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mpirical study on the Influence of Perceived Crowding on Emotional Response and the Stay hour change

혼잡지각이 감정적 반응과 체류시간변화에 미치는 영향

  • 심완섭 (한중대학교 글로벌경영학부) ;
  • 홍성도 (한중대학교 관광경영학부)
  • Published : 2006.10.31

Abstract

The study which it sees probably is the tourist' from the tourist resort, a emotional response and the change of stay hour and the follows in crowding perceived degree and it examines it do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carried out literature study of a related field and set up a study model. We used one method. The first method was directly distributing questionnaires to tourist' by use of one researcher who has been trained in tourist site, in order to confirm hypothesis established according to a theoretical background. And as the site of study, chose Mureung Valley which are located in the East Sea region which is one of the largest domestic vacation destinations. Through these methods, we were able to obtain participation of 450 people from across the country. Using 408 responses(42 responses removed). we derived statistics by means of Win SPSS Version 10.0 statistics program package. The analysis results ara as follows: First, Perceived Crowding affects tourists' Emotional Response and the Stay hour change. Specially, perceived Crowding is from in the Emotional Response factor it is joyful with there is relationship of excitation relationship effect. Second, There is relationship of effect even to sentimental reaction and stay hour change. This also is from in the Emotional Response factor it is joyful with there is relationship of excitation relationship effect. Finally, we discuss the results of analysis and suggest research limitation and future and future study.

본 연구는 관광위락지내에서 관광객이 인지하는 혼잡된 지각 정도에 따라 감정적 반응과 체류시간의 변화를 알아봄으로써 관광환경 개선에 대한 시사점과 관광운영업무를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과 이를 관리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첫째, 혼잡지각과 감정적 반응을 분석한 결과 감정적 반응 요인 중에서 즐거움과 흥분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제감은 유의한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혼잡지각과 감정적 반응, 체류시간 변수간의 전체적 설명력은 미미한 설명력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분석결과를 토대로 보면 혼잡지각은 감정적 반응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체류시간에도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라는 사실이 분석결과 나타났다. 둘째, 감정적 반응 요인이 관광위락지 이용객의 체류시간과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먼저 감정적 반응 구성요인 중 즐거움과 흥분감은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제감은 체류시간과는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논의하고,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