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ylase inhibition

검색결과 161건 처리시간 0.027초

Thiocarbamate계(系) 잡초제(雜草劑)의 살초력(殺草力)과 세포분열(細胞分裂) 및 신장(伸長)에 미치는 영향(影響) (Herbicidal Activity of Thiocarbamate Herbicides and Its Effect on Cell Division and Elongation)

  • 전재철;이철규;마상용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6-53
    • /
    • 1995
  • Thiocarbamate계(系) 제초제(除草劑) 4종(種)(molinate, dimepiperate, esprocarb 및 thiobencarb)의 살초력(殺草力)과 세포분열(細胞分裂) 및 신장(伸長)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검토하였다. 실험(實驗) 제초제(除草劑) 4종(種) 모두 $10^{-6}-10^{-4}M$ 처리수준(處理水準)에서 벼와 피의 발아(發芽) 및 발아후(發芽後) 뿌리 생장(生長)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발아후(發芽後) 지상부(地上部) 생육(生育)에만 영향을 미쳤다. 또한 gibberellin-유기(誘起) ${\alpha}$-amylase 생합성(生合成)에 대해서는 실험(實驗) 제초제(除草劑) 모두 $10^{-5}M$ 처리수준(處理水準)에서는 영향이 없었지만, $10^{-4}M$에서는 무처리(無處理) 대비(對比) 약 50-60%의 저해를 나타내었다. 피 파종 후 7 일에 처리된 thiocarbamate계(系) 제초제(除草劑)의 초장(草長) 생육 50% 억제에 요구되는 약량(藥量)은 molinate 146g, dimepiperate 91g, esprocarb 96g 및 thiobencarb 102g ai/10a이었다. 4종(種)의 thiocarbamate계(系) 제초제(除草劑)는 $10^{-4}M$ 처리(處理) 농도(濃度)에서 세포분열(細胞分裂)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10^{-3}M$ 농도(濃度)에서 약 31-47%의 저해(沮害)를 보였다. 세포신장(細胞伸長)에는 $10^{-5}M$ 처리수준(處理水準)에서 약 33-38%의 억제를 보였다. 실험(實驗) thiocarbamate계(系) 제초제(除草劑) 모두 IAA-유기(誘起) 엽초 신장을 저해하였다.

  • PDF

혈당강하 기능 오미자 소스의 이화학적 품질 및 생리활성 (Physicochemical Quality and Hypoglycemic Effect of Omija Sauce)

  • 박은주;안재준;강선애;김효영;권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7호
    • /
    • pp.1079-108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오미자 농축액 첨가량(0~5%)에 따른 소스의 품질특성과 혈당강하능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오미자 농축액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분함량, 총 페놀함량 및 환원당은 증가하였고 pH는 감소하였다. 소스의 이화학 시험 결과 당도, 환원당, 총 페놀함량, ${\alpha}$-amylase 저해율 및 ${\alpha}$-glucosidase 저해율 등은 오미자 농축액의 첨가량에 따라 증가하였다. 소스의 색도는 오미자 농축액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명도는 감소하였고, 적색도, 황색도 및 ${\Delta}E$ 값은 증가하였다. 관능적 특성은 소스만 섭취 하였을 때 4% 첨가한 오미자 소스에서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고, 닭 가슴살과 함께 섭취하였을 때 5% 첨가한 오미자 소스의 기호도가 가장 높았다.

Carbohydrase inhibition and anti-cancerous and free radical scavenging properties along with DNA and protein protection ability of methanolic root extracts of Rumex crispus

  • Shiwani, Supriya;Singh, Naresh Kumar;Wang, Myeong Hyeo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6권5호
    • /
    • pp.389-395
    • /
    • 2012
  • The study elucidated carbohydrase inhibition, anti-cancerous, free radical scavenging properties and also investigated the DNA and protein protection abilities of methanolic root extract of Rumex crispus (RERC). For this purpose, pulverized roots of Rumex crispus was extracted in methanol (80% and absolute conc.) for 3 hrs for $60^{\circ}C$ and filtered and evaporated with vacuum rotary evaporator. RERC showed high phenolic content ($211{\mu}g$/GAE equivalent) and strong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IC_{50}$ = 42.86 (absolute methanol) and $36.91{\mu}g/mL$ (80% methanolic extract)) and reduced power ability. Furthermore, RERC exhibited significant protective ability in $H_2O_2/Fe^{3+}$/ascorbic acid-induced protein or DNA damage and percentage inhibition of the HT-29 cell growth rate following 80% methanolic RERC exposure at $400{\mu}g/mL$ was observed to be highest ($10.2%{\pm}1.03$). Moreover, methanolic RERC inhibited ${\alpha}$-glucosidase and amylase effectively and significantly (P < 0.05). Conclusively, RERC could be considered as potent carbohydrase inhibitor, anti-cancerous and anti-oxidant.

