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흥분감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31초

마라톤 참여자의 참여동기가 운동정서 및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articipation Motivation on Exercise Emo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Marathon Participants)

  • 남인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4285-4295
    • /
    • 2013
  • 이 연구는 마라톤 참여자의 참여동기가 운동정서 및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은 마라톤대회 참여자를 대상으로 표집하였다. 표집된 설문자료 중에서 241명의 자료를 토대로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동기의 하위요인 중 즐거움과 성취 및 흥분감은 재미, 활력, 긍지, 성취, 정화 모두에 정적 영향을 준다. 또 기술 발달은 활력, 긍지, 성취, 정화에 정적 영향을 준다. 그리고 외적과시는 활력에 정적 영향을 주며, 사교는 활력, 성취, 정화에 부적 영향을 준다. 무동기는 재미, 활력, 긍지, 정화에 부적 영향을 준다. 둘째, 참여동기의 하위요인 중 기술발달과 즐거움은 몰입감, 유능감, 자아실현감, 쾌락적 즐거움 모두에 정적 영향을 준다. 성취 및 흥분감은 몰입감과 쾌락적 즐거움에 정적 영향을 주며, 외적과시는 몰입감에 정적 영향을 준다. 그리고 무동기는 자아실현감과 쾌락적 즐거움에 부적 영향을 준다. 셋째, 정서의 하위요인 중 긍지는 몰입감, 유능감, 자아실현감, 쾌락적 즐거움 모두에 정적 영향을 준다. 활력은 몰입감과 쾌락적 즐거움에 정적 영향을 주며, 재미는 유능감과 자아실현감에 정적 영향을 준다. 그리고 성취는 쾌락적 즐거움에 정적 영향을 준다.

영상콘텐츠의 표현밀도에 따른 감정의 변화 (Changes in the Emotion by the Expressive Definition of Visual Contents)

  • 김세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92-20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영상 콘텐츠의 표현밀도를 화면의 해상도와 피사체와의 거리감으로 정의하고, 표현밀도가 보는 이에게 미치는 감정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부산지역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61명에게 HDTV방송화면에서 캡처한 영상이미지를 제시하고, 즐거움, 흥분, 통제 3가지 차원의 감정측정을 위해 SAM평가를 실시하였다. 서로 다른 해상도에 대한 비교결과 저해상도보다 고해상도의 콘텐츠 이미지를 볼 때 즐거운, 흥분되는, 통제되지 않는 방향으로 나타났다. 또한 해상도가 연속해서 동일할 때보다 변화가 있을 때 감정 변화 폭이 크게 나타났는데, 고해상도를 보다가 저해상도 이미지를 볼 때 감정이 유쾌하지 않은, 차분해지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통제 감정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피사체와의 거리감에 대해 근거리, 중거리, 원거리를 사후다중비교 결과 근거리의 경우 다른 경우들 보다 즐거운, 흥분되는, 통제되지 않는 감정의 값이 더 높아졌다. 다변량 검증결과 해상도와 거리감에 대한 즐거움과 흥분 감정차원은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성교감반사를 매개하는 상부 복외측연수 심혈관계세포의 흥분발사특성 분석 (Firing characteristics analysis of cardiovascular neurons mediating somatosympathetic reflex in the rostral ventrolateral medulla)

  • 구용숙;차은종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90-194
    • /
    • 1995
  • 체성-교감 반사 유발시 동맥혈압의 조절에 관여한다고 생각되는 상부 복외측 연수 내의 심혈관계 세포를 대상으로 흥분발사의 반응특성을 측정, 분석하였다. 심장 박동주기와 시간적으로 동기되는 흥분발사를 보이는 심혈관계 세포를 찾은 후 체성-교감 반사의 승압반응과 감압반응을 유발시키며 각각에 대해 동일한 세포의 흥분발사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5가지 유형의 반응특성을 얻을 수 있었다. 이들 간에 구성되어 있는 회로망 연결을 설명하고자 2 가지 종류의 특성 세포와 적절한 자극 전달 경로 및 세포간 회로망 연결을 도입하여 본 연구의 실험결과를 모두 설명할 수 있는 가장 간단한 죄소 세포회로망 모델을 구성하였다. 최소 모델의 고찰 결과 고유한 감압경로의 존재가능성이 도출되었다.

