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희망교육

검색결과 470건 처리시간 0.026초

초.중.고 학생들의 과학 관련 진로 선택 요인 (Factors of Students' Career Choice Related to Science)

  • 윤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906-921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고 학생들의 과학 관련 진로 희망을 조사하여 학년별, 성별 및 과학 관련 분야별로 그 비율을 파악한 다음, 요인분석으로 과학 관련 진로 선택과 관련된 주요 요인들을 규명하여 이들 요인들에 대한 응답의 집단별 차이를 비교하고 요인들간의 상대적 중요성을 파악하여 과학 관련 진로 선택 요인의 학년별 변화 과정과 성별 차이를 보고자 하는 것이다. 요인 분석을 통하여 과학 관련 진로 선택과 관련된 주요 요인으로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인식, 과학 관련 활동에의 참여, 과학 학습에 대한 선호 등 세 요인을 선정하였는데 이들은 각각 3, 4개의 하위요인들을 가졌다. 이들 세 요인들에 대한 학생들의 응답을 일원 변량 분석으로 진로 희망의 과학 관련 유무와 학년 및 성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고, 이들 요인들 사이의 상대적 중요성을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지역의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2학년 학생 등 전체 947명인데, 학년별, 남녀별, 비율이 거의 같도록 구성되었다. 문헌연구 및 예비검사를 통하여 개발한 지필형 설문지를 사용하였는데, 이 설문지는 학생들의 과학 관련 진로 희망과 배경 자료 수집을 위한 부분과, 학생들의 과학 관련 진로 선택의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두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대상 전체 학생 중 과학 관련 진로를 희망하는 학생의 비율은 26%로 높지 않았으며, 학년별 비율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남학생의 과학 관련 진로 희망 비율이 여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p < 0.001). 과학 관련 진로 희망을 가진 학생 239명의 구체적인 과학 관련 희망 분야를 조사한 결과, 정보전산 과학자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의사, 순수과학자, 그리고 공학자임을 볼 수가 있었으며, 학년이 높아질수록 순수과학자를 희망하는 비율은 줄어들었다. 과학 관련 진로 선택의 세 가지 주요 요인을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인식, 과학 학습에 대한 선호, 과학 관련 활동 참여 등으로 선정하였을 때, 이들 요인들에 대한 학생들의 응답 및 요인들의 상대적 중요성은 학년별, 성별로 차이가 있었다. 많은 학생들이 과학 관련 진로 희망을 갖게 하려면, 과학학습에 대한 선호도를 높이고, 다양한 과학 관련 활동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과학 관련 직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갖도록 하는 것보다 더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받을 수 있다. 학년별로 성별로 과학 관련 진로 선택 요인에서 차이가 나는 점들을 파악한 결과를 이용하여 학생들의 과학 관련 진로 선택을 도울 수 있는 과학 관련 진로 교육의 자료를 구성할 것이 요청된다. 더 나아가 과학 관련 진로 선택에서 나타난 남녀 학생들 간의 차이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초중고 각 단계별로 바람직한 과학 관련 진로교육의 자료를 구성하고 실제로 학생들에게 투입한 후 그 효과를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신규 채용에 관한 우량 기업과 대학생의 인식 차이 및 교육요구도 분석 (Analysis of perceptions and educational needs on the recruitment : excellent organization vs. university students)

  • 오상영;김동환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집 2부
    • /
    • pp.716-719
    • /
    • 2011
  • 대학생의 취업이 매우 어려운 시점에서 기업의 구인 요구 조건을 분석해보고 대학생이 희망하는 구직 조건을 분석하여 상호 균형적인 조건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 연구를 통해 알아보았다. 일반적으로 구인구직 과정에서 결정적 변수로 가장 중요하게 대두되는 연봉의 차이가 커 향후 대학생들의 연봉 희망 조건의 변화가 요구된다. 그렇지만 기업이 요구하는 인재 요건에서는 대학생들이 중요하게 판단하는 기준과 일부 일치하였다.