Lactobacillus plantarum MKHA15와 Leuconostoc mesenteroides MKSR을 첨가한 발효 채소 주스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Vegetable Juice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MKHA15 and Leuconostoc mesenteroids MKSR)

  • 장현아;김미숙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5권4호
    • /
    • pp.281-294
    • /
    • 201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fermented vegetable juices that possess antidiabetic and antioxidant activities. Lactobacillus plantarum MKHA15 (MKHA15)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MKSR (MKSR) were applied to ferment onion, cabbage, and tomato juices at $37^{\circ}C$ and $30^{\circ}C$ for 72 h, respectively, and their functionality was tested using the 12 h hour-fermented juice by MKHA15, and 48 h hour-fermented juice by MKSR. Inhibition of ${\alpha}$-glucosidase activity was observed in all fermented juices. The onion juice fermented by MKHA15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lpha}$-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y compared to other juices. All juices showed more than 70% inhibition of ${\alpha}$-amylase activity.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onion juice fermented by MKSR showed significantly lower activity than cabbage and tomato juices; however, no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types of starter cultures. The SOD-like activity of cabbage juice fermented by MKSR was the highest among the fermented juices. The juices fermented by MKHA15 showed higher reducing power than those by MKSR. Therefore, we believe that cabbage, onion and tomato juice fermented by MKHA15 and MKSR would be useful in probiotic juices, as they possess antidiabetic and antioxidant activities.

식물성 식품중 페놀성 물질의 몇가지 생리활성 (Some Physiological Activity of Phenolic Substances in Plant Foods)

  • 이정희;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17-323
    • /
    • 1994
  • 페놀성 물질의 함량이 높게 분석된 9개 시료(감잎, 들깨씨, 모과, 생강, 호두, 쑥, 칡뿌리 메밀, 수수)를 선택하여 소화효소에 대한 활성저해, 식품오염세균에 대한 항균성, 그리고 Ames 법에 의한 돌연변이원성 및 항돌연변이원성을 살펴보았다. 소화효소 활성저해를 실험한 7개시료중 모과만이 $\alpha-amylase$에 대해 97%의 활성저해를 보였고, 무경쟁저해를 나타냈다. Pretease에 대하여 모과, 감잎, 쑥은 각각 86%, 51%, 20%의 저해효과를 보였고, 이때 쑥시료는 비경쟁저해를 나타냈다. Lipase는 모든 식품에 의해 50%이상 활성화되었다. $\alpha-amylase$의 활성저해는 축합형 탄닌함량과 높은 상관관계(r=0.89)를, protease는 총페놀함량과 높은 상관관계(r=0.84)를 보였다. 표준물질인 tannie acid, gallic acid, caffeic acid, catechin과 7개 식품시료의 총페놀 분획을 얻어 항균성 효과를 실험한 결과 tannic acid는 3균주에 대해 비교적 높은 항균력을 보였고, 들깨, 수수, 칡뿌리는 E. coli에 대해 높은 항균력을 보인 반면 Salmonella enteritidis와 Streptococcus faecalis에 대해서는 시료들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표준물질 및 9개 식품의 총페놀 분획은 모두 Salmonilla typhimurium TA98과 TA100에 대해 돌연변이원성을 보이지 않았다. 한편 benzo[a]pyrene을 이용한 항돌연변이원성 실험결과 tannic acid는 TA98의 경우 $40{\sim}80%$, TA100의 경우 $70{\sim}95%$의 강한 항돌연변이원성을 나타냈다. TA100에 대해 모과는 30%의, 호두는 44%의 항돌연변이원성을 보였으나 기타 식품에서는 항돌연변이원성을 관찰할 수 없었다.용액에 침지하여 $-35^{\circ}C$에서 저장한 시료가 저장 85일경과 후에도 품질면에서 가장 우수하였다.찹쌀 또는 멥쌀만 사용한 경우보다 두 원료를 혼합했을 경우에 그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열속도는 급속히 증가하였다.하였다. 6. 수분(水分) potential 엽수분함량(葉水分含量)이 동일(同一)한 조건(條件)에서 콩보다 인삼(人蔘)이 낮았으며, 수분(水分) potential과 광합성(光合成) 및 기공식도도(氣孔傳導度)와는 고도(高度)의 정(正)의 상관(相關)이있었다. 7.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를 종합(綜合)해 볼 때, 인삼(人蔘)의 광합성(光合成)이 타식물(他植物)보다 낮은 것은 기공식도도(氣孔傳導度)와 수분(水分) potential이 낮은 것과도 밀접(密接)한 관계(關係)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g\;/\;\ell$ 처리(處理)의 대부분(大部分)이 주당(株當) 본수(本數)가 거의 1개체(個體) 정도(程度)이도 발육상태(發育狀態)도 불량(不良)하였으나 NAA $4mg\;/\;\ell\;Kinetin\;2mg\;/\;\ell$ 그리고 활성탄(活性炭) $1g\;/\;\ell$ 첨가처리(添加處理)에서 만이 주당(株當) 본수(本數)가 2.3개이고 개체당(個體當) 발근수(發根數)가 월등(越等)히 많았다. 5. 실험결과(實驗結果) 마 경절편(莖節片) 배양(培養)의 Shoot유가(誘起)에 가장 효과적(效果的)인 배지(培地)는 1/8MS+1AA $2mg\;/\;\ell+Kinetin\;2mg\;/\;\ell$+활성탄(活性炭) $1g\;/\;\ell$ 이였으며, White+NAA $4mg\;/\;\ell+Kinetin\;2mg\;/\;\ell$+활성탄(活性炭)$1g\;/\;\ell$ 로 처리(處理)하는 것이 바람직한 결과(結果)를 얻었다.후

