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흡연 의도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43초

유아간접흡연 예방에 대한 부모의 참여의도 관련변인 연구 (A study on related factors of parent's participation intention for early childhood secondhand smoke prevention)

  • 권기남;민하영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1097-1105
    • /
    • 2007
  • This study aims to 1) examine the difference of parent's participation intention for early childhood secondhand smoke prevention depending on sex, education level, income level, and smoking or nonsmoking of parent, parent's knowledge and attitude of early childhood secondhand smoke 2) estimate the influence of independent factors on parent's participation intention for early childhood secondhand smoke prevention centering around factors stated previously, and 3) suggest effective strategies to ultimately encourage parent's behavior for early childhood secondhand smoke prevention. A total of 279 parents with four- and five-year-old day care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following ar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higher the level of income parent had, the higher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tention for early childhood secondhand smoke prevention parent had. Second, nonsmoking parent exhibited higher level of participation intention than smoking parent. Finally, parent's knowledge and attitude of early childhood secondhand smoke had influence on parent's participation intention for early childhood secondhand smoke prevention, but parent's attitude had a high degree of influence on parent's participation intention.

근로자를 위한 금연프로그램 도입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Introducing Smoking Cessation Program for the Employees)

  • 최정임;전순영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논문집 1부
    • /
    • pp.411-414
    • /
    • 2012
  • 최근 흡연자 본인 스스로에 대한 질병뿐만 아니라 가족들 또는 비흡연자에게 피해가 가는 것 또한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현상으로 금연을 원하는 사업장의 근로자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금연제도는 기업의 의도대로 흡연 직원의 건강은 물론 비흡연 직원들의 건강과 더 나아가 개선된 사내 분위기와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직원들의 업무효율증대등의 경영성과나 조직몰입과 같은 조직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대외적으로는 소비자들에게 우리 기업이 친환경기업, 깨끗한 기업, 글로벌 선두 기업 등의 긍정적인 이미지의 기업으로 인식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사업주 주도의 금연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금연프로그램의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 PDF

흡연예방교육에 의한 청소년들의 흡연에 대한 지식 및 태도변화와 흡연량의 감소 효과 (Effectiveness of Smoking Prevention Program based on Social Influence Model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 노원환;강복수;김석범;이경수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6권1호
    • /
    • pp.37-56
    • /
    • 2001
  • 경상북도 구미시에 소재한 2개 남자 중학교 1학년 학생 665명(교육군 10개 학급 367명, 대조군 8개 학급 298명)을 대상으로 1999년 4월부터 2000년 4월까지 교육군과 대조군으로 구분하여 시행한 지역사회에서의 준실험설계 연구를 통하여 흡연예방과 금연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이 학생들의 흡연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변화시키는 정도와 흡연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들 변화와 관련되 요인을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시행한 본 연구의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군과 대조군의 흡연에 대한 지식점수의 변화는 교육군에서 1.31점으로 대조군의 0.13점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교육군의 흡연에 대한 사전조사에서의 태도점수는 13점 만점에 $9.89{\pm}2.51$점이었고, 1년 후에는 $10.16{\pm}2.32$점이었고, 대조군은 사전조사에서의 $9.86{\pm}2.64$점이었고, 1년 후에는 $9.12{\pm}3.09$점이었다. 태도점수의 변화는 교육군에서 0.27점으로 대조군의 -0.74점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흡연에 때한 법적 제제에 대한 태도 중에서 담배광고 금지에 대한 교육군에서 사전조사에서 42.8%가 담배광고금지를 찬성하였으며, 주적조사에서는 54.2%가 찬성하여 유의한 변화를 보였으며(p<0.05), 교육군과 대조군의 변화를 비교하면 교육군과 대조군에서 각각 11.4%와 3.0% 포인트 변화하여 두 군간의 변화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담배자판기 설치를 반대하는 비율은 교육군에서는 4.6% 포인트 상승하였고, 대조군에서 각각 -11.1%감소하여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성인이 되어 흡연을 할 의향이 있는 흡연 의도율은 교육군이 사전조사와 추적조사에서 각각 24.3%와 24.8%로 거의 변화가 없었고, 대조군은 26.5%와 32.2%로 5.7% 포인트 증가하였다. 교육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다(p<0.05). 친구의 흡연 권고를 거절할 수 있다는 비율은 교육군에서 사전조사와 추적조사에서 각각 90.2%와 88.3%로 1.9% 포인트 감소한 반면, 대조군에서는 사전조사와 추적조사에서 각각 86.39와 76.2%로 10.7% 포인트 감소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교육군과 대조군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흡연율은 교육군과 대조군에서 각각 1.6%와 1.7%에서 1년 후 2.7%와 3.0%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흡연량은 교육군에서는 $3.7{\pm}8.2$개피에서 $1.4{\pm}2.5$개피로 일일 평균 흡연량이 2.3개피 감소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5), 대조군의 경우는 $2.9{\pm}7.1$개피에서 3.1개피로 다소 증가하였다. 흡연에 대한 지식점수의 변화를 종속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에서는 지식점수의 변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흡연예방교육여부와 흡연에 대한 사전지식점수, 학생의 학교성적이었다. 흡연에 대한 태도 접수의 변화를 종속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에서는 흡연예방교육여부와 흡연에 대한 사전지식점수가 유의한 변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사회영향모델에 의한 학교에서의 학생에 대한 흡연예방교육과 상담 및 교내환경과 학교주변 환경의 변화를 위한 사회영향 모형에 의한 교육 프로그램에 의하여 학생들의 흡연에 대한 지식과 태도와 흡연 의도율 등을 유의하게 변화시킬 수 있었으며, 흡연량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향후 장기적인 추적을 통한 코호트 연구를 통하여 흡연율 감소효과를 평가하여야 할 것이며, 단순한 지식을 제공하는 일회성의 단편적 교육에서 벗어나 학생자신은 물론 학생주변 환경의 변화를 포괄하는 다양한 방법에 의한 흡연예방과 금연교육이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뇌졸중 흡연노인의 금연의도 예측요인 (Predictors of Intention to Quit Smoking in Elderly Smokers following a Stroke)

