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희박 연소

Search Result 257,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The sample of refinement for lean burn system in large class engines (대 배기량기관의 희박연소를 위한 기술적 대책의 예)

  • 조진호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17 no.2
    • /
    • pp.7-13
    • /
    • 1995
  • 기관의 저연비화는 비단 경제적인 면뿐 아니라 환경 등 사회적인 면에서 보았을때에도 차량이 갖추어야 할 필수적인 요건이라 할 수 있다. 지금의 추세로는 차량에 희박연소기관을 탑재하는 것은 앞으로 더욱 증가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 저연비에 효과적으로 대응될 수 있는 희박연소는 일반적인 3원촉매를 사용할 경우 지금까지는 배기량 2l를 넘는 대배기량기관에서는 실용화가 어려운 것으로 되어 있어서 희박연소기관 대부분은 1.8l급까지로 되어 있다. 그런데 최근 일본의 미쓰미시사는 별개의 희박연소용 촉매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2.5l급의 희박연소화한 대배기량기관을 차량에 탑재하는데 성공한 것으로 발표하고 있다. 더구나 지금까지 대부분의 희박연소기관에 채용되고 있는 전역 공연비센서가 아닌 보통의 $O_{2}$센서이고 이와 같이 큰 배기량기관의 희박연소화를 실현한 것을 세계에서 최초의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 PDF

Lean burn engine (희박연소방식)

  • 정경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11 no.3
    • /
    • pp.3-7
    • /
    • 1989
  • 여기서는 희박연소방식이 가지는 문제점과 그 극복을 위한 노력 및 그간 발표된 몇종류의 실용엔진을 소개한다.

  • PDF

Introduction to Flame Transfer Function in Lean Premixed Gas Turbine Combustor (희박 예혼합 가스터빈 연소기에서의 화염 전달 함수 소개)

  • Kim, Dae-Sik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5 no.9
    • /
    • pp.975-979
    • /
    • 2011
  • Lean premixed gas turbine combustors were successful in meeting current NOx emission regulations. However, these combustors have been found to be susceptible to combustion instability. In this study, general mechanisms for combustion dynamics and instabilities in lean premixed gas turbine combustors are introduced. In addition, the flame transfer functions in the combustor are experimentally determined. The inputs to the flame transfer function are the imposed velocity fluctuations of the mixture. The key results of the measurements are reviewed.

Diagnosis of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Spark Ignition Engine with Compressed Natural Gas(CNG) Injection Type (압축천연가스(CNG) 분사식 스파크점화엔진의 연소특성 진단)

  • Ha, D.H.;Jin, J.M.;Hwang, S.I.;Yeom, J.K.;Chung, S.S.
    • Journal of Power System Engineering
    • /
    • v.16 no.5
    • /
    • pp.5-12
    • /
    • 2012
  • 희박예혼합기의 급속연소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2-실린더 가솔린 엔진을 부실 타입의 압축천연가스(CNG) 분사 엔진으로 개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부실의 최적설계에 관심을 두고 두 종류의 부실을 적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고, 부실의 체적과 홀 개수는 1.5cc와 6개로 각각 동일하게 하고, 홀 직경을 0.8mm 및 1.1mm로 달리하였다. CNG연료는 포트연료분사(Port fuel injection; PFI)와 부실분사(Sub-chamber injection; SCI)에 의해 엔진에 독립적으로 공급되고, 그 실험결과로 구한 연소압력, 평균유효압력(IMEP), 질량연소분율과 사이클변동계수(COV) 등을 서로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대표적 실험연구결과로서 PFI 타입의 엔진연소특성은 희박예혼합기의 경우를 제외하고 모든 조건에 있어서 기존의 가솔린 엔진과 비슷하였고, SCI 타입의 엔진연소특성으로 평균유효압력은 부실 내에 불완전 예혼합기형성으로 PFI 타입보다 낮았으며, COV는 SCI 타입이 희박가연한계가 확대됨으로 인하여, 특히 높은 공기과잉률 범위에서 PFI 타입과 비교해 보다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Emission Reduction Characteristics of Three-way Catalyst with Engine Operating Condition Change in an Ultra-lean Gasoline Direct Injection Engine (초희박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삼원촉매의 운전조건에 따른 배기저감 특성)

  • Park, Cheol Woong;Lee, Sun Youp;Yi, Ui Hyung;Lee, Jang Hee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9 no.9
    • /
    • pp.727-734
    • /
    • 2015
  • Recently, because of the increased oil prices globally, there have been studies investigating the improvement of fuel-conversion efficiency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s. The improvements realized in thermal efficiency using lean combustion are essential because they enable us to realize higher thermal efficiency in gasoline engines because lean combustion leads to an increase in the heat-capacity ratio and a reduction of the combustion temperature. Gasoline direct injection (GDI) engines enable lean combustion by injecting fuel directly into the cylinder and controlling the combustion parameters precisely. However, the extension of the flammability limit and the stabilization of lean combustion are required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GDI engines. The reduction characteristics of three-way catalysts (TWC) for lean combustion engines are somewhat limited owing to the high excess air ratio and low exhaust gas temperature. Therefore, in the present study, we assess the reaction of exhaust gases and their production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efficient TWCs for lean-burn GDI engines at 2000 rpm / BMEP 2 bar operating conditions, which are frequently used when evaluating the fuel consumption in passenger vehicles. At the lean-combustion operating point, $NO_2$ was produced during combustion and the ratio of $NO_2$ increased, while that of $N_2O$ decreased as the excess air ratio increased.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NOX Reduction using a Hybrid Fuel Lean Reburning System (NOx 저감을 위한 하이브리드 연료희박 재연소 연구)