  • PDF

Investigation of Antioxidant, Hypoglycemic and Anti-Obesity Effects of Euphorbia Resinifera L.

  • Benrahou, Kaoutar;El Guourrami, Otman;Mrabti, Hanae Naceiri;Cherrah, Yahia;My El Abbes, Faouzi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42-249
    • /
    • 2022
  • Objectives: The aim of this work is to evaluate the in vitro antioxidant, hypoglycemic, and antiobesity effects of Euphorbia resinifera extracts and investigate the phenolic constituents and the toxicity of these extracts. Methods: Phytochemical screening was performed to detect polyphenols and flavonoids. Antioxidant activity was evaluated by four methods (DPPH, ABTS, H2O2, and xanthine oxidase inhibition). The hypoglycemic effect was determined by the inhibition of α-amylase and α-glucosidase enzymes in vitro and via a starch tolerance study in normal rats. The antiobesity effect was estimated by in vitro inhibition of lipase. Results: Phytochemical screening revealed that the ethanolic extract was rich in polyphenols (99 ± 0.56 mg GEA/g extract) and tannins (55.22 ± 0.17 mg RE/g extract). Moreover, this extract showe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in different tests: the DPPH assay (IC50 = 53.81 ± 1.83 ㎍/mL), ABTS assay (111.4 ± 2.64 mg TE/g extract), H2O2 (IC50 = 98.15 ± 0.68 ㎍/mL), and xanthine oxidase (IC50 = 10.26 ± 0.6 ㎍/mL). With respect to hypoglycemic effect, the aqueous and ethanolic extracts showed IC50 values of 119.7 ± 2.15 ㎍/mL and 102 ± 3.63 ㎍/mL for α-amylase and 121.4 ± 1.88 and 56.6 ± 1.12 ㎍/mL for α-glucosidase, respectively, and the extracts lowered blood glucose levels in normal starch-loaded rats. Additionally, lipase inhibition was observed with aqueous (IC50 = 25.3 ± 1.53 ㎍/mL) and ethanolic (IC50 = 13.7 ± 3.03 ㎍/mL) extracts. Conclusion: These findings show the antioxidant, hypoglycemic, and hyperlipidemic effects of E. resinifera extracts, which should be investigated further to validate their medicinal uses and their pharmaceutical applications.

김치에서 분리한 젖산균 bacteriocin에 의한 Listeria monocytogenes의 억제 (Inhibi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by Bacteriocin(s) from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 김정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4호
    • /
    • pp.302-307
    • /
    • 1995
  • 김치로부터 Listeria spp.를 억제하는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젖산균 4균주를 선발하여 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2균주), Leuconostoc paramesenteroides 및 Pediococcus pentosaceus로 동정하였다. 실험한 모든 Listeria monocytogenes 균주들은 모든 분리 균주의 박테리오신에 의해 억제되었으나, L. denigrificans 28과 L. welchimeri 89는 Leu. paramesenteroides 분리균주에 의해 억제되지 않았다. 분리균주들 중에서 P. pentosaceus의 박테리오신이 가장 항균활성이 높았고, 항균범위도 넓었다. Leuconostoc 분리균주들의 박테리오신의 항균활성은 pronase E에 의해 완전히 불활성화 되었으나 P. pentosaceus의 것은 완전히 불활성화되지 않았다. 분리균주들의 박테리오신은 catalase, ${\alpha}$-amylase, lysozyme 및 $100^{\circ}C$ 30분의 열처리에 대해서 안정하였다.