  • 도은수;서영숙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8-56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factors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at predict smoking cessation in elderly smokers following a stroke. Method: Between March and May 2013, data related to intention, attitude toward the behavior,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from 223 elders who smoked and who had a strok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PASW (SPSS) 18.0 program, and included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stepwise liner regression analysis. Results: Result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tention and attitude toward the behavior (r=.494, p<.001), subjective norm (r=.390, p<.001),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r=.189, p=.005). These variables such as perceived behavior control, subjective norm, number of cigarettes per day, and usefulness of quitting smoking explained 50% of intention to quit smoking.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smoking cessation nursing strategies for elderly smokers following a stroke in order to provide effective counseling on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일개 대학생 흡연자의 금연 생각과 금연의도가 건강증진행위와 우울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분석 (Pathway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HPB) and Depression Cognitive Scale(DCS) on Smoking Cessation Thoughts and Intention to Quit Smoking of College Students who Smoke)

  • 김희정;주세진;김경숙;김미옥;유미;최정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1830-1840
    • /
    • 2013
  • 연구는 흡연 대학생의 금연 생각과 금연 의도, 건강증진행위와 우울인지를 파악하고 금연생각과 금연의도, 건강증진행위, 우울인지의 경로를 검증하기 위하여 시도되었으며 2012년 4월 천안시 소재 N대학에 재학 중인 흡연 대학생 160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금연에 대한 관심/욕구는 금연생각, 금연의도, 건강증진행위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1) 전공에 따라 금연의도(p=.034)와 건강증진행위(p=.044)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대안 모형의 경로는 금연의도는 건강증진위를 매개로하여 우울인지에 영향을 주고 금연생각은 우울인지에 영향을 주는 경로 모형이다. 대안 모형의 적합도는 ${\chi}^2$ 1.172, p.279로 GFI .996, RMSEA .033, CFI .998, NFI .987로 나타났고 금연의도가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가 유의하게 높아지며 건강증진행위가 높을수록 우울인지가 유의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금연생각이 높을수록 우울인지가 유의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제품 담배 광고 방식이 경고그림 인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ew Cigarette Advertising Method on the Recognition of Warning Pictures)

  • 김세훈;이환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0호
    • /
    • pp.281-288
    • /
    • 2018
  • 담배 경고그림은 가장 대표적인 금연정책 중 하나로 흡연의 위해성을 그림을 통해 전달함으로써 금연을 유도하는 효과적 흡연 억제 방안이다. 그러나 최근 소매점에서의 신제품 담배 광고 방식은 경고그림의 효과를 약화시켜 담배 구매의 도를 유인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제품 담배의 광고방식이 담뱃갑 경고그림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신제품 광고 방식이 가지는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국의 남녀 27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다변량 공분산분석(MANCOVA)을 통해 신제품 담배광고와 일반광고 사례의 인지 정서적 영향과 구매의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신제품 담배 광고 방식은 경고 그림의 인지 정서적 효과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쳐 담뱃갑 경고그림 본연의 목적에 반하는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신제품 담배 광고의 방식에 대한 규제 기준과 제도 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간호대학생의 금연중재 의도와 관련된 요인 (Factors Affecting Intention of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among Nursing Students)

  • 최숙희;김윤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431-440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금연중재 의도와 관련이 있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B시와 Y시 소재 2개 대학의 간호대학생 214명으로, 자료는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7년 9월 12일부터 20일까지 수집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SPSS 23.0을 이용하여 t-test,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금연중재 의도는 현재흡연 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금연의 건강적 이득에 대한 믿음, 금연중재에 대한 태도 및 자기효능감과 유의한 순상관 관계를 보였다. 금연중재 의도와 관련 있는 요인으로는 금연중재에 대한 자기효능감(${\beta}=.634$ p<.001), 금연중재에 대한 태도(${\beta}=.191$, p=.002), 금연의 건강적 이득에 대한 믿음(${\beta}=.132$, p=.032) 순으로 상대적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인의 금연중재의도에 대한 설명력은 64.2%로 나타났다. 즉, 금연중재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금연중재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금연의 건강적 이득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일수록 금연중재 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금연중재 의도와 관련된 이러한 요인을 고려한 금연중재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요구된다고 본다.