  • PDF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역할에 대한 학생들의 기대 (Students' Expectation for Specialized Subjects Teacher's Role of Technical High School)

  • 이명훈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2-43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역할에 대한 학생들의 기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공업계 고등학생이며, 472명의 공업계 고등학생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우편조사를 통하여 2015년 6월 1일부터 6월 23일까지 이루어졌으며, 회수된 433부의 설문지 중 불성실 응답을 제외하고 428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공업계 고등학생들은 전공 이론교과 수업방식으로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한 수업방식을 가장 원했으며, 선호하는 실습 수업방식은 학과 계열에 따라 달랐다. 그리고 실습 수업시 안전지도 방법으로는 선생님께서 수시로 지도해 주는 방법을 가장 원했다. 둘째, 공업계 고등학생들은 교사의 생활지도시에 인성지도에 가장 관심을 가져주길 희망하였으며, 잘못한 행동에 대한 지도방법으로 차별하지 않고 대해 주길 희망하였다. 그리고 상담 주제로서 진로를 가장 원했으며, 상담시 교사가 안내자의 역할을 해주길 기대하였다. 셋째, 공업계 고등학생들은 교사의 학급경영시 화목한 학급 분위기 조성을 위해 노력해 주길 가장 희망하였으며, 교사가 학급과 학생들에게 애정을 갖고 운영해주길 희망하였다. 그리고 학생들과 친해지는 방법으로 학생들과 편하게 자주 농담을 하는 방법을 가장 희망하였다. 넷째, 공업계 고등학생들이 가장 희망하는 진로지도 내용으로는 취업과 진학 모두이었으며, 취업을 위한 상담시 학생들의 적성을 가장 고려해 주길 희망하였으며, 취업지도시 직업에 관한 정보를 가장 얻고 싶어 했다.

저소득층의 평생교육 참여 실태와 요구 분석 (Analysis of Status and Demand of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of Low-Income Class)

  • 김현성;김진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2호
    • /
    • pp.89-96
    • /
    • 2018
  • 본 연구는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에 따라 저소득층으로 분류된 지역민 218명을 대상으로 평생교육 참여 실태와 요구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의 참여 실태 중, 저소득층의 학습역량을 살펴보면, 외국어 사용 능력 95.3%, ICT 활용 역량 66.1%, 컴퓨터 활용 능력 75.7%로 사용 및 활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저소득층의 평생교육 참여율은 75.7%로 나타났으며 이를 수동적인 교육 참여로 보고 자발적 참여를 구별하여 분석한 결과, 실질적인 평생교육 참여율은 22.9%로 매우 저조하게 나타났다. 평생교육 참여여부에 따른 사회참여 및 인식은 참여경험이 있는 응답자가 참여경험이 없는 응답자보다 전반적으로 43.3%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자발적인 참여자가 참여경험이 없는 응답자보다 73.3%나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저소득층의 평생교육에 대한 요구를 분석한 결과, 희망 교육프로그램이 있는지에 대해 응답자 중 74.8%가 없다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시간이 없어서 참여하지 못하는 경우가 50.0%로 가장 많았으며, 참여를 희망하는 프로그램에는 가정생활, 건강 및 의료강좌, 전문 자격 취득과정 등 실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희망하였다. 이는 소득 수준이 평생교육 참여에 크게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본 연구 결과를 분석한바, 현재 한국의 평생교육이 강조되고 그에 따른 참여율도 급증하고 있지만, 저소득층의 평생교육 참여는 저조하게 나타나고 있다.

전기공학 교육에 대한 소고

  • 이승원
    • 전기의세계
    • /
    • 제34권4호
    • /
    • pp.195-199
    • /
    • 1985
  • 전기공학은 급진적 발전으로 말미암아 그 깊이가 더욱 심오해지고 범위가 확대되어 한 개의 전공분야로 머물러있기가 어렵게 되었다. 그래서 이를 여러개의 전공분야로 나누고 있는데 이의 구분은 각자의 소견에 따라 상이할 뿐 아니라 그 내용에도 차이가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 필자는 이런 문제의 취급에 있어 참고가 되기를 희망하면서, 전기공학의 종가격인 에너지 변환공학을 주축으로 하는 전력 공학분야를 전기공학 교육이라는 주제로 다루어 보았다.