  • PDF

Low Cariogenicity of Maltosyl-erythritol, Major Transglycosylation Product of Erythritol, by Bacillus stearothermophilus Maltogenic Amylase

  • Jeon, Eun-Joo;Jung, Il-Hun;Cho, Kil-Soon;Seo, Eun-Sung;Kim, Do-Man;Lee, Sung-Joon;Park, Kwan-Hwa;Moon, Tae-Wh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3권5호
    • /
    • pp.815-818
    • /
    • 2003
  • Maltosyl(G2)-erythritol, produced by the transglycosylation reaction of erythritol with maltotriose by Bacillus stearothermophilus maltogenic amylase, was not utilized either as a substrate for lactic acid production or for water-insoluble glucan synthesis. An inhibition assay of dextransucrase and mutansucrase showed that the dental caries suppression effect of G2-erythritol was greater than that of erythritol.

Cyclic-AMP와 탄닌이 지베레린으로 유도되는 Amylase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 I. Acid Phosphatase (Effects of Cyclic-AMP and Tannin on the Amylase Biosynthesis Induced by Gibberellin in Aleurone Layer I. Acid Phosphatase)

  • 권영명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1권1_4호
    • /
    • pp.13-21
    • /
    • 1978
  • The effect of cyclic-AMP on the induction of acid phosphatase activity in barley aleurone layers was examined. Tannic acid was used as a inhibitor. Decursinol and coumarin were also used as a comparison. Maxiumu promotion of the enzyme activity was obtained with 10-5M cyclic-AMP, but this promotion was lower than that of 10-5M GAS induced enzyme activity in incubation medium. The inhibition rate in the addition of tannic acid was shown 17% and 63% at a ratio to GAs (by weight) of 10 : 1, and 58% and 94% at a ratio of 100 : 1 treated with GAs, and cyclic-AMP, respectively. The most potentiation of 10-6M GAS effect was induced by the additiion of suboptimal concentration (10-6M) of cyclic-AMP. Additional GAs and cyclic-AMP were shown the recovery of the enzyme activity inhibited by tannic acid. The combination with cyclic-AMP and theophylline enhanced the enzyme activity, too. Any other nucleotides tested except cyclic-AMP didn't show the act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cid phosphatase isozyme patterns by polyacrylamide disc electrophoresis, in conjunction with the different additions but the size of bands showed great differences. Especially, the 3rd band and the 5th band group were remarkable.

  • PDF

사방오리나무 추출물의 α-amylase 및 α-glucosidase 저해활성 (Inhibitory Effects of Four Solvent Fractions of Alnus firma on α-Amylase and α-Glucosidase.)

  • 최혜정;정영기;강대욱;주우홍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7호
    • /
    • pp.1005-1010
    • /
    • 2008
  • 최근 당뇨병 환자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나, 지속적이고 적절한 치료가 어려워 당뇨병성 합병증의 발생을 증가시키고 있다. 당뇨병 발병 이후의 치료는 완치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증상을 개선시키고 급만성 합병증을 막는 이차적 예방에 중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항당뇨 활성을 가지면서 식용 가능한 천연자원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약용식물로 알려진 사방오리나무에 대해 아직까지 보고가 없었던 항당뇨 활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Pancreatin와 salivary ${\alpha}-amylase$ 에 대해 MeOH 추출물과 HX 분획물이 ${\alpha}-amylase$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며, yeast ${\alpha}-glucosidase$에 대한 억제 활성은 MeOH 추출물과 EA 분획물 그리고 BuOH 분획물의 $IC_{50}$이 각각 $137.36\;{\mu}g/ml$$171.52\;{\mu}g/ml$ 그리고 $115.14\;{\mu}g/ml$로 나타남으로써, 현재 혈당강하제로 사용되고 있는 acarbose와 1-deoxynorjirimycin보다 높은 억제 효과를 보였다. 또한 폴리올 대상 이상에 의한 당뇨병성 합병증 유발과 관련하여 Aldose reductase 억제활성을 조사한 결과, $50\;{\mu}g/ml$ 농도에서 EA 분획물과 MeOH 추출물이 각각 84.13%와 58.73%로 녹은 저해활성이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에 자생하는 사방오리나무 추출물로부터 부작용이 적고 혈당강하효과가 뛰어난 새로운 항당뇨 신물질을 탐색하여 산업화 하고자하며 이를 통하여 바이오 소재산업의 활성화와 바이오 식품 나아가 바이오 의약품 개발 등 다양한 측면에서 부가가치를 창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