성별에 따른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 감정노동 이직의도와의 융합적 관련성 (Convergent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Emotional Labor, Turnover Intention of Dental Hygiene by Gender)

  • 윤성욱;성미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191-199
    • /
    • 2020
  • 본 연구는 치과 의료기관의 성별에 따른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직무만족, 감정노동, 이직의도의 상관성를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남성의 경우 직무만족은 금연에서 높고, 감정노동은 높은 연령이 낮았다. 이직의도는 35세 이상에서는 낮고 직원수가 11-20명, 흡연에서는 높았다. 여성인 경우 직무만족은 10년 이상 경력, 대학졸, 직원 수 20명 초과가 높았으며 감정노동은 높은 연령이 낮고 음주에서 높았다. 이직의도는 전문대졸, 미혼, 음주가 높았다. 남성이 여성에 비해 감정노동이-0.22배 적었으나 이직 의도는 3.9배로 높았다. 직원 수는 10명 이상이 2.7배로 높았다. 따라서 성별에 따른 차이점을 고려하여 직무만족을 높이고 감정노동과 이직의도를 줄이는 노력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것이다.

유치원 아동의 흡연태도 및 흡연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Smoking Attitude and Intention among Preschool Children)

  • 이홍자;백선복;김현철;최경희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330-341
    • /
    • 2004
  • Parental smoking status and smoking environment do not only affect children's health through exposure to nicotine, but are also related to children's smoking attitude, intention and knowledge of smoking. Sinc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a relationship between family members smoking and smoking attitude, intention and knowledge of their children, little is known about psychosocial factors influencing smoking among Korean preschool children.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psychosocial factors (sociodemographic factors, education for smoking cigarette, knowledge about smoke cigarette) influencing smoking attitude and smoking intention, with a purpose of providing directions for future education programs for Korean preschool children. A cross sectional sample of 840 children, ages 4-7 years, living in a rural district were interviewed during August 6 - November 14, 2003. Among them, 834 children whose missing data were less than $10\%$ were included the analysis. Th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 for smoking cigarette, while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knowledge about smoking, the children's smoking attitude and their intention of smoking. The data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clud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attitude and intention of smoking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test,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 follows. The factors that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smoking attitude include mother's smoking $(x^2=4.86,\;p=.03)$, grandmother's smoking $(x^2=5.56,\;p=.02)$, and knowledge of smoking cigarette $(x^2=-5.13 p<.01)$. The factors that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he intention of smoking include gender $(x^2=.08,\; p=.02)$, education for smoking$(x^2=17.65,\;p<.01)$, mother's smoking $(x^2=19.05,\; p<.01)$, grandmother's smoking $(x^2=17.67,\; p<.01)$, and knowledge$(x^2=-2.17,\;p=.03)$. The children who had non smoking mother were more likely to have negative attitude (OR=2.29). The children who had a higher knowledge about smoking were more likely to have negative attitude (OR=1.58). The findings suggest that a smoking prevention program specific for preschool children is necessary to prevent early onset of smoking. The findings also suggest that the program should involve children's family members who influence their smoking attitude and intention.

  • PDF

비흡연 중학생의 흡연지식, 흡연태도와 사회적영향이 흡연의도에 미치는 효과 (Attitude, Knowlege, and Social Influence as Factors of Smoking Intention among Nonsmoking Middle School Students)

  • 서영숙;김영임;이창현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81-89
    • /
    • 2016
  • Purpose: This study is to analyze influencing factors of smoking intention among nonsmoking middle school students with regard to smoking attitude, knowledge and social influence.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non smoking students of 5 middle schools in D metropolitan city. The 1,892 enrolled subjects provided informed voluntary consent prior to completing a structural questionnaire covering smoking attitudes, knowledge, social influence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SPSS/Win 21.0 program by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mong the nonsmoking students, 85.5% never had an intention to smoke. In relation to general characteristics, smoking intent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ex, school records, socioeconomic status, relationship with parents, smoking experience, and smokers around them. In relation to attitude, knowledge, and social influence, smoking intent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lower attitude score, a lower knowledge score, and a lower social norm. In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moking intention was associated with a lower attitude score (2.99 times), a lower social norm (2.65 times), being male (2.35 times), low socioeconomic status (2.22 times). and having smoking experience (2.70 times). Conclusion: It is needed to develop promotional strategies that could provide adjusted systematic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for the preferred smoking group and afford smoking prevention programs considering subject characteristics to help young adolescents avoid access to smoking in their early age.