  • PDF

연재I - 문화속 수의학(6) 잉카의 큰 고양이, 펠리노

  • 천명선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46권3호
    • /
    • pp.221-224
    • /
    • 2010
  • 지금 국립중앙박물관 입구 계단에는 마추픽추(Machu Picchu)가 옮겨와 있다. 얼마 전 큰 홍수로 인해 관광객들이 고립되었던 바로 그 페루의 잉카 유적지이다. 계단에 붙여진 사진에 지나지 않지만 한 계단씩 오를 때 약간이나마 이 고산 도시 유적에 가까이 가는 흥분감을 맛볼 수 있다. 올해 3월 말까지 열리는 특별기획전시에는 고대 안데스 지역의 고고학 유물들이 전시된다. 특히 동물을 형상화 한 많은 유적들이 있어 우리 수의사들에게도 흥미로운 이야깃거리가 적지 않다.

  • PDF

혼잡지각이 감정적 반응과 체류시간변화에 미치는 영향 (An Empirical study on the Influence of Perceived Crowding on Emotional Response and the Stay hour change)

  • 심완섭;홍성도
    • 산학경영연구
    • /
    • 제19권2호
    • /
    • pp.207-230
    • /
    • 2006
  • 본 연구는 관광위락지내에서 관광객이 인지하는 혼잡된 지각 정도에 따라 감정적 반응과 체류시간의 변화를 알아봄으로써 관광환경 개선에 대한 시사점과 관광운영업무를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과 이를 관리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첫째, 혼잡지각과 감정적 반응을 분석한 결과 감정적 반응 요인 중에서 즐거움과 흥분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제감은 유의한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혼잡지각과 감정적 반응, 체류시간 변수간의 전체적 설명력은 미미한 설명력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분석결과를 토대로 보면 혼잡지각은 감정적 반응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체류시간에도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라는 사실이 분석결과 나타났다. 둘째, 감정적 반응 요인이 관광위락지 이용객의 체류시간과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먼저 감정적 반응 구성요인 중 즐거움과 흥분감은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제감은 체류시간과는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논의하고,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생물의 세계 - 알코올ㆍ니코틴ㆍ카페인

  • 권오길
    • 과학과기술
    • /
    • 제30권10호통권341호
    • /
    • pp.81-81
    • /
    • 1997
  • 술과 담배처럼 중독성을 갖고 있는 신경흥분전달물질이 60여가지나 된다고 한다. 그중에서 새롭게 기능이 밝혀진 '도파민'은 성의 본능과 짐승을 닮은 수성의 기능을 갖고 있어 많이 분비되면 행복감, 도취감을 고취시키고 '세로토닌'은 슬픔과 우울증 등을 유발한다고 한다. 요술부리는 중독성물질의 세계를 들여다 본다.

  • PDF

한 미혼남성의 발기 및 성욕감소 장애에 대하여 최면을 사용한 정신치료 (A Case with Male Erectile Disorder and Hypoactive Sexual Desire Disorder Treated by Psychotherapy Using Hypnosis)

  • 최병무
    • 정신신체의학
    • /
    • 제8권1호
    • /
    • pp.98-102
    • /
    • 2000
  • 저자는 성욕감소장애를 동반한 남성발기장애 환자 1예를 약 9개월간 성치료, 정신치료 및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치료하였다. 본 증례를 통하여 성기능장애 특히 성욕이 상실 또는 감퇴된 환자의 치료에서는 뿌리깊은 심리적 갈등을 해소하기 위하여 정신치료가 기본적으로 필요하고, 한 가지 이론이나 원칙에 구애되지 않고 환자의 상황에 따라 복합적인 치료 기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되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성적 환상을 증진시켜 성욕상실장애를 치료하고, 흥분기의 생리적 발기뿐만 아니라 심리적 흥분감을 고양시키는 부분에서 자기최면을 이용하는 것이 매우 유용하다는 것을 경험하였다.