  • Kim, Hak-Young;Baek, Seung-Wook;Hwang, Chang-Hwa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4 no.3
    • /
    • pp.283-290
    • /
    • 2010
  •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se of a hybrid -fuel lean reburning system with air staging for $NO_X$ reduction. The experimental variables include the reburn fuel fraction, sizes of reburn- fuel-injection nozzles, oxygen enrichment ratio, and location of reburn- fuel- injection. The effect of the flow field induced by air- staging combustion on $NO_X$ reduction is considered, and then, the $NO_X$ reduction rate is compared with only fuel lean reburning system. On the basis of the effectiveness of each De-$NO_X$ process, the advantage of using the hybrid reburning system with air staging is determined and discussed.

Analysis of the Initial Combustion Period for the Ultra Lean Burn Engine (초희박연소기관을 위한 초기연소구간의 해석)

  • Han, S.B.;Lee, N.H.;Lee, S.Y.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3 no.1
    • /
    • pp.45-53
    • /
    • 1995
  • 스파크 점화기관에서 화염전파과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는, 초기화염핵 구간에서의 화염의 형성과 발달의 거동을 정확히 파악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화염핵의 형성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최소 화염핵 크기의 이론적인 계산을 수행하였다. 이론식을 정립하기 위하여 열점화 이론을 이용하였다. 최소 화염핵 크기를 계산하기 위해 열전도 계수, 화염온도, 층류연소속도, 기타 열역학적 상태량 등을 계산하였다. 계산에 의존한 화염핵 크기의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점화에너지를 변화시킬 수 있는 점화장치를 사용하여 실기 운전을 통하여 희박연소 한계가 그 때의 화염핵이 성정할 수 있는 영역이라고 가정하여 그 정확도를 확인 하였다.

  • PDF

A Study on Expansion of Lean Limit for Heavy-Duty DI Engine with Compressed Natural Gas (대형 직접분사식 CNG기관의 희박한계 확장에 관한 연구)

  • Quoc, Tran Dang;Lee, Kwang-Ju;Lee, Jong-Tai
    • Transactio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 /
    • v.22 no.5
    • /
    • pp.735-74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직접분사식 CNG기관의 희박한계를 보다 확장하여 고효율 및 저배기 공해를 실현시키고자 실린더 내에 고압의 천연가스를 직접분사함과 동시에 흡입과정 중 흡기관 내에 소량의 저압천연가스를 보조분사하는 경우의 희박한계 확장 및 제반특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흡기보조분사가 없을 경우 희박한계가 ${\lambda}$ = 1.4 까지였으나, 흡기보조분사율이 5~15% 정도에서는 희박한계가 ${\lambda}$ = 1.5 까지 확장되었다. 이는 흡기보조분사에 따른 혼합기의 혼합율 향상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연소기간은 줄어들었지만, 흡기보조분사의 효과는 주연소기간에서 조기연소기간보다 강하게 나타났다.

Experimental Study on High Temperature Oxidation of Ultra-lean Mixture and Heat Recovery (초 희박혼합기의 고온산화와 폐열회수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이강주;정영식;이창언;김문철;임장순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9 no.4
    • /
    • pp.319-327
    • /
    • 2000
  • 산업분야의 여러공정에서 배출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1차적인 작업자에 대한 유해성뿐만이 아니라 대기중에 배출시의 제 2차 오염물질의 생성 때문에 최근 들어 이러한 물질의 처리에 큰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휘발성 유기화합물로서 프로판을 사용하여 이러한 초 희박 혼합기의 제거를 위해 재생열산화법이 제안되었다. 실험장치에는 중앙에 연소실과 전기적 열량공급장치를 장착하였다. 초 희박 혼합기의 연소실에서의 산화과정과 열사화 장치의 폐열회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혼합기의 농도, 유속 및 연소실 최대온도와 같은 다양한 작동조건을 고려하였다. 그 결과. 재생열산화장치가 초 희박 혼합기의 산화에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았으며 최대 96%의 제거효율 얻을 수 있었다. 산화과정중에 발생하여 배출되는 CO는 운전조건을 변화시킴으로써 그 농도를 낮출 수 있었으며 열적 NOx는 배출되지 않았다. 페열회수효율은 전 운전영역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그 값이 최대 98%에 이르렀다.

  • PDF

Study of Combustion Characteristics with Variations of Combustion Parameter in Ultra-Lean LPG Direct Injection Engine (연소제어인자의 변화에 따른 직접분사식 초희박 LPG엔진의 연소특성 연구)

  • Park, Yun Seo;Park, Cheol Woong;Oh, Seung Mook;Kim, Tae Young;Choi, Young;Lee, Yong Gyu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7 no.6
    • /
    • pp.607-614
    • /
    • 2013
  • Nowadays, automotive manufacturers have developed various technologies to improve fuel economy and reduce harmful emissions. The ultra-lean direct injection engine is a promising technology because it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rmal efficiency through the deliberate control of fuel and ignition.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a spray-guided-type lean-burn LPG direct injection engine through the redesign of the combustion system. This engine uses a central-injection-type cylinder head in which the injector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spark plug. Fuel consumption and combustion stability were estimated depending on the ignition timing and injection timing at various air-fuel ratios. The optimal injection timing and ignition timing were based on the best fuel consumption and combustion st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