However, mean cardiac electric axis of TZ group was increased until 30 min. after injection and then decreased. Bu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observed between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CG pattern after TZ injection to non-human primates reared in korea was established. It was also considered that the injection of ketamine and TZ didn't significantly affect on ECG pattern of the non-human primates.

한국인에서 중합효소 연쇄반응법에 의한 Short Tandem Repeat(STR) 유전좌위 FFv Triplex(F13A01, FESFPS, vWA) 유전자빈도 검색 (Allele Frequency of the Short Tandem Repeat(STR) Loci FFv Triplex(F13A01, FESFPS, vWA) Gene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in the Korean Population)

  • 윤창륙;유근춘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4권3호
    • /
    • pp.335-345
    • /
    • 1999
  • 법의학적 개인식별 및 친생자 감정시 여러 개의 single tandem repeats(STR) 유전좌위 검색이 필요하다. 그 이유는 STR 유전좌위는 대립유전자 수가 적고 이형접합도가 낮아 서로 다른 개체간에도 동일한 유전좌위를 가질 확률이 높기 때문에 개인식별에 대한 기여도가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여러 개의 다양한 STR 유전좌위들을 동시에 분석함으로써 우연적으로 개체간에 유전자형이 일치할 가능성을 낮추어야 감정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이에는 각 STR 유전좌위에 대한 유전좌위의 분포가 인종별, 지역별로 달라 이에 대한 유전자분포를 구하는 것이 선행조건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법의학적 개인식별 및 친자감정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서로 혈연관계가 없는 201명의 한국인 혈액에서 DNA를 추출하여 STR 유전좌위증 human coagulation factor XIII A subunit gene(F13A0l Locus), human c-fes/fps proto-oncogene(FESFPS Locus), human von Willebrand factor gene (vWA Locus)등 FFv Triplex 유전자를 중합효소반응에 의하여 동시에 증폭하고, 폴리아크릴아마이드겔을 이용한 전기영동 및 질산은 염색을 시행한 후 FFv Triplex유전자의 유전자형 및 대립유전자 빈도 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F13A01유전자는 5개의 대립유전자, 12개의 유전자형을 검출하였으며, 이형접합도는 60.7%로 나타났고 대립유전자 및 유전자빈도는 3.2, 4, 5, 6, 16 대립유전자에서 각각 0.34 3, 0.114, 0.062, 0.475, 0.005로 나타났으며, 대립유전자 7, 8, 9, 10, 11, 12, 13, 14, 15는 검출되지 않았다. (2) F13A01 대립유전자다양성 (allelic diversity value)은 0.641, 개인식별력(PD)은 0.814를 보였으며 대립유전자다양성 및 이형접합도가 다른 민족과 비교할 때 다소 낮았다. (3) FESFPS유전자는 8개 대립유전자 모두 나타났으며, 15개의 유전자형을 검출하였으며, 이형접합도는 66.7%로 나타났고 대립유전자 및 유전자빈도는 7, 8, 9, 10, 11, 11, 12, 13, 14 대립유전자에서 각각 0.002, 0.002, 0.005, 0.032, 0.507, 0.264, 0.197, 0.007로 나나났다. (4) FESFPS 대립유전자다양성(allelic diversity value)은 0.641, 개인식별력(PD)은 0.804를 보였다. (5) vWA유전자는 9개의 대립유전자, 23개의 유전자형을 검출하였으며, 이형접합도는 80.1%로 나타났고 대립유전자 및 유전자 빈도는 11, 12, 14, 15, 16, 17, 18, 19, 20 대립유전자 에서 각각 0.002, 0.002, 0.219, 0.032, 0.187, 0.279, 0.189, 0.072, 0.017로 나타났으며, 대립 유전자 13, 21는 검출되지 않았다. (6) vWA 대립유전자다양성(allelic diversity value)은 0.799, 개인식별력(PD)은 0.924로 매우 높게 나타냈다.

  • PDF

다문화가정 아동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공격성과 스트레스의 관계성 연구 (Relationships between Aggression and Stress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 김희정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3-21
    • /
    • 2017
  • 목적 : 본 연구는 결혼이민자들의 가정인 다문화가정의 아동들의 공격성과 스트레스를 통한 정신건강상태를 연구하고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개광역시, 4개 도에 거주하는 135명의 다문화가정 아동의 설문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공격성과 스트레스는 t 검증, 일원배치분산 분석으로 분석하였으며 요인을 위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첫째, 다문화가정 아동의 전체 공격성은 3.05점이었고 언어적 공격성이 3.69점으로 가장 높았다. 스트레스는 3.66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공격성은 연령에 따른 언어적 공격성(p=.031)과 분노표출(p=.043)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경제적 수준에 따른 전체공격성(p=.028)과 하위영역인 신체적 공격성(p=.049), 언어적 공격성(p=.000), 분노표출(p=.036), 적대감표출(p=.042), 스트레스(p=.011)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다문화 가정 아동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유의성이 있었고(F=57.139, p<.001), 경제적 수준에서 나쁨(p<.01), 스트레스(p<.01), 연령에서 10세(p<.01), 연령에서 13세(p<.01)에서 공격성 정도에 71.4%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다문화가정 아동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공격성은 연령과 경제적 수준, 스트레스가 공격성에 있어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체질량지수에 따른 Apolipoprotein A1 상관성연구 (Correlationship researches of Apolipoprotein A1 in body mass index)

  • 김진수;이동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345-5349
    • /
    • 2012
  • 최근 비만은 소아에서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증가 추세에 있다. 비만은 여러 대사 질환에 영향을 주며 특히 심혈관계, 뇌혈관계 등 혈관성 질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 연구는 혈관성 질환에 관여하는 apolipoprotein AI의 농도가 체질량지수와의 어떤 상관성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 보고자 실시하였다. 또한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유리지방산과도 분석하여 보았다. 분석방법으로 SPSS 19.0을 이용하였으며 t-test와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apolipoprotein AI의 농도는 체질량지수와는 상관성이 있었지만 -0.484 (p=0.01)으로 약한 역 상관성을 보였고, 고밀도 콜레스테롤은 0.89 (p=0.01)으로 강한 상관성, 중성지방은 -0.88 (p=0.01)으로 강한 역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유리지방산은 상관성이 없는 걸로 분석되어 졌다. 결론적으로 Apolipoprotein AI 검사는 체질량지수와의 상관성은 그리 높지 않았으며 비만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성지방이나 콜레스테롤등을 같이 검사하여 동맥경화를 예방 할 수 있는 조절인자로 관리되어 져야 한다.

간호대학생의 융·복합 사회봉사활동과 직업가치관, 자아존중감, 사회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onvergence Social Voluntary Service Activity and Sense of Profession Values, Self-Esteem, Sociality in Nursing Students)

  • 윤미선;임소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562-570
    • /
    • 2018
  • 본 연구는 사회봉사활동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직업가치관, 자아존중감, 사회성 정도와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며, 대상자는 간호대학생 535명이다.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업가치관은 종교(F=4.79, p=.003)와 전공(F=3.75, p=.011), 자아존중감은 학년(F=4.84, p=.002)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사회성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회봉사활동 특성에 따른 직업가치관은 봉사 시간(F=18.70, p<.001), 봉사 기간(F=18.87, p<.001), 봉사 기관(F=3.41, p=.001), 봉사 동기(F=8.08, p<.001), 참여 경로(F=3.63, p=.002), 참여분야(F=2.13, p=.03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상관관계 결과 직업가치관은 자아존중감(r=.247, p<.01)과 사회성(r=.248, p<.01)에서, 자아존중감은 사회성(r=.327, p<.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