  • PDF

부인암 여성의 성 욕구, 성 흥분, 질분비, 절정감, 성 만족도, 성교 통증에 대한 심리사회적 예측요인 (Predictors of Sexual Desire, Arousal, Lubrication, Orgasm, Satisfaction, and Pain in Women with Gynecologic Cancer)

  • 전나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24-32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psychosocial factors that might be predictive of sexual desire, arousal, lubrication, orgasm, satisfaction, and pain in women with gynecologic cancer. Methods: Two hundred and twelve women with cervical, ovarian, or endometrial cancer completed questionnaires on the Female Sexual Function Index including sexual desire, arousal, lubrication, orgasm, satisfaction, and pain, and data on their psychosocial factors including body image, sexual attitude, sexual information, depression, and marital intimacy. Stepwise multivariab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plore psychosocial predictors of women’s sexual function domains. Results: Predictors were identified as sexual attitude, depression, sexual information, and body image for sexual desire; sexual information, depression, and sexual attitude for sexual arousal; sexual information, marital intimacy, and depression for lubrication; sexual information, marital intimacy, depression, and body image for orgasm; marital intimacy, sexual information, sexual attitude, and depression for satisfaction; sexual information, depression, and marital intimacy for pai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women’s sexual function needs to be approached to domains of female sexual function psychosocially as well as to general sexual function. These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n future interventions to positively promote sexual function in women with gynecologic cancer.

전자담배흡연이 심장자율신경조절에 미치는 반응: 궐련담배와의 비교 검증 (Influence of Electronic-cigarette Smoke on Cardiac Autonomic Nerve Responses in Comparison with Conventional-cigarette Smoke)

  • 김춘섭;김맹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87-596
    • /
    • 2018
  • 전 세계적으로 담배흡연자의 심혈관 위험 감소와 금연을 위한 대안으로 전자담배 이용이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지만 니코틴을 포함한 잠재적 유해화합물을 함유한 전자담배의 심혈관 효과는 불분명하다. 본 연구는 전자담배 사용에 따른 심장자율신경조절 변화를 관찰하고 급성적인 교감신경흥분효과 및 부교감신경활동 저하 반응을 궐련담배 흡연과 직접 비교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41명의 젊고 건강한 흡연남성들을 대상으로 자료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무작위 교차 설계에 의해 1주의 wash-out period를 적용하여 전자담배와 궐련담배 세션이 각각 실시되었다. 전자담배는 흡연 시를 포함한 흡연 후 5분까지, 궐련담배의 경우 흡연 시 및 흡연 후 최대 30분까지 교감신경활성화 및 부교감신경 감소가 관찰되었다. 두 제품 간 비교에서, 흡연 시를 포함한 흡연 후 30분 동안의 HRV 분석에서 전자담배는 궐련담배에 비해 비교적 교감신경흥분효과 및 부교감신경저하에서 적은 변화수준 및 단시간 변화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비록 전자담배가 궐련담배에 비해 심장자율신경조절에서 상대적으로 완화된 효과를 제공한다고 할지라도 전자담배 내 니코틴 및 잠재적 위험요인들을 고려해 볼 때 급성적인 교감신경흥분작용 및 부교감신경의 저하를 야기함으로 과도한 사용에 주의가 요구된다.

영화의상에 나타날 엘리자베스 여왕 1세 로브의 표현효과 (The Expressive Effects of Queen Elizabeth I's Rebes in Cinema)

  • 조윤영;양숙희
    • 복식
    • /
    • 제53권3호
    • /
    • pp.89-106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pressive effects of Queen Elizabeth I's robes in cinema and also to present two examples of Queen Elizabeth I's robes designed and made based on these expressive effects. To this end, this study wilt first examine Queen Elizabeth I's robes in her portraits according to the visual definers and emblematic meanings. Then on the basis of these knowledges, analyze visual definers and viewing priorities of Queen Elizabeth I's robes in five movies. Thereinafter, these robes will be classified based upon Belong(1998)'s four expressive effects. excitement. calmness, strength and delicacy. Finally, this study will demonstrate calmness and delicacy among four expressive effects through two robes made for the purpose. After analyzing the expressive effects of robes in five Queen Elizabeth I's movies, one can conclude excitement. calmness, strength, and delicacy can be found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story. Since this analysis focuses mainly on one particular person during one Particular period of time, there was a fundamental silhouette prevalent among the Queen's robes which then can be classified into different forms. Moreover, Queen's character in itself embodies authority and grace which. in turn, facilitates the presentation of the four expressive effects along the story line. In conclusion, thorough historical research on the character and the period. in addition to analysis of the visual definer and viewing priorities, is imperative when designing a historical costu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