  • PDF

어린이 독서교육과 독서게시판에 관한 연구 (A Case Study on the Children's Reading Education and Reading Bulletin Board)

  • 강희영;장우권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06년도 제13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59-267
    • /
    • 2006
  • 독서는 어린이에게 정신적 자양분을 제공하여 그들의 꿈과 희망을 일깨우고 삶의 이정표를 올바르게 제시해주는 교육행위이다. 이 글은 어린이들이 책을 읽고 그들의 생각을 밖으로 표출할 수 있는 독서행위를 독서교육과 독서교육지도사의 측면에서 조사하여 분석한 것이다. 어린이들이 책을 가까이 할 수 있는 동기유발과 독서 후 책 내용에 대한 감상을 자유스럽게 제시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독서게시판의 교육적 효과를 실증을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자연계열 학업우수 고등학생의 전공결정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Choice of Major for High Achievement Students in High School)

  • 김은경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6호
    • /
    • pp.80-86
    • /
    • 2010
  • 본 연구는 자연계열 학업우수 고등학생들의 희망전공 결정 현황과 학생이 인식하는 전공결정의 영향요인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공결정에 관한 질문지를 14개 고등학교 학생 1000여명에게 실시하였고, 수거된 응답 중에서 자연계열 학업우수 고등학생 65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고등학교 2학년에 희망전공을 결정한 비율이 80% 이상으로 3학년과 차이가 없었으며, 의학계열을 전공하고자 하는 학생들이 50% 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학을 전공하기를 희망하는 학생들이 의학계열을 전공하고자 하는 학생들보다 진로결정수준이 높았다. 셋째, 학생들의 전공결정에 가장 중요한 요인은 본인의 학문적 흥미와 적성이었고, 이는 의학계열을 전공하고자 하는 학생들보다 공학계열과 이학계열을 전공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서 더 중요하게 고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학과 이학에 대한 학문적 흥미와 적성을 찾을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하고 고등학생들의 진로결정수준을 높이기 위한 진로개발 프로그램을 시행하는 것이 의학계열에 대한 선호도 현상을 해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임을 시사한다.

  • PDF

대학생의 진로타협과 진로관련 변인들의 관계 탐색 (A Search of Relationship of Career Compromise and Career Related Variables of University Students)

  • 남광석;문은미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5호
    • /
    • pp.79-100
    • /
    • 2018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타협이 진로관련 변인들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278명을 대상으로 진로타협,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 직업희망, 진로동기, 진로관여행동의 수준을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을 활용하여 신뢰도 분석, 기초 통계 분석, 상관 분석,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 및 직업희망이 높을수록 진로타협 수준은 낮아졌으며, 그 상대적 영향력은 직업희망이 가장 컸다. 또한 진로타협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동기와 진로관여행동이 모두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진로타협은 진로관련 요인들과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받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진로상담자는 진로지도 및 상담 시 대학생들이 진로타협 상황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는 점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과학 진로와 관련된 초중등 학생들의 인식 조사 (A Survey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Views in Relation to a Career in Science)

  • 윤진;박승재;명전옥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75-690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과학진로교육 프로그램 및 자료를 개발하기 위한 첫 단계의 연구로,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초, 중, 고 학생들의 생각을 조사하는 것이다. 검사도구는 두 차례의 예비조사를 거쳐 연구자가 개발하였고, 연구대상은 지역 규모에 따른 계층별 표집을 한 초등학생 1036명, 중학생 1137명, 고등학생 1435명, 총 3608명이다. 과학에 대한 이미지, 과학선호도, 과학학습선호도, 과학성적에 대한 인식, 본인의 진로 희망, 과학 직업에 대한 희망 정도, 과학 진로에 대한 인식, 과학 관련 진로 선택과 관련된 주요 요인, 과거 및 현재의 과학 관련 진로 희망 여부 및 그 이유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이미지는 '실험활동으로서의 과학'을 가장 많이 지니고 있었고, 과학선호도와 과학학습에 대한 선호도는 과학성적에 대한 인식보다 긍정적이었다. 과학 관련 진로를 희망하는 학생들의 비율은 21%였으며, 중학생의 경우가 특히 낮게 나타났다. 과학 진로를 선택할 때의 좋은 점으로는 '나라 발전에 도움되므로', '새로운 지식을 얻을 수 있으므로', 나쁜 점에 대해서는 '위험하므로', '공부를 많이 해야 하므로' 등을 많이 들었다. 학생들이 과학 관련 진로를 선택하는 이유는 '과학 및 과학 학습에 대한 흥미'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로부터 과학진로교육의 기본적 방향은 과학학습에 대한 선호도와 흥미를 높이는 것을 바탕으로 과학직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미래 사회에서의 과학관련 직업 전망을 제시해 줄 수 있어야 하며, 대상 학생의 발달 단계와 특성에 맞는 과학진로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이 더욱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